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보호법 시행령 제18조를 보면 “문화재청장은 중요무형문화재의 보유자 또는 보유단체로 하여금 해당 중요무형문화재의 전수교육을 3년 이상 받은 자에 대하여 기능 또는 예능을 심사하여 그 기능 또는 예능이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다고 판단되는 자에게 전수교육 이수증을 교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수교육 이수증을 발급한 중요무형문화재의 보유자 또는 보유단체는 1월 이내에 그 사실을 문화재청장에게 알려야 한다.”라는 조항이 있다. 과거에는 문화재청이 주관하던 이수증 교부의 권한을 보유자들에게 맡겨 놓고 이수증을 누구에게 발급했는가에 결과만 알려주게 되어 있다. 이수증 교부문제로 무형문화재의 해당 종목마다 반목과 불신의 벽이 높아만 가고 있는 현실을 직시한다면 문화재청의 편의주의는 그 원인을 제공한 책임을 면키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위 내용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으로 해당 문화재의 교육을 3년 이상 받은 자를 이수대상으로 한다는 점, 이들에 대한 기예능을 심사하여 상당한 수준임을 판단하는 방법, 이수증을 보유자나 보유단체가 발급하고 그 결과를 문화재청장에게 알린다는 사
문화재는 유형과 무형으로 구분된다. 유형이란 남대문이나 석굴암과 같이 형체가 있는 문화재이고 무형은 인간의 기예능과 같이 형체가 없는 문화재이다. 무형문화재 종목 안에 성악이나 기악과 같은 전통음악, 전통무용, 의식이나 놀이 등 등이 포함된다. 문화재 업무를 총괄하는 곳이 문화재청이다. 국악인 중에는 뜻밖에 무형문화재 정책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 듯하다. 필자 역시 이 분야가 매우 중요한 문제점들을 다루는 분야이기에 학술대회에 참여해 논문을 발표하거나 토론에 참여하여 의견을 제시해 보기도 하였다. 그럴 때마다 가능한 한 현장의 목소리들을 청취해서 핵심 사안에 접근해 보려고 다수 전승자나 학자, 관계전문가, 일반 애호가들을 만나 대화를 나누어 보기도 했던 것이다. 대부분 전승자는 본인들의 입장만을 앞세워 일방적으로 행정당국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는 내용이 주류를 이루었지만, 학자나 전문가들은 비교적 객관적인 입장에서 행정당국과 전승자들을 비판하는 자세를 보이고 있어 대조를 이루었다.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종목들은 형평성을 고려하지 않은 지정이니 보유자를 비롯
지난 10월 21일, 경기도 김포에서는 사단법인 ≪우리소리보존회≫ 이사장 조옥란 명창 외 공연자 60여 명이 김포지역의 어르신 위안을 겸한 제5회 시조발표회를 열어 가을밤 운치를 한껏 멋지게 장식하였다. 조옥란 명창은 여류 시조인으로 이름을 굳히고 있는 사람이다. 이미 오래전에 전국 시조대회를 휩쓸다시피 해서 세상을 놀라게 하였는데, 얼마 전에는 경기민요의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경기 국악제에서 영예의 대통령상을 차지하여 또다시 세상을 놀라게 한 장본인이다. 시조의 명창이 경기민요계를 제패하였다는 점으로도 그의 시조창 실력이나 민요창의 실력은 충분히 인정받고도 남는다 하겠다. 필자가 동국대 문화예술대학원에 출강할 때로 기억된다. 미모의 한 수강생이 매일 강의실 맨 앞자리를 차지하고 앉는데, 늘 책상 위에 녹음기를 앞에 놓고 앉아서 다소 부담스러웠던 기억이 있다. 가령 시간 중에 시조에 관련된 내용이거나, 또는 민요에 관련된 내용이면 그에게 시범창을 부탁하곤 했는데, 그때마다 그가 불러주는 노래소리에 모두 감탄했던 기억이 새롭다. 목소리도 목소리이지만 목구성이 뛰어나고
첫 겨울 바람 사이 졸으는 나무 잎들 햇빛은 못 닿아서 구름을 채찍하고 매미는 갈 곳 알고서 한나절 우는구나. 벌써 겨울이 오고 살 속을 파고드는 바람 사이로 몇 잎 안 남은 나뭇잎은 조는듯합니다. 햇빛을 가린 구름이 원망스러운 지금은 가을이 가고 겨울이 오는 스산한 때입니다.
