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 《우리말과 삶을 가꾸는 글쓰기》 회보에 실리는 다른 글들과 마찬가지로 신정숙 선생님이 쓴 <적색과 아이보리>도 아주 재미있게 읽고 여러 가지를 깨달았습니다. 빛깔을 뜻하는 우리말이 한자말과 서양말에 밀려서 아주 자리를 내놓고 말았으니 어쩌면 좋겠느냐 하는 걱정이었지요. 우리 겨레가 스스로 만들어 쓰는 토박이말이 중국말에 일천오백 년, 일본말에 일백 년, 서양말에 오십 년을 짓밟혀 많이도 죽었지요. 그렇게 죽어 버린 우리말들을 갈래에 따라 살펴보면 좋은 공부가 되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말의 주검들을 어루만지며 서럽고 안타까운 마음으로 우리 겨레의 삶을 뉘우칠 수도 있겠지요. 그런데 내가 이 글을 쓰는 까닭은 신 선생님이 ‘반물’이라는 낱말의 참뜻을 몰라서 애태운 것 때문입니다. 국어사전들이 ‘반물’을 올림말로 싣지도 않았으니 어디서 참뜻을 알아보겠습니까? 애를 태운 끝에 찾아낸 것이 반물은 ‘암키와색’이라는 것이었어요. 그래서 암키와든 수키와든 빛깔이야 다를 게 없으니, “반물색이라 하기보다 ‘기와색’이라고 하면 어떨까 싶다.” 그랬지요? 그런데 그건 우리네 국어사전들이 모두 엉터리라서 그렇게 되었어요. ‘반물
[우리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 한여름 땡볕이 쨍쨍 내리쪼이는 삼복더위를 라디오와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여러 해 전부터 줄곧 “무더위가 기승을 부린다.” 하는 ‘소리’로 온 세상 사람들 들으라고 떠들어 댔다. 이것은 말이 안 되기 때문에 ‘소리’라는 비아냥거림을 들어야 마땅하다. 이럴 때에는 ‘한더위가 기승을 부린다.’ 하거나 더욱 뜨거우면 ‘불볕더위가 기승을 부린다.’ 해야 올바른 우리말이 된다. 때가 마침 초복ㆍ중복ㆍ말복 사이라면 ‘복더위가 기승을 부린다.’ 또는 ‘삼복더위가 기승을 부린다.’ 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처럼 바짝 마른 땡볕더위를 ‘무더위’라고 떠드는 것은 틀림없이 ‘무더위’라는 낱말의 뜻을 제대로 모르기 때문일 것이다 싶어서, 가까이 만나는 몇몇 사람들에게 “‘무덥다’라는 낱말의 뜻이 뭡니까?” 하고 물어보았다. 거의가 ‘매우 덥다’, ‘몹시 덥다’, ‘아주 덥다’ 같은 껍데기 뜻풀이 대답뿐이었는데, ‘무’라는 앞가지에 무게를 두어서 ‘무섭게 덥다’ 하는 놀라운 대답도 나왔다. 그러니까 ‘무더위’는 ‘무서운 더위’라는 것이다. 놀랍기는 놀라운 대답인데, 우리말의 신세가 이처럼 버림받았는가 싶어서 놀라웠다. 국어사전들이 뜻풀이를 잘못해서
[우리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 《표준국어대사전》은 ‘겨레’를 “같은 핏줄을 이어받은 민족”이라고 풀이해 놓았다. ‘같은 핏줄을 이어받은’을 ‘민족’ 앞에 끌어다 놓은 것은 참으로 헛된 짓이다. 같은 핏줄을 이어받지 않은 것이라면 애초에 ‘민족’이라 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고 보면 《표준국어대사전》은 알밤 같은 토박이말 ‘겨레’를 개똥 같은 한자말 ‘민족’으로 바꾸어 놓았을 뿐이다. 또 ‘민족’을 찾아보면 “일정한 지역에서 오랜 세월 동안 공동생활을 하면서 언어와 문화상의 공통성에 기초하여 역사적으로 형성된 사회 집단”이라고 해 놓았다. 