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이정식 사장! 오늘 아침에 당신을 가슴속에서 꺼내어 다시 생각했네. 이번 주가 그리스도의 수난 주간이고 이번 일요일이 부활절인 때문인지도 모르겠네. 지난해 10월 중순에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듣고 장례식에도 가지 못해 매우 미안했는데, 딱 반년이 지나 이제 당신을 다시 불러보는 것이네. 내가 아는 가장 열심히 산 방송기자 이정식. 원래 CBS 기자였는데 언론통폐합 탓에 KBS로 와서는 1985년 여름에 느닷없이 나한테 《북경특파원》이라는 멋진 책을 하나 건네어 나를 놀라게 하고 주눅 들게 한 사람. 일찍부터 책을 써내어 기자가 책을 써야 한다는 것을 나에게 가르쳐 주었지. 곧 다시 친정인 CBS로 가더니 워싱턴 특파원에다 정치부장에다 사장까지 하면서 경영도 잘하고 책도 많이 써낸 유능한 기자. 사장을 그만두고서는 교수도 하고 다른 미디어 경영도 하면서 어느 틈엔가 노래에 빠져 성악가를 뺨치는 실력으로 몇 번의 콘서트를 열며 노래하는 최고경영자로 유명해졌고 우리 가곡의 역사를 정리하면서 러시아 문학 기행을 하고, 톨스토이를 가장 가까이에서 우리 곁으로 이끌고 온 사람. 당신 덕택에 나도 그 뒤로 책을 많이 쓰게 되었고, 사범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남쪽 지방에서 시작된 노란 산수유꽃이 서울 곳곳에서도 모습을 드러냈다. 봄 처녀의 화려한 나들이가 시작된 것이다. 1942년 봄 남쪽에서 서울 청년에게 이런 편지가 왔다. “경주박물관에는 지금 노오란 산수유 꽃이 한창입니다. 늘 외롭게 가서 보곤 했는데, 마음속의 님과 함께 볼 수 있는 감격을 지금부터 기다리겠습니다.” 이 편지를 받고 서울의 청년은 설레는 마음으로 경주 쪽으로 가는 기차에 몸을 실었다. 경주 근처 건천역에서 열차를 내리자 어떤 청년이 한지에 자기 이름을 써 들고 서울에서 온 청년을 맞았다. 둘은 곧 서로를 얼싸안았고 몇날몇일을 함께 지내며 삶과 문학을 논했다. 석굴암 본존불 앞에서 기념사진도 찍었다. 서울에서 내려간 22살의 조지훈이 26살의 박목월을 만난 순간이었다. 3년 전인 1939년 2월 서울에서는 《문장》이란 잡지가 창간되었다. 소설가 이태준이 편집인이었다. 표지의 문장(文章)이란 글자는 추사 김정희의 글씨를 모은 것이었다. 1939년 《문장》 창간호에 박목월이란 시인이 시 「길처럼」으로 등장했다. 그 해 《문장》 3월호에는 조지훈이 「고풍의상(古風衣裳」, 12월호에는 「승무(僧舞)」가 추천을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경북 의성군 단촌면에는 등운산(騰雲山)이 있다. 구름으로 오른다는 뜻인데 해발고도가 그리 높지는 않지만, 산허리에 늘 구름을 이고 있어서 그런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 등운산에는 고운사(孤雲寺)라는 절이 있다. 절 주변은 일품으로 평가받는 멋진 송림이 있고 거기서는 송이버섯 또한 많이 난다고 알려져 있다. 산 중턱에 자리 잡은 고운사는 넘북국시대(통일신라) 신문왕 때인 681년에 의상대사에 의해 창건되었고 원래 이름은 고운사(高雲寺)였는데 나중에 신라말 고운 최치원(857~ 미상)이 스님들과 함께 가운루(駕雲樓)와 우화루(羽化樓)란 두 건물을 지은 후 절 이름도 최치원의 호인 고운(孤雲)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이 절을 대표하는 건물인 가운루는 절 입구 계곡의 양쪽 기슭을 가로질러 세운 누각이다. 계곡 가장 낮은 곳 암반에 돌기둥을 새우고 그 위에 다시 나무기둥을 올린 다음에 마루를 놓아 하층을 이루고 상층은 공포를 두른 팔작지붕을 올렸다. 이 누각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큰 규모임에도 계곡과 조화를 이루어 앞뒤가 웅장할 뿐만 아니라 건물 자체도 결구가 지극히 아름다워 멋진 운치를 자랑하였다. 우리나라 절에는 계곡을 가로질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