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7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한글 28문제로 나는 한글박사

한글 기본 상식 짚어보기 0X 28문제

[한국문화신문 = 김슬옹 교수]  한글은 144312(음력)에 창제되고 14469월 상순(음력)에 반포되었다. 북한은 창제한 날을 기리고 남한은 반포한 날을 각각 양력으로 바꿔 기린다. 그래서 북한의 조선글날(훈민정음 기념일)115일이고 남한의 한글날은 109일이다. 창제를 기리는 의미에서 한글에 대한 기본 상식 또는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는 퀴즈 28 문제를 마련해 보았다.

 * 맞춘 문제 수:  25문제 이상 - 아주 뛰어남  / 20문제~24문제 -  뛰어남  / 19문제 ~ 15문제 보통  / 14 ~10문제 -  노력 필요 /  9문제 이하 - 치열하게 노력 필요

   
▲ 세종은 백성을 위해 쉽게 배울 글자를 고민했다. (그림 이무성 한국화가)

                          
한글 기본 상식 짚어보기 0X 28문제

1. 세종이 우리말을 만들었다.( )
2. 한글을 창제한 사실을 세종이 처음 알린 날은 144312(음력)이다. ( )
3. 한글(훈민정음)을 일반 백성들에게 반포한 날은 1446109(음력)이다. ( )
4. 한글은 조선시대 고종의 국문 칙령이 반포(1895) 되기 전에는 공식문자(공용문자)가 아니었다. ( )
5 한글은 세종과 집현전 학사들이 함께 창제했다. ( )

6. 세종이 1446년에 직접 펴낸 <훈민정음>해례본은 현재 간송본과 상주본 두 권이 남아 있다.(*상주본이 원본이라 인정할 경우) ( )
7. 최만리, 신석조, 김문, 정창손, 하위지, 송처검, 조근 등 일곱 명은 한글 창제 후에 반대 상소를 올렸다.( )
8. 조선시대 양반들은 많은 상소를 올려 한글 사용 자체를 반대했다.( )
9. 한글 반포 후에 중국은 조선의 훈민정음이라는 새 문자를 주목했다. ( )
10. 한글은 조선시대 때 훈민정음이라 주로 불렀다.( )


11. 연산군은 한글을 무조건 못쓰게 했다. ( )
12. 한글의 우수성을 서양에 처음으로 알린 이는 하멜이다. ( )
13. 한글은 조선시대 때 주로 하층민에 의해 발전했다. ( )
14. 세종은 한문으로 된 <훈민정음> 해례본과 이 가운데 정음편을 한글로 옮기고 풀어낸 훈민정음 언해본을 동시에 펴냈다.( )
15. 한글은 세계 기록 유산이다. ( )

16. 일반 공공 문서에서 띄어쓰기를 처음으로 한 것은 독립신문(1896)에서였다. ( )
17. 북한의 조선글날도 109일이다. ( )
18. ‘한글이란 명칭은 북한에도 쓴다.( )
19. ‘언문은 낮춤말로 세종은 이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다.( )
20. 한글 자음 은 혀끝이 입천장에 닿는 모습을 본떴다. ( )

21. 한글 자음 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습을 본떴다. ( )
22. 모음을 만든 기본자는 ‘ ·, ,세 자이다.( )
23. 15세기 훈민정음 기본자는 28자이다.( )
24. 현대 한글 기본자는 모음자 14, 자음자 10자 모두 24자이다.( )
25. 실제 쓰이는 현대 한글 자음자와 모음자를 모두 합치면 40자이다.( )

26. 현대 한글 자모로 조합할 수 있는 글자 수는 11,172자이다. ( )
27. 정조 임금과 정약용, 박지원 같은 위대한 실학자들도 한글을 즐겨 썼다.( )
28. 구운몽, 서포만필 등 한글 소설을 남기고 한글을 나랏글로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한 이는허균이었다.

 

<답과 풀이>

1) 세종이 우리말을 만들었다. (X) *도움말: 세종이 만든 것은 우리글, 한글이다.  

2) 한글을 창제한 사실을 세종이 처음 알린 날은 144312(음력)이다. (0) *도움말: 1443년 음력 12월에 창제되었다. 정확한 날짜 기록은 없다. 대략 10여년 이상의 비밀 연구 끝에 28자를 완성한 뒤 일부 신하들에게 알린 것이므로 무슨 특허 발명품처럼 특정 날짜를 드러내기 어려웠을 것이다. 세종실록 1443년 음력 1230일자 기록에 이달에 임금이 친히 언문 28자를 만들었다.”라고 하였다. 

