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02 (월)

  • 구름많음동두천 5.5℃
  • 맑음강릉 7.5℃
  • 박무서울 4.8℃
  • 맑음대전 3.8℃
  • 박무대구 3.3℃
  • 맑음울산 6.1℃
  • 박무광주 5.4℃
  • 맑음부산 9.5℃
  • 맑음고창 7.3℃
  • 맑음제주 13.4℃
  • 맑음강화 6.9℃
  • 맑음보은 2.8℃
  • 맑음금산 1.3℃
  • 맑음강진군 2.9℃
  • 맑음경주시 1.7℃
  • 맑음거제 6.8℃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이동식의 솔바람과 송순주

전체기사 보기


서라벌의 밤을 보며

동궁과 월지 그리고 첨성대의 야경 [이동식의 솔바람과 송순주 275]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천 년 신라. 신라의 서울인 사라벌 경주는 어릴 때부터 수학여행 혹은 나중에 기자로서 일할 때 여러 번 들렸기에 잘 안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마침 가족과 다시 경주를 찾았을 때 나보다 세상을 더 많이 보는 일행들이 밤 야경을 보아야 한다고 해 따라나섰다. 밤의 서라벌을 보여주는 곳은 예전 안압지 임해전으로 배운, 윌성 옆 인공연못이다. 토요일 밤 관람객들로 인신인해다. 어두운 분위기, 대부분이 젊은 쌍쌍. 혹은 가족 단위의 관람객들을 헤치고 따라간 그곳. 동궁과 월지란 이름으로 천지개벽해 있는 곳이다. 우리 눈은 황홀해졌다. 안압지와 임해전으로 내려오던 이 일대는 1974년부터 3년 동안 발굴조사를 통해 임해전의 궁전 터와 5개의 누각 건물터가 드러났고 그 옆의 월지(月池) 유구도 드러났다. 그 누각들이 복원돼 윌지 주변에 거대한 수변궁전이 조성되어 있었던 것이다. 그것을 이제야 밤에 같이 보는 것이다 물 위에 비치는 건너편 수목들. 그 가운데 하나에는 백로들이 날개를 틀고 있는 듯 반짝인다. 조명이 바뀌면서 물의 정원들이 영상 쇼를 공연한다. 헨델의 '왕궁의 불꽃놀이' 마지막 음악이 물 위로 들리는 듯 말로 표현 못 하는

검은 학이 내려온 게 아닙니다

거문고야말로 하늘에서 내려온 학이 축하해주는 으뜸 악기 [이동식의 솔바람과 송순주 274]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우리나라 전통 악기 중에 거문고갸 있다. 거문고는 이웃나라들에서 유례를 찾기 힘든 우리나라 고유의 현악기이다. 명주실을 꼬아 만든 여섯 개의 줄을 ‘술대’로 치거나 뜯어 연주하며, 괘(棵, frets)를 짚어 음높이를 조절하고, 왼손으로 농현(弄絃)한다. 흔히 ‘백악지장’(百樂之丈)이라고 하니 곧 모든 악기의 으뜸이란 뜻이다. 우리는 이 악기가 고구려 왕산악이 만들었고 연주를 할 때에 하늘에서 검은 학이 날아와 춤을 추었다고 배웠다. 김부식이 쓴 《삼국사기》의 기록을 근거로 해서였다. ​ “처음에 진(晉)나라 사람이 칠현금을 고구려에 보냈다. 고구려 사람들이 비록 그것이 악기인 줄은 알았으나, 그 음률과 연주법을 알지 못하여 나라 사람들 중에 그 음률을 알아서 연주할 수 있는 자를 구하여 후한 상을 주겠다고 하였다. 이때 둘째 재상인 왕산악(王山岳)이 칠현금의 원형을 그대로 두고 만드는 방법을 약간 고쳐서 이를 다시 만들었다. 동시에 1백여 곡을 지어 그것을 연주하였다. 이때 검은 학이 와서 춤을 추었다고 하여 현학금(玄鶴琴)이라고 부르게 되었으며, 훗날 현금이라고만 불렀다.” ... 《삼국사기》 제32권 잡지 제1(三國史記

