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올해 겨울은 예년보다 춥고 눈도 제법 많이 내리고 있다. 지난주 금요일은 ‘대한’이었는데, 예전에는 소한 대한 추위가 별로 세지 않았던 것 같은데 올해는 센 정도가 아니라 매섭고 그것이 설 연휴로 이어졌다. 모처럼 겨울 같은 겨울에 새해를 맞은 셈이다. 그렇게 추운 어느 날 서울 시내에 일이 있어서 나가 보니 다들 움츠리고 길을 걷는데, 헐벗은 가로수들 기둥들에서 무슨 알록달록한 색깔이 보인다. "어 이거 뭐지? "하고 가까이 가 보니 나무들이 털실로 된 천을 두르고 있는 것이 아닌가? 사람 눈높이 정도니까 목도리라고 하기도 그렇고 조끼라고 하기도 그렇지만 허리나 어깨 정도의 높이에 꽃이 수 놓인 뜨개질 천들이 나무 기둥을 잘 감싸주고 있는 게 아닌가? 처음 볼 때는 기계로 뜬 것이겠거니 했는데 가까이 가서 만져보니 진짜 손으로 뜬 털실이다. 그리고 그 솜씨가 아주 뛰어나서, 작품마다 아주 아름답다. 은은한 초록 바탕에 매화꽃이 활짝 핀 것도 있고 노란 해바라기꽃 같은 것도 있다. 때로는 섬세하게 때로는 대담하게 진한 색조의 대비가 우울한 겨울의 거리에서 밝은색의 향연으로 눈을 확 끌어당긴다. 이 회색의 음산한 도시 겨울에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며칠 있으면 설이구나. 어릴 때 설을 마냥 기다리던 생각이 난다. 그때는 다들 먹는 것이 부실할 때여서 설이나 한가위 등 명절이 되면 큰 집이건 외갓집이건 가서 할머니 할아버지를 만나 인사를 드리고는 곧 맛있는 음식을 실컷 먹을 수 있어 그날이 기다려졌다. 그런데 그런 달콤한 기억 가운데 빼놓을 수 없는 것이 할머니로부터 옛날이야기 듣는 것이었다. 특히 설에는 대부분 날씨가 추우니 미리 초저녁에 군불을 때어 뜨끈뜨끈해진 안방 아랫목에 넓은 이불을 펴고 그 안에 발을 집어넣어 무릎을 맞대고는 할머니로부터 옛날이야기를 듣는 것이다. 대충 간식도 먹고 나면 우리는 할머니 팔을 붙잡고 흔들며 옛날이야기를 해 달라고 조른다. 곶감을 좋아하던 호랑이, 달순이 별순이 이야기 등 몇 번씩이나 들어서 줄거리를 다 알지만 들을 때마다 재미있었다. 친구들 만나보면 이야기 솜씨가 좋은 할머니들은 별별 이야기를 다 해주신다고 한다. 요즘 우리 손자 손녀가 딱 그때 내가 이야기를 들을 때 나이여서 손주들이 명절에 집에 오면 옛날이야기를 해 달라고 조른다. 할아버지인 나는 말솜씨가 없어 할머니한테 미루면 집사람은 어떻게든 애들을 무릎 앞에 앉히고 이야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지금으로부터 꼭 400년 전인 1623년 3월 13일, 광해군을 몰아내고 인조반정에 성공한 공신들은 금부도사와 선전관을 평양으로 급파한다. 거기에는 7년동안 평안감사를 하고 있는 박엽이라는 장군이 있었다. 왕명을 받은 선전관 일행은 군사를 동원해 평안감영에 갑자기 들이닥친다. 그리고는 사정도 모르는 박엽을 불러내어 목을 벤다. 그 이후 기록된 《조선왕조실록》이나 다른 기록들을 보면 박엽은 평안감사로 있으면서 "탐욕스럽고 포학하며 방자해서 아무 거리낌이 없었다. 그래서 새로 익랑(翼廊, 날개처럼 펼쳐진 회랑) 70여 칸을 지어 연달아 장방(長房)을 만들고, 도내의 명창 백여 명을 모아 날마다 함께 거처하며 밤낮으로 오락을 일삼았다. 늘상 음탕한 짓을 하되 조금이라도 뜻에 맞지 않으면 사정없이 매를 때리고, 결미(結米, 조선 때 논밭의 결(結)에 따라 조세로 바치던 쌀)를 받아들이되 수를 배로 해서 독촉하여 조금이라도 어기거나 늦추는 일이 있으면 참혹한 형벌을 써서 죽이곤 했다. 도내의 이름난 기생을 모아서 날마다 한 곳에서 밤낮 즐기며 풍마(風馬) 놀음을 하니, 하루에 소용되는 곡식이 6, 70섬이었으며, 참혹하게 형을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