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 땅과 흙을 가려 쓰지 못하고 헷갈리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들의 뜻을 가려서 이야기해 보라면 망설일 사람이 적지 않을 듯하다. 뜻은 잘 가려 쓸 수 있으면서 그것을 제대로 풀어 이야기하기 어려운 까닭은 무엇일까? 그 까닭은 가르칠 수 있을 만큼 아는 사람들이 이런 우리말을 버리고 남의 말을 뽐내며 즐겨 쓰느라 가르치지 않았기 때문이다. 안다는 사람들이 가르치지 않는데 모르는 사람들이 어떻게 배우겠는가? 공부하고 글 읽어 안다는 사람들은 우리말 땅과 흙을 버리고 남의 말 토지니 영토니 토양이니, 대지니 하는 것들을 빌어다 쓰면서 새로운 세상이라도 찾은 듯이 우쭐거렸다. 그러나 그것은 우리가 똑똑하고 환하게 알고 있던 세상을 내버리고, 알 듯 모를 듯 어름어름한 세상으로 끌려 들어간 것일 뿐이었음을 이제라도 깨달아야 한다. 땅은 우리가 뿌리내려 살아가는 터전을 뜻한다. 우리는 땅을 닦고 터를 다듬어 집을 짓고 마을을 이루며, 땅을 헤집고 논밭을 일구어 먹거리를 얻어서 살아간다. 삶의 터전인 땅에서 온갖 목숨이 태어나고 자라고 꽃피고 열매 맺는다. 세상 온갖 목숨을 낳고 기르는 어머니가 바로 이 땅이라는 말이다.
[우리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 돕다와 거들다 같은 낱말도 요즘은 거의 뜻가림을 하지 않고 뒤죽박죽으로 쓴다. 《표준국어대사전》을 들여다보면 그 까닭을 알 만하다. 돕다 : 남이 하는 일이 잘되도록 거들거나 힘을 보태다. 거들다 : 남이 하는 일을 함께 하면서 돕다. 《표준국어대사전》 이러니 사람들이 돕다와 거들다를 뒤죽박죽 헷갈려 쓰지 않을 수가 없는 것이다. 이들 두 낱말은 서로 비슷한 뜻을 지녀서 얼마쯤 겹쳐지는 구석이 있게 마련이지만, 여러 가지 잣대에서 쓰임새와 뜻이 사뭇 다르다. 무엇보다도 돕다는 사람을 겨냥하여 쓰는 낱말이고, 거들다는 일을 겨냥하여 쓰는 낱말이다. 앞을 못 보거나 말을 듣지 못하는 사람을 돕고, 배고픔과 헐벗음에 허덕이는 사람을 돕고, 힘겨운 일에 짓눌려 괴로워하는 사람을 돕는다. 한편, 힘이 부쳐서 이겨 내지 못하는 일을 거들고, 너무 많고 벅차서 감당하지 못하는 일을 거들고, 정한 시간에 마무리를 못 해서 허덕이는 일을 거든다. 이처럼 사람을 돕고 일을 거든다고 하면 쓰임새가 옳지만, 일을 돕고 사람을 거든다고 하면 쓰임새가 틀리는 것이다. ▲ 돕다는 몸과 마음으로 주는 것이지만, 거들다는 몸으로만 주는 것 (
[우리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 는개는 국어사전에도 올라서 꽤 널리 알려진 낱말인데,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안개보다는 조금 굵고 이슬비보다는 가는 비라고 풀이해 놓았다. 굳이 틀렸다고 할 것까지는 없지만 알맹이를 놓쳐서 많이 모자라는 풀이다. 는개는 늘어진 안개라는 어구가 줄어진 낱말임을 밝히지 못했기 때문이다. 안개 방울이 굵어지면 아래로 늘어져 거미줄 같은 줄이 되어 땅으로 내려앉으며 비가 되는데, 이런 것은 비라고 하기가 뭣해서 안개 쪽에다 붙여 는개라고 이름 지은 것이다. 는개처럼 비라고 하기가 어려워 비라고 하지 않은 것에 먼지잼도 있다. 