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날이 오면, 그날이 오면 / 삼각산이 일어나 더덩실 춤이라도 추고 / 한강 물이 뒤집혀 용솟음칠 그날이 / 이 목숨이 끊기기 전에 와 주기만 할 양이면 / 나는 밤 하늘에 날으는 까마귀와 같이 / 종로의 인경(人磬)을 머리로 들이받아 울리오리다 / 두개골은 깨어져 산산조각이 나도 / 기뻐서 죽사오매 오히려 무슨 한이 남으오리까."
위 시는 심훈이 쓴 “그날이 오면”입니다. 나이가 지긋한 분들은 심훈의 소설 <상록수(常綠樹)>를 기억할 것입니다. 1935년 동아일보사에서 주최한 '창간15주년기념 장편소설 특별공모' 당선작으로, 그해 9월 10일부터 1936년 2월 15일까지 연재되었지요. 이광수의 〈흙〉과 더불어 일제강점기에 농촌계몽과 민족주의를 고취시켰다는 점에서 한국 농촌소설의 쌍벽을 이루는 작품입니다. 다만, 이광수는 훗날 친일문학가로 남고 심훈은 독립운동가로 길이 추앙을 받게 되는 점이 다릅니다.
<상록수>는 경기도 안산 샘골에서 나라를 빼앗긴 암울한 시대에 처녀의 몸으로 농촌계몽운동과 민족의식 고취를 위해 힘쓰다가 26살에 요절한 실존인물 최용신(崔容信) 선생을 그린 작품입니다. 심훈은 충남 당진군 송악면 부곡리에 “붓으로 밭을 일군다.”라는 뜻의 필경사(筆耕舍)란 집필실을 손수 설계하여 짓고 이곳에서 '상록수'를 완성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 소설을 완성하고 난 이듬해 당시 유행하던 장티프스에 걸려 그만 안타깝게도 36살의 젊은 나이로 숨을 거두지요. 당진 부곡리 필경사에는 그의 무덤과 그의 체온을 느낄 수 있는 유작품 따위가 전시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