온통 한자말투성이어서 여느 사람은 무슨 소린지 모르겠다. 이것을 그대로 토박이말로 뒤쳐 보면, ‘한곳에 오래도록 함께 살면서 같은 말과 삶으로 이루어진 동아리’가 된다. 얼마나 쉽고 또렷한가! 국어사전이 ‘겨레’를 ‘민족’이라 하니까 사람들이 우리말 ‘겨레’는 버리고 남의 말 ‘민족’만 쓰면서, 남녘 한국에서는 ‘한민족’이라 하고 북녘 조선에서는 ‘조선민족’이라 한다. 같은 겨레이면서 저마다 다른 반쪽을 도려내 버리고 남은 반쪽인 저만을 끌어안는 이름을 만들어 부르며 살아가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남이나 북이나 틈만
[우리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 ‘먹거리’라는 낱말이 한때 제법 쓰이다가 잠시 자취를 감춘 듯했었는데 이제 다시 살아났다. 한때 제법 쓰인 데에도 어느 한 분의 애태움이 있었고, 자취를 감춘 말미에도 어느 한 분의 걱정이 있었음을 나는 안다. 나처럼 이런 속내를 아는 사람은, 말이라는 것이 저절로 생겨났다가 저절로 죽어 버린다는 통설을 곧이 믿기가 어려워진다. 말이라는 것이 더불어 쓰는 사람들의 소리 없는 약속으로 살아나기도 하고 죽어 버리기도 하지만, 알고 보면 반드시 맨 처음에는 누군가가 씨앗을 뿌려야 하고 마침내 누군가가 싹을 자를 수도 있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지 않을 수 없다는 말이다. 나는 ‘먹거리’를 살리려 애태우던 분을 만나지는 못했으나, 그분이 ‘먹거리’라는 낱말을 살리려고 애를 태우던 시절의 한 고비를 잘 알고 있다. 내가 대학에 있던 1970년대 후반에 그분은 우리 대학으로 ‘먹거리’라는 낱말을 써도 좋으냐고 글을 보내 물어 왔다. 그분이 보낸 글에는 자신이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에서 일하며, 우리말에는 영어 ‘food’처럼 사람이 먹을 수 있는 모든 것을 싸잡는 낱말이 없어 찾아 헤맨 사연이 붙어 있었다. 그리고 마침내 ‘먹거리’라는
[우리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 《표준국어대사전》은 ‘말씀’에다 “남의 말을 높여 이르는 말”이라는 풀이와 “자기의 말을 낮추어 이르는 말”이라는 풀이를 함께 달아 놓았다. 그러면서 뒤쪽 풀이의 보기로 “말씀을 올리다.”와 “말씀을 드리다.”를 들었다. 《우리말큰사전》과 《조선말대사전》을 보니 거기도 두 가지 풀이를 함께 달아 놓았지만, 뒤쪽 풀이를 《표준국어대사전》과는 달리 “상대방을 높이어 자기의 말을 이르는 말”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 풀이의 보기는 역시 “말씀을 올리다.”와 “말씀을 드리다.”를 들어 놓았다. 《표준국어대사전》을 따르면 ‘말씀’이란 ‘남의 말’일 적에는 높여 이르는 것이 되고, ‘자기 말’일 적에는 낮추어 이르는 것이 된다. 같은 ‘말씀’이라도 남이 쓰면 ‘높임말’이 되지만, 자기가 쓰면 ‘낮춤말’이 된다는 소리다. 《우리말큰사전》과 《조선말대사전》에 따르면 ‘말씀’이란 남의 말이거나 자기 말이거나 늘 ‘높임말’일 뿐이다. 다만, 남의 말일 적에는 그 ‘말’을 높이느라 높임말이 되는 것이고, 자기 말일 적에는 ‘상대 쪽’ 사람을 높이느라 높임말이 되는 것이다. 어느 쪽이 올바른 풀이일까? 당연히 《우리말큰사전》과 《조선말대사전》