먼지잼은 공중에 떠도는 먼지를 땅으로 데리고 내려와서 잠재우는 것이라는 뜻의 풀이를 그대로 줄여 만든 이름이다. 먼지잼은 빗방울이 는개처럼 아주 작기도 하지만, 공중의 먼지만을 겨우 재워 놓고 곧장 그쳐 버리는 비라는 뜻까지 담고 있다. 자연을 이처럼 깊이 꿰뚫어보고 감쪽같이 이름을 붙이며 살아온 겨레가 세상에 얼마나 될까? 먼지잼과 는개 다음으로 가장 가늘게 내리는 비가 이슬비다. 비가 오는 것 같지도 않은데 풀이나 나무의 잎에 내린 비가 모여서 이슬처럼 물방울이 맺혀 떨어진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그리
[우리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 스펀지라는 텔레비전 방송에서 재미나는 구경을 했다. 돼지 다섯 마리를 새로 만든 우리에 넣고 돼지가 똥오줌과 잠자리를 가릴지 못 가릴지를 알아보려고, 다섯 사람이 한 마리씩 맡아서 밤을 새우며 지켜보고 있었다. 그러던 가운데 한 놈이 구석에다 오줌을 누었다. 그러자 다른 놈들도 모두 똥이나 오줌을 그 구석에만 가서 잘 가려 누었다. 그런데 지켜보는 사람들은 돼지가 오줌이나 똥을 눌 때마다 한결같이 쌌습니다! 쌌습니다! 했다. 박문희 선생님이 유치원 아이들과 살면서 겪은 그대로였다. 똥오줌을 눈다와 똥오줌을 싼다를 가려 쓰지 않고 그냥 싼다로 써 버립니다. 똥오줌을 눈다는 말이 없어지고 있습니다. 변기에 눈 건지 바지에 싼 건지를 가려 쓰지 않으니 가려듣지 못합니다. 이러니 생활이 이만저만 불편한 게 아닙니다. 우리는 어려서부터 분명히 똥을 눈다, 똥을 싼다는 말을 가려 써 왔습니다. - 박문희, 《우리말 우리얼》 46호 ▲ 잠자다 요에 지도를 그리는 것은 오줌을 싸는 것이다.(뉴스툰-왼쪽), 오줌싸개 치료법이 등장한 기사(동아일보 1932년 9월 28일) 누다와 싸다는 다스림으로 가려진다. 누다는 똥이든 오줌이든 스스로
[우리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 고등학생 중학생까지 거리에 나와서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제발 하지 말아달라고 목 놓아 외쳤으나 박근혜 정부는 기어이 국무총리 황교안과 교육부총리 황우여를 내세워 쫓기듯이 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라는 글을 읽었고, 텔레비전들은 그것을 온 국민에게 알뜰히 보여주었다. 게다가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김정배는 국정교과서를 만드는 과녁과 걸음이며 글 쓸 사람 모으는 일까지 발도 빠르게 기자들 앞에서 밝혔다. ▲ 황교안 국무총리 현행 역사교과서에 붉은 칠을 했다.(그림 이무성 한국화가) 그래서 이제는 뒷북치는 꼴이 되었으나, 아직은 첫발을 온전히 떼어놓은 것도 아니기에 한 마디 하지 않을 수가 없다. 역사교과서를 국정화해야 한다는 소리가 청와대에서 나오자 여러 언론들이 시끄럽게 다루었지만, 설마 끝까지야 갈까 하면서 지켜보았으나 이제는 더 지켜볼 거리가 없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현실 문화의 흐름조차 도무지 가늠하지 못하는 박근혜 정부 무엇보다도 나는, 박근혜 정부가 국민 교육의 첫 디딤돌인 인류 문명의 흐름은커녕 우리나라 현실 문화의 흐름조차 도무지 가늠하지 못한다는 사실에 안타까움을 이길 수가 없다. 온 세상 사람이 모두 알다시피
