2024.04.21 (일)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생각의 정치를 편 ‘세종의 길’ 함께 걷기

이수, 세종이 어릴 적부터 학문을 가르치다

세종의 스승 이수 - ①
[‘세종의 길’ 함께 걷기 104]

[우리문화신문=김광옥 수원대학교 명예교수]  심은(深隱) 이수(李隨, 1374년-공민왕 23~1430년-세종 12)는 세종이 어릴 적부터 곁에서 학문을 가르친 문신이다. 태종대에 공조정랑, 예조정랑을 거쳐 세종 때에 이르러 예문관제학을 거쳐 참찬의정부사, 이조판서 등을 지냈다.

 

생애 : 활동사항

 

· 태조 5년(1396) : 생원시에 1위로 합격하였으며,

 

· 태조 10년 : 임금이 경학에 밝고 행실이 바른 사람을 구할 때, 대사성 유백순(柳伯淳)의 천거로 뽑혔으나 사퇴하였다.

 

· 태종 11년: 지신사(知申事) 김여지(金汝知)가 임금의 명을 전하자 상경하여 여러 왕자의 교육을 맡아보았다.

 

· 태종 12년 : 종묘서(宗廟署) 주부(主簿)를 지내고,

 

· 태종 14년: 임금이 성균관에 행차하여 관리를 채용하기 위해 시험을 칠 때, 4위로 급제, 전사주부(典祀 主簿)ㆍ공조정랑ㆍ·예조정랑을 지내고,

 

· 태종 17년: 전사소윤(典祀少尹, 제사를 담당하던 전사시의 종4품 벼슬)을 지냈다. 이듬해 세종이 즉위하자 사재감정(司宰監 正, 사재감에 두었던 정삼품 관직)ㆍ좌군동지총제(左軍同知摠制, 삼군도총제부 벼슬)을 지냈다.

 

· 세종 4년(1422) : 황해도관찰사를 거쳐, 고부부사(告訃副使, 임금이 죽었을 때 그것을 알리기 위하여 중국에 보내던 사신)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 세종 5년 : 예문관제학ㆍ이조참판,

 

· 세종 7년 : 중군도총제(中軍都摠制)ㆍ참찬의정부사를 역임하였다.

 

· 세종 8년 : 6월 21일 예문관 대제학에 제수. 11월 25일에는 참찬이 되어 재추(宰樞, 임금을 돕고 관원을 지휘)의 반열에 오르다. 이후 이조판서와 병조판서에 제수되었다.

 

· 세종 9년 : 어머니의 상으로 사직하였고,

 

· 세종 11년: 예문관대제학· 이조판서에 재등용되었으며,

 

· 세종 12년(1430): 병조판서를 맡아 세종의 문치와 국방에 힘을 더하다가,

 

세종 12년 돌연 취중에 말에서 떨어져 죽었다.

 

 

이수의 졸기

 

세종 12년(1430. 4. 17)에 졸하는 데 그의 졸기에 그의 일생이 요약되어 있다.

 

“병조 판서 이수(李隨)가 졸하였다. 봉산군(鳳山郡) 사람이었다. 이수는 젊어서 학문을 좋아하여 게으르게 하지 아니하고 정밀하게 연구하여 강론하니, 당시 사람들의 추앙하는 바가 되었다. 병자년에 생원(生員) 시험에 1등으로 합격하고, 경인년에 태종대왕이 경학(經學)에 밝고 행실을 닦는 사람을 찾아 구하니, 성균관에서 이수를 추천하였는데, 부름을 받았다가 얼마 아니 되어 과거 공부를 한다는 이유로 사양하고 돌아갔다가, 이듬해에 지신사(知申事) 김여지(金汝知)가 왕명을 받잡고 편지를 보내기를,

 

