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30 (일)

  • 흐림동두천 22.6℃
  • 구름많음강릉 23.8℃
  • 흐림서울 23.2℃
  • 흐림대전 24.9℃
  • 구름많음대구 30.9℃
  • 흐림울산 26.7℃
  • 광주 24.5℃
  • 부산 23.1℃
  • 흐림고창 24.1℃
  • 제주 27.6℃
  • 구름많음강화 25.2℃
  • 흐림보은 24.9℃
  • 흐림금산 24.7℃
  • 흐림강진군 25.2℃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3.5℃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우리문화편지

‘카멜리아힐’ 대신 ‘동백언덕’이 어떨까?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952]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제주도 서귀포시 안덕면에는 ‘카멜리아힐’이 있습니다. ‘카멜리아힐’은 주로 동백꽃으로 많이 알려졌지만, 최근엔 수국꽃으로도 유명합니다. 우리의 토종 동백꽃은 모두 붉은 홑꽃잎이며, 분홍동백과 흰동백은 아주 드물게 만날 수 있습니다. 겹꽃잎에 여러 가지 색깔을 갖는 동백도 흔히 볼 수 있지만, 이는 자연산이 아니라 일본인들이 만든 고급 원예품종이 대부분입니다.

 

 

동백은 서남해안 지방은 물론 우리나라 섬 지방 어디서든 우리를 반갑게 맞아주는데 한국과 대만,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하는 동아시아 원산 꽃입니다. 문헌 가운데 고려 말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에서는 오래전부터 동백을 좋아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동백나무는 정부가 지정한 나라 밖 반출 승인 대상 생물자원으로 몇몇 자생지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돼 있을 정도로 우리 토종 꽃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동백(冬柏)으로 부르는 것을 학명이 ‘Camellia japonica L.’이라 하여 ‘카멜리아힐’이라고 부르는 것은 오히려 멋이 없어 보입니다. 물론 ‘카멜리아힐’에는 곳곳에 “동백 기념품은 여기”, “꽃 한 송이, 풀 하나가 모여 정원을 이루고, 정원에 사람이 모여 다시 또 이 추운 겨울을 포근히 납니다.” 같은 우리말로 쓴 간판이나 안내문이 보여 정겹습니다. 다만 우리말로 <동백언덕>이라 하면 좋을 것을 포스터도 한글이 전혀 보이지 않고 영어로만 쓰인 ‘카메리아힐’은 안타깝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