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5 (화)

  • 구름조금동두천 23.3℃
  • 구름조금강릉 23.5℃
  • 맑음서울 24.8℃
  • 구름많음대전 25.1℃
  • 구름많음대구 26.9℃
  • 구름많음울산 25.6℃
  • 흐림광주 25.1℃
  • 흐림부산 23.5℃
  • 구름많음고창 24.1℃
  • 흐림제주 22.6℃
  • 구름조금강화 23.0℃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4.2℃
  • 흐림강진군 26.1℃
  • 구름많음경주시 26.7℃
  • 흐림거제 22.8℃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우리문화편지

「탕춘대성」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 됐다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948]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지난 4월 9일 문화재청은 수도 성곽인 한양도성, 대피성인 북한산성과 함께 조선후기 도성 방어체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문화유산인 「탕춘대성」을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했습니다. 한양도성과 북한산성을 연결하고 있는 「탕춘대성」은 3개의 성이 유기적인 하나의 도성 방어체계를 구축하여 운용될 수 있도록 쌓은 독창적인 방어성입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뒤 도성 방어체계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숙종 41년(1715년) 축조를 시작하여 영조 30년(1754년)에 완성하였지요.

 

 

「탕춘대성」은 평시에는 성안에 설치된 군량 보관창고인 평창(平倉)을 지키고, 전시에는 평창(平倉)에 비축했던 군량을 한양도성과 북한산성에 보급하는 기지 역할을 하였다. 한양도성을 지키기 어려워지면 조정과 도성민이 북한산성으로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는 통로가 되어 조선후기 3개의 성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새로운 방식의 도성 방어체계를 구축하는 데 이바지했습니다.

 

특히, 성곽의 잔존상태가 좋으며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인접한 성을 연결하면서 군량 보급과 지휘를 하는 배후 성으로 한양도성, 북한산성과 함께 조선후기 도성 방어체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문화유산입니다. 현재 문화재청은 서울시와 함께 ‘한양의 수도성곽’이라는 이름으로 탕춘대성, 한양도성, 북한산성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으며, 지난해 9월 유네스코에 예비평가 신청서를 제출한 상태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