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이동식의 솔바람과 송순주

봄처녀 오셨네

이 봄이 얼마나 더 싱그러울 것인가?
[이동식의 솔바람과 송순주 242]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 봄처녀 제 오시네 새 풀 옷을 입으셨네

하얀 구름 너울쓰고 진주 이슬 신으셨네

꽃다발 가슴에 안고 뉘를 찾아오시는고 ♪♪

봄이 오면 누구나 콧속으로, 입속으로 불러보는 이 노래는 홍난파 선생(1898-1941)이 1932년 작곡해 1933년에 발표했으니 90살이 넘었다. 가사는 노산(鷺山) 이은상(李殷相 1903~1982)의 시조다. 시조를 노랫말로 만들어 올린 첫 작품이라는데, 봄처녀가 새로 단장하고 오는 모습이 여실히 묘사되어 있다. 노랫말, 아니 원 시조는 한국적이면서도 토속의 맛이 은근히 나온다. 멜로디는 부드럽고 선율은 간단하고 단순하지만, 아름다운 뒷맛을 준다고 한다. 동요 같으면서도 동요가 아닌 훌륭한 가곡이다.

 

 

이 노래는 '가곡'이란 음악형식이 새로 태어난 근대 초창기의 노래다. 원래 '가곡(歌曲)'은 조선시대 상류층들이 시조에 관현악 반주를 붙여 즐기는 고차원의 성악곡이다. 그런데 1919년 일본 유학을 떠난 홍난파가 일본에서 당시 양악을 배우면서 그때까지의 우리 음악을 되돌아보고 이제 시대에 맞는 새로운 음악을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에 찾아낸 것이 이 '가곡'이다.​

 

나는 덮어놓고 서양음악만을 좋다고 하는 사람은 아니다. 동시에 조선음악을 조금이라도 값없는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서양음악에는 서양음악으로서의 값이 있는 것과 꼭 같이 우리 조선음악에는 조선음악으로서의 값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간단하게 말씀하자면 조선의 고악(古樂)이란 것은 지금 사람의 생활이나 감정과는 너무나 상통성이 없다는 것이 무엇보다도 큰 유감이다.

 

태평시절에 격양가 부르던 옛날 사람의 생활이 먹고 살기 위하여 눈코 뜰 새 없이 분주히 지나고도 오히려 넉넉한 생활을 할 수 없는 오늘날 우리의 생활과 얼마나 그 거리가 먼가를 생각해 보라 또 설혹 생활이 넉넉하다 치더라도 오늘의 사회제도란 것은 움직여야 사는 것이지 편히 드러누워서 배를 두드리고 살 수 없는 세상인 것도 생각해야 한다. 그렇다고 움직여야 살 수 있는 사람의 음악이란 또한 움직이는 음악이라야 쓸 것이다."

 

                                                        ... '새 조선의 음악' . 홍난파 소설 '최후의 악수(1921)' 중에서 ​

 

독일에서 민중들이 편하게 만들고 부르던 노래인 이 '가곡'은 ' 가곡의 왕'으로 불리는 작곡가 프란츠 슈베르트(1797~1828)에 의해 수백 곡의 예술적인 노래로 다시 탄생함에 따라 독일과 프랑스 등으로 퍼져나갔고, 서양음악에 심취했던 홍난파가 이러한 독일의 가곡 형식을 소화해서 나름 작곡해 낸 것이 1920년의 봉선화와 그 뒤를 이은 '봄처녀' 등 가곡이 아니던가?

 

그런데 원래 독일의 노래는 '리트(Lied)'라고 부르는데 이것이 일본에 와서 '歌曲(카고쿠)'라는 이름이 생기자 자연스레 홍난파 등 당시 일본에서 서양식 작곡기법을 배우고 이를 우리 노래에 응용한 우리의 선구자적 음악가들에 의해 자연스레 가곡이란 이름을 얻게 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에 따라 조선시대에 발전해 당시까지도 이어지던 '가곡'이란 이름의 성악곡은 어쩔 수 없이 그 이름을 서양식의 노래와 함께 쓰게 되다가 이즈음에는 역전되어 사람들은 옛날 시조에 관현악 반주로 부르던 노래인 '가곡'은 거의 잊어버리고 1930년대에 쏟아져 나온 많은 신식 노래에 열광하고 그것이 가곡인 줄 알게 되어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는 것이리라.​

 

그러나 그 이름의 문제를 떠나서 우리의 '가곡'들은 1930년대 이후 우리 민족의 정서와 형편을 대변하는 대단한 민족음악으로 급성장하여 오늘에 이른 것이니 굳이 그 이름이 원래 누구 것이냐 따지는 것은 속 좁은 일이라 비판받을 수도 있다고 하겠다. 그리고 조선시대 이후 시조를 받치는 음악으로 이어져 온 원래의 가곡이 우리나라의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고, 2010년 11월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지정되어 있다는 점을 주목해 주지 않으면 안 된다. 엄연히 우리 민족의 소중한 예술자산이고 그 후계자 전수자들도 많이 활동하고 있는 상황이다.