대를 잇는 예술세계

모녀가 연주한 ‘바하의 샤콘느 2중주’ 작품 세계에 끌려 들어가 [이동식의 솔바람과 송순주 273]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부전자전(父傳子傳)이란 말은 아버지의 뛰어난 재주를 아들이 이어받아 활약할 때 이를 지칭하는 말이다. 어머니의 재주를 딸이 이어받아 세상에 드러날 때는 무엇이라고 하나? 잘 알다시피 모전여전(母傳女傳)이라고 한다, 아들이 아버지를 이어받는 경우는 세상에 나가서 정치나 경제 법률 등에 능력을 보이는 경우가 많고 딸이 어머니를 이어받는 경우는 예술이나 기술, 음식 등등에서 빛이 나는 경우가 많다. 이런 비유가 남녀의 역할을 구분하자는 것은 아니고 그런 측면이 많다는 뜻이다. 여성의 경우 미모를 이어받는 사례가 많아서, 황신혜 씨의 딸이 엄마를 이어받았다고 하는데 황신혜 씨는 자신의 엄마도 미모라며 8순의 모친 사진을 지난달 공개하기도 했다. 2012년 8월 명창 안숙선의 딸 최영훈 씨가 국립극징에서 거문고 공연을 했는데 안숙선 명창이 예술감독을 맡아 이틀 동안 펼쳐진 이 연주회의 이름이 애초부터 <모전여전- 소릿길에서 만나다>였다. 어머니가 창의 대가이니 딸도 창으로 빛이 날 것이로되 모친이 자기 딸은 창 대신에 거문고를 하자고 권해서 거문고의 길을 가게 되었다고 한다. 뭐 같은 국악이니만큼 모전여전의 대표적인 사례라

몽골 밤하늘의 우리 별

독립운동뿐만 아니라 보편적 인간 사랑을 실천한 이태준 [이동식의 솔바람과 송순주 272]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지난여름 몽골행 비행기에는 한국인 관광객들이 엄청 많이 타고 있었다. 그들에게 왜 몽골에 가느냐고 물어보면 대부분 필자처럼 몽골 밤하늘의 별을 보러 간다고 답을 한다고 한다. 필자도 그렇게 친구들에게 떠들었다. 그런데 정작 몽골 하늘에 진짜 우리 한국인이 별이 되어 높이 떠 있는 것을 알지 못했다. 그래서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 있는 그의 묘비를 보지 못했다. 관광을 떠나기 전에 미리 알았으면 일정을 잡았을 터인데 그리 못한 것이 지금 생각하면 무척 죄송하다. 다행히 부산에 사는 친구들이 이 한국인의 기념공원을 찾아 묘비에 헌화하고 왔다고 사진을 보내왔다. 부끄럽기도 하고 고맙기도 하고 해서 이 몽골하늘의 별이 누구인지를 알아보았다. 그의 이름은 이태준이었다. 조선왕국에 외세가 몰려오던 1883년 경남 함안에서 출생한 이태준은 어린 시절 한학을 배우고 24살인 1907년엔 세브란스 의학교에 입학해 3년 만에 졸업한 의사였다. 우리 국권이 일본에게 막 넘어가는 시기에 세브란스 의학교 재학시절 세브란스 병원에 입원하고 있던 도산 안창호(安昌浩, 1878~1938) 선생을 만난 것으로 그의 생애가 확 바뀐다. 도산은 이태준을 최남

한글날에 우리 말을 생각한다

쉬운 우리말로 표현하면 완벽한 소통이 돼 [이동식의 솔바람과 송순주 271]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문자 와로 서르 사맛디 아니할세 이런 전차로 어린 백셩이 니르고져 홀베이셔도 마참네 제 뜨들 시러펴디 몯할 노미하니라​ 우리 한국인들은 이런 《훈민정음》 해례본의 서문을 외우고 다닌다.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서 문자로 서로 통하지 아니하기에, 이 때문에 일반 국민이 말하고 싶은 것이 있어도, 그 뜻을 능히 제대로 밝히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라는 말이다. 그만큼 우리들을 위해 한글이라는 문자를 발명해 주신 세종대왕에 대한 고마움과 존경심이 한국인 모두에게 있다. 그런데 이렇게 배우기 쉽고 쓰기 쉽고, 생각을 쉽게 표현하고 나눌 수 있는 이 글자가 조선 왕조 끝날 때까지 정식 글자로 사용되지 못하고 모든 공문서나 기록이 대부분 한문으로 표기됨으로써 우리 국민의 불편과 문화의 지체현상이 말할 수도 없었던 역사가 있었다. 한글이 언문이라는 이름으로 있다가 국문(나랏글)으로 선포된 것이 고종 때인 1894년이다. 이때부터 비로소 우리가 쓰는 말과 글이 일치하기 시작했다는 뜻이다. 고종은 칙령을 통해 모든 법령을 국문으로 바탕으로 삼고 한문 번역을 붙이거나 국한문을 섞어 쓰도록 하였다. 훈민정음 창제 450