[우리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 ‘마음’은 몸과 달리 눈에 보이지도 않고 손에 만져지지도 않는 사람의 속살이다. 마음을 ‘사람의 속살’이라고 하는 말은 몸을 ‘사람의 껍데기’라고 하는 말과 짝을 이룬다. 우리 겨레는 사람을 ‘몸’과 ‘마음’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여기기 때문이다. 사람의 속살인 마음은 세 겹으로 이루어져 있다. ‘느낌’과 ‘생각’과 ‘뜻’이 마음을 이루는 세 겹의 이름이다. 이들 세 낱말의 속뜻을 잘 살피면 마음의 속살을 제대로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느낌’은 움직씨 ‘느끼다’에서 끝바꿈하여 이름씨로 넘어온 낱말이다. 마음의 다른 속살인 ‘생각’과 ‘뜻’이 본디부터 이름씨 낱말인 것과는 아주 다르다. 느낌이 생각과 뜻과는 달리 움직임을 두드러지게 드러내는 속살임을 알게 해 준다. 몸을 둘러싼 바깥세상이 쉬지 않고 움직이며 바뀌는 것에 따라 걷잡을 수 없이 흔들리며 바뀌는 마음의 속살이 느낌인 까닭을 이런 말의 뿌리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는 뜻이다. ‘느낌’은 춥고 덥고, 밝고 어둡고, 시끄럽고 고요하고, 쓰고 달고, 매캐하고 향기롭고…… 이런 것들이다. 이런 느낌은 모두 몸을 둘러싸고 있는 세상, 곧 자연과 사회에 살갗, 눈, 귀, 코,
[우리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 우리나라 곳곳에는 아직도 ‘마고할미’의 자취가 두루 널려 있다. 북으로는 평안도에서 남으로는 제주도까지, 놀랄 만큼 큰 돌이 있는 곳이면 으레 마고할미 이야기가 거기 살아 있다. 제주도에서는 ‘설문대할망’, 충남 바닷가에서는 ‘갱구할미’라고 하여 이름을 조금 달리 부르기도 하고, 이야기 줄거리도 곳곳마다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이야기 꼬투리는 모두 서로 비슷해서 본디는 커다란 하나의 이야기에서 흩어져 나간 것들임을 짐작케 한다. 꼬투리들을 대충 들어 보면, ① 마고할미는 하늘에서 내려온 여인이며(충북 단양), 본디 하늘에 살던 하느님의 딸이었다(지리산). ② 키가 하늘에 닿아서 해를 가리고(경남 통영), 한라산 꼭대기를 베개 삼아 베고 누우면 발은 제주 앞바다 관탈섬에 얹혔고(제주), 옷을 입고 춤을 추자 삼남 지방에 그늘이 져서 농사를 지을 수가 없었다(충남 바닷가). ③ 자연을 만드는 힘이 있어서 치마폭에 흙을 담아 나르다가 터진 구멍으로 흘러서 오름들이 되고, 마지막 날라다 부은 흙은 한라산이 되었으며(제주), 임금님에게 쫓겨나서 주리고 목이 말라 흙을 먹고 바닷물을 마시다가 설사를 하였더니 우리 강산이 되었고(충
[우리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뜬금없다’를 찾으면 “갑작스럽고도 엉뚱하다.”라고만 풀이해 놓았다. 그게 아니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속이 후련하지는 않다. 어째서 속이 후련하지 않을까? ‘뜬금’이 무엇인지 알려 주지 않아서 그렇지 않을까 싶다. 뜬금을 알자면 먼저 ‘금’을 알아야 한다. 우리 토박이말의 ‘금’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금’은 ‘값’과 더불어 쓰이는 것이다. ‘값’은 알다시피 남의 것을 내 것으로 만들 적에 내놓는 돈이며, 거꾸로 내가 가진 것을 남에게 건네주고 받아 내는 돈이기도 하다. 