3) 한글(훈민정음)을 일반 백성들에게 반포한 날은 1446109(음력)이다.(X) *도움말: 1443년 음력 9월 상한(상순)에 반포되었다. 상순은 1일부터 10일 사이를 가리킨다. 그래서 상순의 마지막 날인 910일을 기준으로 양력으로 바꿔 정한 날이 한글날 109일이다. 

   
▲ 훈민정음반포도 (訓民正音頒布圖)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제공

4) 한글은 조선시대 고종의 국문 칙령이 반포(1895) 되기 전에는 공식문자(공용문자)가 아니었다.(X) *도움말: 당연히 공식문자였다. 다만 한자가 주류(1) 공식문자였고 한글은 비주류(2) 공식문자였다. 공식문자란 공적 주체가 공적 상황 속에서 제도나 법률에 의해 공표되고 시행된 문자를 말한다. 한글은 공적 주체인 임금(세종)이 만들고 나라에서 펴낸 각종 문서에 사용되었다. 조선 최고의 법전인 경국대전에서는 하급 관리 과거 과목으로 설정하였고 삼강행실과 같은 국가 윤리를 한글(언문)으로 풀어 백성들에게 가르치도록 규정하였다. 

   
▲ 조선시대의 기본법전 《경국대전(經國大典)》

고종의 국문 칙령은 비주류 공식문자로서의 한글(국문)을 주류 공식문자로 선언한 것이다. 그런대도 고등학교 교과서와 대다수 국어사학자들은 공식문자가 아니었다고 잘못된 지식을 가르치고 있다. 한글을 주류 문자로 선언한 것은 1895년 고종의 국문 칙령이었다. 

고종은 국문(한글)을 본을 삼고 한문 번역이 국한문 혼용문을 함께 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1894년에는 내각에 지시하고 1895년에는 전국에 반포했다. 이 칙령 자체가 한문과 국한문 혼용으로 발표되어 온전한 주류 문자의 면모를 갖추지는 못했지만 주류 문자로 선언한 것만은 분명하다.  

5) 한글은 세종과 집현전 학사들이 함께 창제했다. (X) *도움말: 공동 창제는 공개 연구를 했다는 것인데 그 자체가 불가능하다. 1443년 창제 후에 한글 반포를 위한 연구를 집현전 일부 학사들과 함께 하여 <훈민정음> 해례본을 신하들(정인지, 최항, 박팽년, 신숙주, 성삼문, 이개, 이선로, 강희안)과 함께 펴내다 보니 공동 창제설이 널리 퍼졌다.  

6) 세종이 1446년에 직접 펴낸 훈민정음 도움말서(해례본)는 현재 간송본과 상주본 두 권이 남아 있다.(*상주본이 원본이라 인정할 경우) (X) *도움말: 발견된 것이 두 권이다. 어딘가에 또 남아 있을 수 있다 

   
▲ <훈민정음> 해례본

7) 최만리, 신석조, 김문, 정창손, 하위지, 송처검, 조근 등 일곱 명은 한글 창제 후에 반대 상소를 올렸다.(0) *도움말: 28자의 창제는 1443년 음력 12월이고 최만리 외 6인이 반대 상소를 올린 것은 1444년 음력 220일이다. 그러므로 창제를 반대했다기보다는 반포를 반대했다고 보아야 한다. 그리고 최만리 혼자 반대 상소를 올린 것은 아니라 여섯 명과 함께 올린 연명 상소였다. 최만리는 당시 집현전 부제학으로 최고의 학자요 청백리로서 뛰어난 학자였다. 이 상소 때문에 우리는 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과정 등의 여러 문제를 자세히 알게 되었다. 한글을 반대했다고 해서 지금의 시각으로 나쁘게 평가해서는 안 된다.  

8) 조선시대 양반들은 많은 상소를 올려 한글 사용 자체를 반대했다.(X) *도움말: 조선시대 양반들이 한글 자체를 반대하지는 않았다. 1446년 정식 반포 이후 단 한 건의 반대 상소도 남아 있지 않다. 다만 2류 문자로 철저히 무시했다.  