 

 

어릴 때 '봄처녀'란 노래를 들으면서 이 노래가 봄의 처녀를 묘사한 것으로 생각해 왔는데 나중에 보니 봄을 처녀에 비유해서 아름다움을 형용한 것이라니, 그것을 알고 이 노래를 들으면 다시 노래의 맛이 느껴진다. 겨우내 잎이 다 떨어진 메마른 가지와 줄기만을 보다가 줄기 마디마디에 새잎이 솟아나고 온몸을 화려한 꽃들로 장식하는 봄의 자태는 한마디로 아름다운 처녀 그대로일 것이며, 그것을 일찍이 시조로 묘사한 민족 시조시인 노산 이은상의 표현력이 새삼 대단함을 느끼게 된다.

 

 

그동안, 이 노래는 봄처녀라는 노래 제목과 그 느낌으로 해서 소프라노 성악가들이 많이 불렀는데, 사실 춘분인 오늘, 이 노래가 생각난 것은 미국의 어느 젊은이가 부른 노래 때문이었다. 곱슬머리에 진달래 꽃잎 색의 셔츠를 받쳐 입은 잭 모린이라는 미국 음악도가 그의 스승인 매튜 톰슨 교수의 반주에 맞춰 부른 '봄처녀'란 곡이 유튜브 영상을 통해 우리에게 전해지면서 새롭게 사랑을 받고 있는데 봄을 맞아 이 노래가 생각난 것이다.

 

이 노래는 정말 봄바람 그대로다. 보통 우리의 성악가들은 서양식 발성법을 바탕으로 하고 있어 좀 딱딱하거나 발음이 자연스럽지 않은데, 이 청년은 그런 것을 떠나서 완벽한 우리말 발음으로 그야말로 귀를 간지르는 봄바람의 부드러움으로 멋진 노래를 들려주는 것이다. 그러니 이 노래가 더 멋지게 들리는 것이고, 그 의미와 값어치를 다시 보게 된다.

 

 

이러한 우리 가곡을 발표하는 음악회를 연 사람은 미국 미시간대 교수인 매튜 톰슨 박사. 그 자신 음악가이며 작곡이기도 하나 톰슨 교수는 한국 가곡의 아름다움에 빠져 그것을 널리 소개하기 위해 이런 음악회를 열고 그 과정을 유튜브 동영상으로 올린 것인데 2022년 10월에 연 음악회 영상은 계속 음악 애호가들의 사랑을 받아 이제는 여러 형태로 수만 명이 보는 인기영상이 되어있다.

 

톰슨 교수는 한국전쟁에 참전한 할아버지를 통해 어릴 때부터 한국의 이야기를 듣고 자랐기에 거기서 싹튼 한국에 관한 관심이 한국문화와 음악에 대한 지금의 애정에 이르렀다고 하는데 그런 개인적인 이유를 떠나서 미국 교수란 위치에서 우리 가곡을 알리는 바람에 그 반향이 커지고 있다고 하겠다.

 

 

톰슨 교수는 우리의 가곡을 알리면서 영어로 ‘Korean Art Song’으로 소개하고 있다. 요즈음 우리 사회에서도 이런 가곡들을 예술가곡으로 부르는 것 같다. 그렇게 이름을 확대하니 예전의 전통 가곡과는 다른 개념을 갖게 된다. 이러한 가곡도 그 발생과정을 보면 비록 독일식의 가곡형식에서부터 빌려왔다고 할 수 있지만 그 노래나 음정, 화음 등은 다 우리의 검정이나 정서, 음악적인 감흥을 담고 있는 것이기에 우리의 새로운 음악이라고 할 수 있다.

 

얼마 전부터는 스페인에서 활동하는 우리 음악인이 스페인에서 우리말 발음으로 가곡을 선보이고 있어 근대 이후 발생한 우리 음악인 가곡(예술가곡)이 우리나라에서도 다시 살아나고 나아가서는 세계에 한국의 음악으로 알려지는 계기가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갖게 된다.

 

최근 드라마와 영화에서 시작돼 세계인들의 사랑을 받게 된 우리 문화, 이른바 ’K-ART‘는 여러 방면으로 확산일로에 있음을 우리는 안다. 새봄을 맞아 봄을 알리며 즐기던 우리의 감성도 세계인들의 공감을 더 많이 받을 수 있으면 좋겠다는 소박한 소망을 키워본다. 곧 세계 속에 우리 문화의 봄을 알리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의 눈앞을 흐리는 많은 안개와 구름이 어떻게든 걷혔으면 한다.

 

 

봄처녀 노래 2절은 이렇다​

 

님 찾아가는 길에 내 집 앞을 지나시나

이상도 하오시다 행여 내게 오심인가

미안코 어리석은 양 뉘게 물어볼까나​

 

봄이 누구에게 오는지 잘 모르겠다는 뜻을 담고 있구나.

 

 

옛날 중국 시인이 "봄이 와도 봄 같지가 않구나(春來不似春)"라고 하였다는데 이제 봄이 본격화되는 때를 맞아 정말로 눈도 마음도 기분도 모두 봄을 만끽할 수 있도록, 선거를 앞둔 혼탁함이랄까 곳곳에서 사회시스템을 놓고 일어나는 우리 사회의 대립이 사라지면 이 봄이 얼마나 더 싱그러울 것인가?

 

 

  이동식                                     

 전 KBS 해설위원실장

 현 우리문화신문 편집 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