[한국문화신문 = 김수업 명예교수] 누구와 아무는 요즘 거의 가려 쓸 수 없는 낱말처럼 되었다. 국어사전들을 들추어 보아도 두 낱말이 서로 어떻게 다른지를 알기 어렵다. 오히려 두 낱말은 서로 다를 것이 없다는 사실만을 헷갈리는 풀이들로 확인시켜 줄 뿐이다. 1) 《우리말큰사전》, 한글학회, 어문각, 1992 누구 : 알지 못할 의문의 사람. 또는 이름을 꼭 집어서 말할 수 없는 어떤 사람을 가리키는 말. 아무 : 누구라고 지정하지 아니하고 막연히 가리키는 사람. 2) 《조선말대사전》, 사회과학원, 사회과학출판사, 1992 누구 : ① 어느 사람인지 모를 때 의문의 뜻을 나타내는 말. ② 알기는 알아도 그 이름을 꼭 짚어 낼 필요가 없는 사람이나 확실히 알지 못하고 어렴풋이 아는 사람을 들띄워 놓고 가리키는 말. 아무 : 누구라고 꼭 찍어서 이르지 않고 들띄워 놓고 가리키는 말. 3)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연구원, 두산동아, 1999 누구 : ① 잘 모르는 사람을 가리키는 인칭 대명사. ② 특정한 사람이 아닌 막연한 사람을 가리키는 인칭 대명사. ③ 가리키는 대상을 굳이 밝혀서 말하지 않을 때 쓰는 인칭 대명사. 아무 : 어떤 사람을 특별히
[한국문화신문 = 김수업 명예교수] 일하다와 짝을 이루는 놀다는 일제의 침략을 만나서 갑자기 서러운 푸대접을 받았다. 저들은 우리네 피를 남김없이 빨아먹으려고 부지런히 일하기[근로]만을 값진 삶의 길이라 외치며 노는 것을 삶에서 몰아냈다. 일제를 몰아내고 분단과 전쟁과 산업화로 이어진 세월에서는 목숨 지키는 일조차 버거워서 놀다에 눈을 돌릴 겨를이 없었다. 그러나 놀다는 일하다를 돕고 북돋우고 들어올리는 노릇이고, 일하다에 짓눌린 사람을 풀어 주고 살려 주고 끌어올려 주는 노릇이며, 일하다로서는 닿을 수 없는 저 너머 다함없는 세상으로 사람의 마음을 데려다주는 노릇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네 삶에서 밀려난 놀다를 다시 불러들여 제대로 가꾸는 일에 슬기를 모아야 하는 것이다. 놀다는 네 가지 이름씨 낱말로 우리네 삶 안에 살아 있다. 움직씨 놀다에 가까운 것에서부터 놀기, 놀이, 놀음, 노름이 그것들이다. 그러니까 움직씨 놀다가 놀기라는 이름씨로 탈바꿈하여 벌어져 나오면, 놀이를 거치고 놀음에 닿았다가 마침내 노름까지 가지를 치며 나아가는 것이다. 놀기는 놀다를 이름씨로 바꾸어 놓았으나 제 몫은 여전히 놀다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데, 놀이에 이르면 일의 고
[한국문화신문 = 김수업 명예교수] 그림씨(형용사) 낱말은 본디 느낌을 드러내는 것이라, 뜻을 두부모 자르듯이 가려내는 노릇이 어렵다. 게다가 그림씨 낱말은 뜻덩이로 이루어진 한자말이 잡아먹을 수가 없어서 푸짐하게 살아남아 있다. 그러나 우리는 지난 세기 백 년 동안 소용돌이치는 세상을 살아오면서 선조들이 물려준 이런 토박이말을 제대로 건사하지 못했다. 그래서 뒤죽박죽 헷갈려 쓰는 바람에 힘센 낱말이 힘 여린 낱말을 밀어내고 혼자 판을 치게 되니, 고요히 저만의 뜻과 느낌을 지니고 살아가던 낱말들이 터전을 빼앗기고 적잖이 밀려났다. 