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종실록 (1399)1년 기묘 기록에 보면, 중추원 부사 구성우의 처 유씨는 계집종 영생을 죽이는 등 악행을 저질러 헌사(憲司)에서 유씨를 죽이기로 했는데 임금이 말하기를,“범한 죄가 크기는 하지만, 봄·여름은 만물이 생장하는 때라, 옛 법에도 죽이는 것을 꺼렸으니, 추분(秋分) 뒤를 기다려서 단죄하는 것이 어떻겠는가?” 라는 기록이 있습니다.
모레는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고 서서히 음의 기운이 커진다는 24절기의 16째 추분입니다. 요즘 추분에 대한 생각은 낮과 밤의 길이가 같다는 정도로 생각하고 있지만 옛 기록에는 한결같이 제사를 지낼 만큼 신성시 했던 날이지요. 특히 춘분과 추분뒤에는 춘사일(春社日), 추사일(秋社日)이라고 해서 농사 시작 때는 농사가 잘 되는 마음으로 가을걷이 때는 수확을 감사하는 마음으로 제사를 지냈습니다.
추분은 해가 북에서 남으로 적도를 통과하는 때여서 낮밤의 길이가 같아지는데 이는 더함도 덜함도 없는 중용을 뜻하는 것임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살아가면서 중용을 지키기가 쉽지 않지만 중용은 우리가 살아가는데 중요한 자세지요. 오늘날 24절기를 시대와 맞지 않는 농경문화 시대의 유물쯤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많은데 추분 즈음에 벼가 고개를 숙이듯 24절기를 통해 세상 살아가는 이치와 마음씀씀이도 생각해보면 좋을 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