몽골에서 부르는 아리랑

단군의 홍익인간 정신을 이 시대에 살리고 지켜나가는 개천절 [이동식의 솔바람과 송순주 270]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몽골초원은 이상하게 한국인들의 마음을 끈다. 올여름 많은 한국인이 몽골을 다녀온 것 같다. 나도 물론 그 가운데 한 명이다. 몽골이 한국인들을 부르는 까닭으로 아마도 몽골이 우리의 조상들이 살던 곳이 아니냐는 생각 때문인 듯하다. 몽골 남서쪽으로 알타이산맥이 길게 흘러내리는데 우리가 쓰는 말이 우랄 알타이어족(語族)이라고 학교에서 배웠기에 아마도 우리가 거기서 왔을 것이란 생각에 자기도 모르게 친연의 느낌을 가지게 되었을 것이다. 거기에다 올여름 같은 지독한 무더위에는 시원한 몽골에 가서 더위도 피하고 밤하늘의 쏟아지는 별도 보자는 생각을 했을 것이다. 우리도 얼마 전 몽골여행에서 알타이산맥 속으로 들어가 보았다. 길고 긴 사막길을 달려 힘들게 찾아 들어간 알타이산맥. 높은 봉우리들이 길게 뻗어있는데 한여름에도 얼음이 얼어있다는 얼음골 골짜기로 내려가는 작은 도랑 옆으로 돌무더기가 보인다. 형태는 완전하지는 않지만, 우리의 성황당과 비슷한 '어워'(예전에는 오보라고 알던 것인데 현지어로 어워라 한단다)가 아닐까, 생각했다. 알타이와 몽골초원은 기마민족(騎馬民族)의 어머니 대지이며 한국인들의 문화원형을 간직한 곳으로 알려졌다.

가을의 맑은 물가에서

도심에서 함께 백로ㆍ해오라기를 볼 수 있는 것 [이동식의 솔바람과 송순주 269]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도시에서 복잡한 자동차 행렬과 아파트 숲 사이에서 살다 보니 맑은 물이 흐르고 새가 날아드는 자연환경이 그리운 것은 나만의 일이 아닐 것이다. 서울이라는 도심 한가운데에 청계천을 다시 파고 물이 흐르도록 한 효과를 알게 된 이후에 지자체들도 물길이 있으면 주변을 깨끗하게 정비하고 나무와 꽃들이 자라는 터를 다듬어주니 맑은 물이 흐르는 아름다운 공간이 많아졌다. 청계천에서 지난봄 눈처럼 흰 해오라기를 한 마리만 만난 것도 그 덕택이었을 것이다. 내가 사는 동네인 서울 은평에는 북한산 서북쪽 자락에서 구파발 쪽으로 흘러내리는 구파발천이라는 작은 하천이 있는데 거기에 가끔 해오라기나 왜가리가 날아와 눈을 즐겁게 한다. 가을로 접어들면서 파래진 하늘이 개울물에 비치면 거기서 긴 목을 빼들고 조용히 서 있다가 물속에 작은 물고기라도 보면 먹이를 잡아먹곤 하는 모습이 정갈해서, 하천을 따라 바쁘게 걷다가도 발길이 잡혀 한참을 보게 된다. 참으로 멀리 가지 않고도 자연 속 생명의 세계를 느끼게 된다. 이런 물가에 날아오는 새는 이름이 조금 헷갈린다. 백로과인 것은 틀림없는데, 그게 백로인지, 왜가리인지, 해오라기인지가 헷갈리는 것이다.

이젠 도시가 고향입니다

달빛을 받아 마음을 가라앉히다 [이동식의 솔바람과 송순주 268]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그래도 천만다행이었다. 한가위 전전날 오후부터 시원한 바람이 불어 한가위 준비를 하던 주부(主婦)나 새로운 직종인 주부(廚夫, 부엌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땀을 조금이라도 식혀주었으니 말이다. 예년보다 보름 정도는 빨리 온 올해 한가위는 30도가 넘는 불볕 무더위로 하늘만 처다보다가 아침 기온이 내려가서 그나마 한가위 느낌이라도 가지게 되었으니 그나마 고마운 일이다.​ 당신을 사랑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래도 내가 끝없이 무너지는 어둠 속에 있었지만 이제는 조용히 다시 만나게 될 아침을 생각하며 저물 수 있습니다.​ 지금 당신을 사랑하는 내 마음은 가을 햇살을 사랑하는 잔잔한 넉넉함입니다. ... 도종환 '가을 사랑' 닷새라는 연휴가 이어지면서 고향을 찾는 차량도 다소 분산돼 예전처럼 아주 심한 고생을 하지 않았고 한가위 전날 귀성전쟁보다도 귀경전쟁으로 고속도로가 크게 막힌 것을 보면 연휴 분산효과는 확실했다. 아마도 그 전날 미리 고향을 갔다가 대도시로 돌아오는 사람들이 많아졌다는 뜻이리라. 그러니 이반 한가위는 고향집에서 보낸 분들이나 도시로 돌아온 분들이나 한가위를 즐기는 방법은 조금 달라졌을 것이다. 다만 어디서건 흩어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