날래다와 이르다 같은 낱말들도 625 전쟁 즈음부터 빠르다에 밀리면서 갈수록 설 자리를 잃어 가고 있다. 이대로 가면 머지않아 날래다와 이르다가 빠르다에 자리를 내주고 자취를 감출 듯하다. 우리네 정신의 삶터가 그만큼 비좁아지고 있다는 뜻이다. 빠르다는 무슨 일이나 어떤 움직임의 처음에서 끝까지 걸리는 시간의 길이가 짧다는 뜻이다. 일이나 움직임에 걸리는 시간의 길이가 길다는 뜻으로 쓰이는 더디다와 서로 거꾸로 짝을 이룬다. ▲ 굼뜨다란 말은 뜻이 다른 느리다에 밀려 사라질 위기에 있다.(그림 이무성 한국화가) 날래다는 사람
[한국문화신문 =김수업 명예교수] 기쁘다와 즐겁다는 누구나 자주 쓰지만 뜻을 가리지 못하고 마구 헷갈리는 낱말이다. 기쁘다 : 마음에 즐거운 느낌이 나다. 즐겁다 : 마음에 거슬림이 없이 흐믓하고 기쁘다. 《표준국어대사전》 국어사전에서 기쁘다를 즐겁다 하고, 즐겁다를 기쁘다 하니 사람들이 어찌 헷갈리지 않을 것인가! 요즘 사람들이 많이 찾아 읽는 어느 책에서는 즐겁다를 느낌이 오래가는 것이라 하고, 기쁘다를 느낌이 곧장 사라지는 것이라고 하였다. 여러 가지 쓰임새를 더듬어 뜻을 가리려 했으나, 이 역시 속살에는 닿지 못한 풀이다. 기쁘다와 즐겁다는 서로 비슷한 구석도 있고, 서로 다른 구석도 있다. 서로 비슷한 구석은 무엇인가? 기쁘다와 즐겁다는 모두 느낌을 뜻하는 낱말이다. 기쁘다는 것도 느낌이고 즐겁다는 것도 느낌이다. 그냥 느낌일 뿐만 아니라 좋은 쪽의 느낌이라는 것에서 더욱 비슷하다. 마음이 좋고, 기분이 좋고, 몸까지도 좋다는 느낌으로서 기쁘다와 즐겁다는 한결같다. 그렇다면 서로 다른 구석은 무엇인가? 기쁘다와 즐겁다는 느낌이 빚어지는 뿌리에서 다르다. 좋다는 느낌이 마음 깊은 데서 몸으로 밀고 나오면 기쁘고, 좋다는 느낌이 몸에서 마음으
[한국문화신문 = 김수업 명예교수] 지난 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국어 시험지에, 다음 밑금 그은 문장에서 맞춤법이 틀린 낱말을 찾아 고치시오.에서와 같이 밑금이라는 낱말이 자주 나왔다. 그런데 1960년대를 넘어서면서 밑금은 시나브로 꼬리를 감추고 밑줄이 슬금슬금 나타나더니 요즘은 모조리 밑줄뿐이다. 다음 밑줄 친 문장에서 맞춤법이 틀린 낱말을 찾아 고치시오.와 같이 되어 버린 것이다. 도대체 시험지 종이 바닥에다 무슨 재주로 줄을 친단 말인가? 금은 시험지나 나무판같이 바탕이 반반한 바닥 또는 바위나 그릇같이 울퉁불퉁하지만 겉이 반반한 바닥에 만들어진 자국을 뜻한다. 자국이라고 했지만, 점들로 이어져 가늘게 나타난 자국만을 금이라 한다. 사람이 일부러 만들면 금을 긋다 하고, 사람 아닌 다른 힘이 만들면 금이 가다 또는 금이 나다 한다. 사람이 만들 적에 쓰는 움직씨 긋다의 이름꼴이 곧 금이고, 그리다와 그림과 글도 본디 뿌리는 긋다에서 벋어난 낱말이다. 줄은 반반한 바닥(평면)에 자국으로 나 있는 금과는 달리,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이른바 입체로 이루어진 기다란 물건이다. 줄은 흔히 공중에 걸려 있도록 치는 것이고, 반반한 바닥이라면 떨어뜨려 놓을 수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