9) 한글 반포 후에 중국은 조선의 훈민정음이라는 새 문자를 주목했다. (X) *도움말: 조선은 새 문자 창제 사실을 중국에 적극적으로 알리지는 않았다. 그러나 중국 한자음 표기에 대한 두 권의 책을 공식 출판했다. 동국정운(1448)과 홍무정운역훈(1455/단종3)을 펴냈다. 특히 홍무정운역훈은 8권이나 되는 방대한 책으로 명나라 태조의 명으로 펴낸 <홍무정운>의 한자음을 한글로 표기한 책이다. 이는 중국이 천 년 이상 그들의 발음을 온전하게 표기하지 못한 것을 정확하게 표기한 그 당시 한자 문화권의 지각변동과 같은 혁명과 같은 책이었다.  

그런대도 중국(명나라)은 정치적으로나 학문적으로나 공식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철저히 무시한 것이다. 일부에서는 중국이 몰랐을 것이라고 하지만 위 책들이 공식 출판되었으므로 아예 몰랐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만 위 책들이 중국에 얼마나 전해졌는지 알 수 없고, 세종이 운명했을 때 중국에 알린 부고(세종 32/1450/02/20_세종실록)에 나열한 세종 업적에 훈민정음 관련 내용이 없고 중종 34년인 1539년 세종실록 1122일자 기록에 주양우가 한글을 중국인에게 가르쳐 준 사건이 드러나 기밀 누설죄로 처벌을 받았다는 기록으로 보아 아예 당시 조선 훈민정음 반포 사실을 숨겼다는 설도 있다 

   
▲ 세종대왕 어진(세종대왕기념사업회 제공}

10) 한글은 조선시대 때 훈민정음이라 주로 불렀다.(X) *도움말: ‘훈민정음은 특별한 때만 쓰였고 실제로는 주로 언문이라 불리다가 1910년 이후 한글이란 명칭이 널리 퍼졌다. 

11) 연산군은 한글을 무조건 못쓰게 했다. (X) *도움말: 16세기 초인 1504년에 연산군은 자신을 비판한 한글 벽서에 분노하여 한글을 배우거나 쓰지 못하게 하였으나 한문을 한글로 번역한 책은 예외로 하였고 궁녀들에게 한글로 노래 가사를 가르치기도 했다. 

12) 한글의 우수성을 서양에 처음으로 알린 이는 하멜이다. (0) 하멜은 하멜표류기에서 조선에는 한자, 이두보다 더 뛰어난 문자(언문)가 있다고 썼다.  

문자를 쓰는 데는 세 가지 다른 방법이 있다. 첫 번째 것은 주로 쓰는 방식인데 중국이나 일본의 글자(한자, 괄호 인용자)와 같다. 조정과 관계된 공식적인 국가 문서뿐만 아니라 모든 책들이 이런 식으로 인쇄된다. 두 번째 것(이두, 인용자)은 네덜란드의 필기체처럼 매우 빨리 쓰는 문자가 있는데 이 문자는 고관이나 지방관들이 포고령을 쓰거나 청원서에 대한 권고를 덧붙일 때 쓰며 서로 편지를 쓸 때에도 사용한다. 일반 백성들은 이 문자를 잘 읽을 수가 없다. 세 번째 것은 일반 백성들이 사용하는 문자로 배우기가 매우 쉽고, 어떤 사물이든지 쓸 수 있다. 전에 결코 들어 보지 못한 것도 표기할 수 있는, 더 쉽고 더 나은 문자 표기 방법이다. 그들은 이 글씨들을 붓으로 매우 능숙하게 빨리 쓴다._헨드릭 하멜/김태진 옮김(2003). 하멜표류기. 서해문집. 136-7.” 

13) 한글은 조선시대 때 주로 하층민에 의해 발전했다. (X) *도움말: 하층민은 평민이하를 가리킨다. 조선시대에 하층민은 문자생활 자체가 힘들었다. 한글을 만든 것도 지배층이고 이를 널리 보급한 것도 지배층이었다. 물론 하층민과의 소통을 전제로 만든 것이므로 하층민이 한글 창제와 발전의 계기가 된 것도 분명하다.  

14) 세종은 한문으로 된 <훈민정음> 해례본과 이 가운데 정음편을 한글로 옮기고 풀어낸 훈민정음 언해본을 동시에 펴냈다.(X ).  *도움말: 훈민정음 언해본은 세조가 세조 5년(1459년)에 <월인석보> 첫머리에 실어 펴냈다. 단독으로 출판된 기록은 없다.