닷새 만에 열리는 장날에는 팔려는 것을 내놓는 장수와 사려는 것을 찾는 손님들로 장터가 시끌벅적하다. 값을 올리려는 장수와 값을 낮추려는 손님이 흥정으로 줄을 당기느라 눈에 보이지 않는 실랑이도 불꽃을 튀긴다. 그런데 우리 고장같이 농사로 살아가는 곳의 장날 장터는 크게 둘로 갈라진다. 농사꾼들끼리 저마다 팔거리를 내놓고 서로 팔고 사는 ‘장터거리’와 장사꾼이 자리를 잡아 물건을 벌여 놓고 손님을 기다리는 ‘전포’들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들 두 곳에서는 흥정으로 불꽃 튀는 실랑이를 벌이지 않는다. 한쪽은 서로 빤히 사
[우리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 사람은 누구나 한 삶을 살아가면서 이런 일 저런 일을 겪게 마련이고, 그러면서 세상 돌아가는 속내를 조금씩 알게 되고 나름대로 이치를 깨닫기도 한다. 이렇게 세상 돌아가는 속내를 ‘아는 것’과 세상 돌아가는 이치를 ‘깨닫는 것’이야말로 삶의 보배로운 두 등불이다. ‘앎’과 ‘깨달음’, 이들 두 가지 가운데서도 삶의 길을 멀리까지 올바르게 비춰 주는 밝은 등불은 말할 나위도 없이 ‘깨달음’이다. 그런데 요즘 우리는 어쩐 일인지 앎에는 굶주리고 목말라 하면서도 깨달음에는 마음을 두지 않는 듯하다. 하기야 신문이다 라디오다 텔레비전이다 인터넷이다 하면서 눈만 뜨면 쏟아져 달려드는 온갖 소식이 끊이지 않으니, 그것을 알기에도 시간이 모자라는 판이다. 어느 겨를에 깨달음까지 걱정할 수 있을 것인가! 그러나 깨달음에 마음을 쓰지 않고 앎에만 매달리면 삶은 뜬구름같이 가벼워지고 말 것이다. 알찬 삶을 살고자 하는 사람이나 알찬 세상을 꿈꾸는 동아리는 반드시 깨달음을 얻는 일에 마음을 써야 한다. 그런데 요즘 우리는 ‘깨닫는 것’이 무엇인지조차 모르고 살아가는 듯하다. 그것이 삶의 참된 등불이라는 사실조차 잊어버린 채로 살아가고 있는 것
[우리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굿’을 “여러 사이 모여 떠들썩하거나 신명 나는 구경거리”라고 풀이한 다음에, “무속의 종교 제의. 무당이 음식을 차려 놓고 노래를 하고 춤을 추며 귀신에게 인간의 길흉화복을 조절하여 달라고 비는 의식”이라고 풀이해 놓았다. 그러나 이는 ‘굿’이라는 낱말의 뿌리와 가지를 가늠하지 못하여 뜻의 차례를 거꾸로 내놓은 것이다. “무속의 종교 제의. 무당이 음식을 차려 놓고 노래를 하고 춤을 추며 귀신에게 인간의 길흉화복을 조절하여 달라고 비는 의식”이라고 먼저 풀이한 다음에 “여러 사람이 모여 떠들썩하거나 신명 나는 구경거리”라고 해야 뜻의 뿌리와 가지를 올바로 내놓는 것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굿의 뿌리를 “무당이 음식을 차려 놓고 노래를 하고 춤을 추며 귀신에게 인간의 길흉화복을 조절하여 달라고 비는 의식”이라 해 놓은 것은 요즘의 굿만을, 그것도 껍데기만 보고 적어 놓은 것이다. 굿은 우리 겨레와 더불어 길고 긴 세월을 살아왔기 때문에, ‘굿’이라는 낱말의 뜻을 풀이하려면 그런 세월의 흐름을 제대로 알아야 한다. 굿의 본디 모습은 중국 사람들이 저들의 역사를 적으면서 곁눈질한 자취로 변죽만 간신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