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8 (화)

  • 맑음동두천 25.3℃
  • 맑음강릉 27.0℃
  • 맑음서울 26.5℃
  • 맑음대전 27.9℃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25.0℃
  • 맑음광주 27.1℃
  • 맑음부산 24.9℃
  • 맑음고창 24.0℃
  • 맑음제주 25.3℃
  • 맑음강화 21.1℃
  • 맑음보은 25.8℃
  • 맑음금산 26.6℃
  • 맑음강진군 27.2℃
  • 맑음경주시 28.1℃
  • 맑음거제 26.6℃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돈의문박물관마을, 전시 <토지를 쓰던 세월> 개막

박경리 《토지》 완간 30돌 기림
원고지 4만 장의 대작 토지를 통해 박경리의 삶을 돌아본 돈의문박물관마을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서울시 돈의문박물관마을에서 작가 박경리의 대하소설 《토지》 완간 30돌을 기려 특별 전시 <토지를 쓰던 세월>이 열린다. 다산북스와 토지문화재단의 협력으로 여는 이번 전시는 오는 5월 16일부터 12월 31일까지 돈의문박물관마을 삼대가옥에서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전시 기간 : 5월 16일(목) ~12월 31일(화)

○관람 시간 : 아침 10시 ~ 저녁 7시

○전시 장소 : 돈의문박물관마을 삼대가옥

 

 

개막식은 16일 낮 11시 (주)쥬스컴퍼니(돈의문마을) 박재길 이사의 환영사로 시작하여 토지문화재단 김세희 이사장, 다산북스 김선식 대표이사의 기념사로 진행된다. 이후 관계자와 함께 전시장 관람으로 마무리된다.

 

특별전시 <토지를 쓰던 세월>은 한국문학의 걸작인 ‘토지’의 작가 박경리의 삶을 《토지》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1973년 첫 출판해 완간까지 26년이 걸린 원고지 4만여 장의 대작 ‘토지’ 속 한국 근대사의 비극과 가족 서사를 통해 한국의 역사에 대해 사색하고 박경리의 삶을 조망할 수 있다.

 

이번 전시는 최참판 일가와 이용 일가를 중심으로 하는 가족사 소설이기도 한 《토지》의 전시가 실제로 3대가 함께 살았던 삶의 흔적이 쌓인 돈의문박물관마을 삼대가옥에서 진행하게 된 것도 주목할 점이다. 1층에서는 박경리의 작품에 담긴 삶의 소중함과 인간 존엄의 값어치를 읽고 공감하는 공간으로 꾸며져 있으며 2층은 다산북스의 어린이 출판 도서를 감상할 수 있는 작은 도서관이 마련되어 있다.

 

 

 

 

 

 

또 돈의문박물관마을의 예술인 공간지원 사업인 ‘모두의 예술관’ 프로젝트가 지원한 2개의 전시가 진행된다. 첫째는 시민갤러리에서 진행되는 대학연합동아리 ‘루미나르’의 청년 사진작가들의 시선을 기록한 사진전 ‘오버랩:너와 나의 서울’이다.

 

○‘오버랩 : 너와 나의 서울’ 전시 기간 : 5월 9일(목) ~ 6월 2일(일)

○‘오버랩 : 너와 나의 서울’ 관람 시간 : 아침 10시 ~ 저녁 6시

○‘오버랩 : 너와 나의 서울’ 전시 장소 : 돈의문박물관마을 시민갤러리

 

두 번째는 호작과 정우물 두 작가가 받은 편지를 통해 추상적인 사랑을 되짚어 보는 ‘사랑은 ♡모양이 아니다’가 돈의문 스튜디오에서 진행된다.

 

○‘사랑은 ♡모양이 아니다’ 전시 기간 : 5월 14일(화) ~ 6월 30일(일)

○‘사랑은 ♡모양이 아니다’ 관람 시간 : 아침 10시 ~ 저녁 6시

○‘사랑은 ♡모양이 아니다’ 전시 장소 : 돈의문박물관마을 돈의문 스튜디오

 

전시 외에도 돈의문박물관마을에서는 오는 5월 17일(금)~19일(일)까지 진행되는 전통 공예 장터인 <돈의문 저잣거리>가 열린다. 한복을 차려입은 상인들이 마을 곳곳에서 장신구와 한복 등 전통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상품을 판매해 주목된다.

 

○전통 공예 장터<돈의문 저잣거리> 행사 일정 : 5월 17일(금)~19일(일)

○전통 공예 장터<돈의문 저잣거리> 진행 시간 : 낮 12시 ~ 저녁 6시, *일요일 저녁 5시까지

 

자세한 사항은 마을안내소(02-739-6994) 문의 또는 돈의문박물관마을 누리집과 인스타그램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돈의문박물관마을 누리집 : dmvillage.info

- 돈의문박물관마을 인스타그램 : instagram.com/donuimunmuseumvill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