   
▲ 훈민정음 언해본’인출본(도경 박웅서 작)

15) 한글은 세계 기록 유산이다. (X) *도움말: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된 것은 세종이 1446년에 펴낸 <훈민정음>이란 책으로 흔히 훈민정음 해례본이라 부른다 

16) 일반 공공 문서에서 띄어쓰기를 처음으로 한 것은 독립신문(1896)에서였다. (0) *도움말: 공공 매체에서 띄어쓰기를 한 것은 독립신문이 처음이다. 일반 문서가 아니라면 독립신문보다 20여년 앞서 영국인 목사 존 로스가 1877년에 펴낸 <Corean Primer>(조선어 첫걸음)에서 띄어쓰기를 하였다. 

   
▲ 독립신문사터 빗돌(왼쪽), 독립신문

17) 북한에는 한글날(10.9)이 없다. (0) *도움말: 남한과 같은 한글날은 없다. 대신 115일을 조선글날 또는 훈민정음 기념일로 삼아 기린다. 남한은 반포를 기준으로 북한은 창제를 기준으로 기념일을 삼았다. 

18) ‘한글이란 명칭은 북한에도 쓴다.(X) *도움말: ‘한글이란 명칭은 분단 이전인 1910년이후부터 쓰이고 있지만 북한에서는 이 용어를 남한의 용어로 규정하고 쓰지 않는다. 북한에서는 조선글이라 한다.  

19) ‘언문은 낮춤말로 세종은 이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다.(X) *도움말: ‘언문은 원래는 훈민정음을 가리키는 보통 명칭이었지만 사대부들이 깔보다 보니 낮춤말이 되었다. 세종도 언문이란 용어를 사용하였다.  

20) 한글 자음 은 혀끝이 입천장에 닿는 모습을 본떴다. (X) *도움말: <훈민정음> 해례본에서는 혀가 윗잇몸에 닿는 모습을 본떴다고 했다. ‘/등을 발음해 보면 그 모습을 정확히 알아챌 수 있다. 

   
▲ 15세기 훈민정음 기본 자음자 17자의 제자 원리

21) 한글 자음 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습을 본떴다. (0) *도움말: ‘/등을 발음해 보면 그 모습을 정확히 알아챌 수 있다. 

22) 모음을 만든 기본자는 ‘ ·, ,세 자이다. (0) *도움말: 각각 하늘, , 사람을 본떴다. 하늘은 양성, 땅은 음성, 사람은 중성을 뜻하는 것으르 우리말에 있는 음양의 기운과 양성모음(, )은 양성모음끼리, 음성모음(, )은 음성모음끼리 어울리는 모음조화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함이었다 

   
▲ 15세기 기본 모음자 11자의 제자 원리

23) 15세기 훈민정음 기본자는 28자이다. (0) *도움말: 자음 17, 모음 11자 모두 28자였고 이 중 네 글자가 안 쓰이거나 변형되었다. 

24) 현대 한글 기본자는 모음자 14, 자음자 10자 모두 24자이다. (X) *도움말: 자음자가 14, 모음자가 10자이다. 

25) 실제 쓰이는 현대 한글 자음자와 모음자를 모두 합치면 40자이다.(0) *도움말: 자음자는 기본 자음자 외에 된소리글자 5자가 더 있어 19, 모음자는 기본 10자 외에 11자가 더 있어 21, 모두 40자이다. 

26) 현대 한글 자모로 조합할 수 있는 글자 수는 11,172자이다.(0) *도움말: 첫소리글자(초성자)로 쓸 수 있는 자음자가 19, 가운뎃소리글자(중성자)로 쓰이는 글자가 21, 끝소리글자(종성자, 받침)으로 쓰일 수 있는 자음이 겹받침 포함 27자이다. 따라서 받침 없는 글자는 19*21=399, 받침 있는 글자는 399*27=10,773자이다. 받침 없는 글자와 받침 있는 글자를 합치면 11,172자이다. 실제 쓰이는 글자는 대략 2500자 정도 된다. 

27) 정조 임금과 정약용, 박지원 같은 위대한 실학자들도 한글을 즐겨 썼다.(X) *도움말: 정조는 한글 편지와 한글 윤음서 등을 남겼으나 즐겨 쓰지는 않았다. 정약용과 박지원은 한글 사용을 싫어하였고 사용 자체를 거부하였다. 

28) 구운몽, 서포만필 등 한글 소설을 남기고 한글을 나랏글로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한 이는 허균이었다. (X) *도움말: 김만중이다. 김만중은 한글 소설도 남겼지만 평론집인 <서포만필>에서 한글을 국서(나랏글)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당시로는 혁명과 같은 주장이었다. 물론 허균도 홍길동이라는 걸작 한글소설과 한글 표기 시를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