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5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2℃
  • 구름많음강릉 25.7℃
  • 구름많음서울 26.3℃
  • 구름조금대전 27.4℃
  • 구름많음대구 29.0℃
  • 구름많음울산 27.8℃
  • 구름많음광주 28.4℃
  • 흐림부산 24.9℃
  • 구름많음고창 26.8℃
  • 흐림제주 23.0℃
  • 구름조금강화 25.1℃
  • 구름많음보은 26.0℃
  • 구름조금금산 26.5℃
  • 구름많음강진군 29.2℃
  • 구름많음경주시 29.1℃
  • 흐림거제 24.2℃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우리문화편지

광화문 현판, 한글이어야 한다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950]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며칠 전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말 "세종대왕 동상이 앞에 있는데 그 뒤편에 보이는 한자로 쓰인 현판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든다."라고 한 말에 누리꾼 가운데는 “수도 서울 한복판 광화문 현판 한글로 바꿉시다.“라고 댓글을 단 사람이 있는가 하면 ”힘들게 복원한 거 그냥 둬라, 한자로 쓰여있다 해서 한국 역사가 사라지는 것도 아니다.“라고 부정적인 댓글을 쓴 사람도 있었습니다.

 

 

여기서 반대 댓글을 단 누리꾼들을 보면 유 장관의 뜻을 제대로 헤아려 볼 생각 없이 무조건 반대만 한 것도 있어 보여서 안타까웠습니다. 분명히 해야 할 것은 지금 달려있는 광화문 한자 현판은 세종 때의 원형도 아니고 고종 때 훈련대장 임태영이 세종 때 ’원형‘을 모른 채 썼는데 그것도 훈련대장이 직접 썼던 것이 아닌 복제품이어서 그 현판을 붙이는 것은 일반적으로 말하는 문화재로의 복원이 아닌 것입니다.

 

광화문은 한문에 능통했던 세종임금이 자기 기득권을 버리고 백성을 위해 훈민정음을 창제했던 경복궁의 정문인데 한자로 복제품을 만들어 붙이는 것은 문제입니다. 한글은 작은 중화를 벗어난 자주 문화를 상징합니다. 많은 세계인이 광화문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을 때 한국을 상징하는 한글이 아닌 중국어로 알려진 글자 곧 한자 현판이 있으면 그들이 한국을 어떻게 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