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8 (금)

  • 맑음동두천 19.2℃
  • 구름조금강릉 22.3℃
  • 맑음서울 22.0℃
  • 흐림대전 18.6℃
  • 박무대구 18.5℃
  • 구름많음울산 18.8℃
  • 맑음광주 19.4℃
  • 흐림부산 20.1℃
  • 구름조금고창 17.4℃
  • 제주 20.7℃
  • 맑음강화 18.2℃
  • 구름조금보은 14.0℃
  • 구름조금금산 16.0℃
  • 맑음강진군 17.8℃
  • 구름많음경주시 17.4℃
  • 구름많음거제 19.2℃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우리문화편지

조선시대 상의원 597명의 장인이 있었다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957]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지난 2014년에 개봉한 <상의원>이란 영화가 있었습니다. 조선시대 왕실의 의복을 만들던 공간 ‘상의원’에서 펼쳐지는 아름다움을 향한 대결이 조선의 운명을 뒤흔든다는 이야기였지요. 옷 잘 짓기로 소문난 이공진 역의 고수, 어침장 조돌석 역의 한석규, 왕비 역의 박신혜, 그리고 임금으로 나온 유연석의 치열한 연기 대결이 볼만했던 이원석 감독의 영화였지요.

 

 

상의원(尙衣院)이란 조선시대 임금과 왕비의 옷을 만들어 바치고 내부의 금은보화와 임금이 쓰는 지ㆍ필ㆍ연ㆍ묵(紙筆硯墨 : 종이, 붓, 벼루, 먹)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공조(工曹) 소속의 관아입니다. 상의원에서는 일상적인 관례에 따라 매달 초하루와 보름, 생일, 명절, 절기에 대전, 대왕대비전, 중궁전, 세자궁, 빈궁 등 각 전과 궁에 정해진 물품을 진상하고, 왕실 의례가 있을 때, 또는 임금의 명령이 있을 때 필요한 물품을 공급하였지요.

 

상의원은 일정한 수의 공장(工匠)을 소속시키고 관원을 두어 관리하게 하였는데 세종 때에 467명이었던 공장이 《경국대전(經國大典, 조선 최고의 법전)》에 68종 597명으로 규정되었습니다. 소속된 공장에는 성장(筬匠, 베틀의 바디를 만드는 일을 맡아 하던 사람), 능라장(綾羅匠, 비단을 짜던 장인), 합사장(合絲匠, 실 꼬는 일을 맡아 하던 사람), 연사장(鍊絲匠, 옷감을 잿물에 삶아 희고 부드럽게 하는 사람) 등 제직(製織) 관련 장인이 220명으로 전체의 1/3을 넘어설 만큼 비중이 컸습니다. 그 밖에 복식류, 관모류, 피혁ㆍ모피류, 신발류, 염색ㆍ물감, 무기류, 빗류, 악기류 등을 다루고 제작하는 장인들도 있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