"지존께서 그대가 산야(山野)에 숨어 있음을 들으시고 특히 명하여 부르시니, 곧 길을 떠나 오는 것이 마땅하다." 하였다. 그가 서울에 도착하자 여러 대군에게 글을 가르치라고 명하였다. 임금(세종)이 잠저(潛邸)에 계실 때 더욱 공경하여 예를 더하였으며, 이수도 더욱 삼가고 조심하였었다. 임진년에 종묘의 주부(注簿)가 되었으며, 갑오년 가을에 태종이 성균관에 거둥하여 선비를 뽑을 적에 수(隨)가 네째로 뽑히어 전사 주부(典祀注簿)를 제수(除授)하였고, 공조와 예조 두 조(曹)의 정랑으로 누차 쓰였다가, 정유년에 전사 소윤(典祀少尹)에 임명되고, 이듬해 세종이 즉위하자 선공정(繕工正)으로 있는 것을 동부대언(同副代言)으로 특수(特授)하고, 또 그 이듬해에 동지총제(同知摠制)에 올랐더니, 얼마 아니 되어 늙은 어버이가 황해도에 있어서 본도 감사로 나갔다가, 이듬해에 들어와서 동지총제가 되어 곧 이조참판으로 옮기고, 을사년에 도총제(都摠制)에 임명되었다가 예문 대제학(藝文大提學)ㆍ의정부 참찬으로 옮기고, 정미년(세종 9년)에 어머니가 죽으매 상례(喪禮)에 부도(浮屠:佛法)를 쓰지 아니하였다. 복(服)을 마치고 다시 도총제가 되었다가 이내 이조판서로 옮기고, 다시 병조 판서로 옮겼는데 술에 취하여 말을 달리다가 떨어져서 이내 죽으니, 나이는 57살이었다. 성품이 무거워 겉치레를 좋아하지 않았으며, 궁하든지 통(通)하든지, 얻든지 잃든지 일찍이 기쁜 빛이나 노여운 빛을 나타내지 아니하며, 집안 살림살이를 돌보지 않았으며, 여러 가지로 벼슬을 거쳤으되 항상 귀한 스승의 지위를 띠고 있었으므로 더욱 부지런하고 삼가기를 더하였다. 부고가 들리니 임금이 놀라고 슬퍼하여 특히 그를 위해서 신위를 마련하고 곡을 하였고 3일 동안 조회를 폐하였다. 부의로 쌀과 콩 모두 50석을 주고, 동궁도 부의로 20석을 주었다. 예장(禮葬)의 가부를 의논케 하니, 좌의정 황희ㆍ우의정 맹사성ㆍ찬성 허조 등이, 드디어 업무를 맡게 하여 장례를 다스리게 하다.”(《세종실록》12/4/17)

 

사후 세종의 종묘 제사에 배향되었다. 죽어서도 세종 곁에서 모시게 된 것이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세종의 스승

 

세자에서 임금이 된 충녕대군 이도(李祹)는 혹독하리만큼 공부해, 역대 세자 가운데 많은 공부를 한 임금의 한 분으로 전해진다. 그 뒤에는 이수(李隨)가 있었다.

 

요즘으로 보면 국립 성균관대 총장격인 성균관대사성 유백순이 생원시 장원급제자 이수를 효령ㆍ충녕대군의 사부로 천거했다.

 

이도가 11살일 때 만나 세자와 임금이 된 이후까지 22년 동안 제자이자 군왕인 세종대왕을 모셨다. 한 번의 고사 끝에 응낙한 이수는 15~16살의 왕자들에게 대학과 시경, 주역 등을 가르쳤다.

 

충녕대군이 세자가 되면서 제왕수업을 담당하는 세자시강원 서연관이 됐다. 세종의 즉위 뒤에도 그는 경연에 참가했다. 세종이 역대의 사대문적과 주역까지 모두 공부하도록 했다. 세종 8년에 예문관대제학에 올랐어도 스승의 애정 어린 충언은 계속됐다고 한다. 세종에게는 정신적 지주 같은 사상가였고, 실천형 정치학자였다.

 

세종은 문종의 세자 교육도 이수에게 맡겼다.

 

죽고 나서도 이수는 세종묘정에 황희, 최윤덕, 허조 등과 함께 배향됐다. 죽어서도 세종과 함께 자리하고 있다.

 

세종의 친필 글씨 한 점

 

 

세종대왕은 이수의 집안에 글을 내렸다. 세종의 어필은 고(故) 이정로(李正魯) 가족이 보관하고 있는 전의이씨 족보에서 발견되었다. 이 족보의 권두에 ‘가전충효 세수인경」(家傳忠孝世守仁敬)’이란 여덟 자가 넉 자씩 두 줄로 적혀 있다. 풀이하면 “충과 효를 가문에 전하고, 어질고 공경하는 정신을 대대로 지켜나가라.”라는 뜻이다.

 

이 글씨는 세종대왕의 친필로 강원도 관찰사를 지낸 이정간에게 내린 글씨라 한다. 전의 이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족보에 있다. (참고: 우측 낙관은 나중 별도로 제작해 넣은 것이고. 한자는 디지털 복원으로 다시 만들어진 글씨다. 자료 : 데이터유니버스)

 

(참고): 이정간(李貞幹), 1360~1439)은 전의 이씨로 사헌부 요직과 안팎의 관직을 두루 지냈고 강원도관찰사로 재임하던 중, 100살의 노모를 봉양하기 위해 사직하고 향리에 은거하였다. 특히 자신도 80살의 노령이면서 어머니 앞에서는 색동옷을 입고 병아리를 희롱하여 어머니를 즐겁게 하는 등 하늘이 내린 효자로 이름을 날렸다. 세종이 이 사실을 알고 이정간의 품계를 정2품으로 올리고, 노모는 정대부인(貞大夫人)으로 봉하였다. 이때 이정간에게 궤장(几杖, 임금이 70살 이상의 대신에게 내리던 궤(几 팔을 기대는 물건)와 지팡이를 하사하고 어필을 내렸는데 이는 후대에 전의이씨의 가훈이 되었다고 한다. (참고: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