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팔도봉화산악지도(海東八道烽火山岳地圖)”라는 옛 지도는 보물 제1533호입니다.
이 지도는 17세기 말에 그려진 것으로 전국 팔도에 있는 봉수대를 표시한 것인데
봉수대를 표시하려고 각 고을의 큰 산(주산, 主山)은 물론 봉화를 올리는 산을 모두
표시하였지요. 또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지리산에서 끝나는 백두대간을 강조하여
그렸습니다. 산 위의 봉수대는 촛불처럼 그려져 있는데, 압록강과 두만강의 국경
지대와 경상도 지역에 밀집되어 있지요.또 지도의 특징을 보면 압록강 너머 안시성을 포함한 간도 땅이 조선영토로 되어 있고, 울릉도 옆에 우산도(于山島)로 표시한 독도가 있습니다. 다만, 우산도는 울릉도의 오른쪽이 아니라 왼쪽에 그려진 것이 다릅니다. 이 지도는 2m에 달하는 큰 것으로 봉수로의 상세한 표현과 뛰어난 회화성이 돋보여 고지도 분야뿐만 아니라 회화사적으로도 가치가 높다고 합니다.
참고 : ≪한국의 옛 지도≫, 문화재청, 2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