아침놀 돋았으니 저녁녘엔 비가 올까? 밤에는 푸른 달 우악새 우악우악 단풍은 즈믄 길 가나 골 길을 달리나. * 우악새 : 으악새 곧 왜가리를 뜻함. * 즈믄 : 천(千) * 골 길 : 산골짜기
쑥스러워 그러느냐 약오른 꼴이냐 빠알간 얼굴은 불보다 뜨겁거늘 가는 갈 참아 못견뎌 살풀이 넘겨주네. * 갈 : 가을
최근 한 뉴스에서는 일본인들의 한국어 열풍에 대해 얘기합니다. 한국어 선생님을 소개하는 업체에는 한 달에 2백 명씩 수강생이 몰리고, NHK는 한국어가 일본 속에 침투하고 있다고 방송합니다. 또 지난 10월 7일 연합뉴스에는 ”교육과학기술부 산하 국립국제교육원이 주관하는 한국어능력시험은 일본 내 응시자가 1997년 1천 500명에서 올해 약 1만 3천 명으로 늘었다.”란 기사도 보입니다. 물론 일본인들의 이런 한국어 수강 열풍은 한류 열풍에 따른 것이지요. 그러나 일제강점기인 1931년 11월 29일부터 조선에서는 “조선어 사용 금지”가 실시됩니다. 그 최초 학교가 경북의 자인공립보통학교입니다. 이와 동시에 조선에서는 일본어 강제 사용이 시작되는 것이지요. 조선총독부는 거기에 더하여 1939년 11월 제령 제19호로 조선민사령(朝鮮民事令)을 개정하여 조선인의 성명제(姓名制)를 폐지하고 일본식 이름을 사용하라고 강요합니다. 말과 글 그리고 성까지 몽땅 일본인으로 만들자는 계획이지요. “만주족은 말에서 내렸기에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때의 말은 타
일반 백성과 양반가의 음식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보통 사람들은 이들의 차이를 음식의 재료나 종류, 그리고 가짓수나 조리법으로 봅니다. 물론 이런 것의 차이도 있지만 요리전문가에 따르면 그 차이는 조상이나 집안 어른을 위하는 마음 씀씀이에 있으며 양념으로 쓰는 실고추, 깨소금 하나에도 정성을 듬뿍 담는 데 있다고 합니다. 양념장 속의 양념은 진이 나도록 다졌고, 고명을 만들 때도 일정한 맛과 모양을 냈으며 쇠고기도 결을 따라 곱게 써는 것이 원칙이었지요. 그러고 보니 정성을 쏟아야 하는 음식은 일정한 시간이 필요한 것들입니다. 양지머리 고깃국이라도 끓이는 날엔 핏물을 빼려고 찬물에 담가두는 작업부터 시작하여 고기에 무, 대파, 마늘, 생강을 넣고 푹 고아야 합니다. 이때 국 위에 떠오른 것들은 일일이 서서 걷어내야 할뿐더러 다 끓여낸 국을 뜰 때는 국그릇을 뜨거운 물에 미리 담가 따뜻하게 한 다음 마른행주로 잘 닦아 담아내야 했지요. 국 한 대접이 밥상에 오르려면 어머니들의 이러한 정성과 공이 들어갔던 것입니다. 한국에도 한동안 서양의 패스트푸드가 유행하더니 요즈음
퇴호 이정렬(李貞烈, 1868~1950)은 조선 말기에 이조참판을 지낸 인물로 할머니가 명성황후의 이모입니다. 그는 17살 되던 해에 명성황후에게 당시 일본이 한반도에 대한 음흉한 모략을 꾸미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벼슬이 이조참판에까지 이르렀지만 34살 때 일본이 강제로 통상조약과 사법권 이양을 요구하자 자신은 나라를 팔아먹는 조정의 신하가 될 수 없다면서 관직을 포기하고 고향으로 내려갔습니다. 고향으로 내려간 그는 칠은계를 조직하여 충남 일대의 항일운동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그가 내려가 살던 곳은 충남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 설화산 아래입니다. 중요민속자료 제236호로 지정된 그곳 마을은 지금 “외암민속마을”이란 이름으로 사람들에게 한옥의 정취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외암민속마을 가운데서도 참판댁 이정렬의 집이 대표적입니다. 이곳은 예안 이씨 집안이 400년간 대대로 살아오는 마을로 조선 영조 때의 문신ㆍ학자
“유세차(維歲次) 단기 4344년 11월 24일 길시를 택하여, 여기 아무개 집에서 대주(남자 집주인) 아무개와 그 식구들이 모여 상량을 하게 되어 천지신명과 성주신께 상량의 마음을 표현하고자 자리를 마련하였사옵니다. 한옥짓기에 조상의 기술을 이을 수 있도록 해주시옵고 이 과정을 통해 조상의 슬기와 지혜, 삶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시옵고, 여기에 함께 모든 이에게 사고가 없기를 삼가 비옵나이다. 나름대로 정성껏 준비한 술과 음식을 올리니 삼가 흠향(歆饗)하여 주시옵소서.” 위 내용은 집을 새로 짓고 상량식을 할 때 읊는 축문(祝文)입니다. 기둥 위에 보를 얹고 지붕틀을 꾸민 다음 마룻대(상량)를 놓을 때 올리는 고사가 상량고사이지요. 한옥의 경우 마룻대를 올리면 외형은 마무리되고 이후부터는 벽을 치고 마루를 놓는 따위의 내부공사로 들어가게 되므로, 상량을 올리는 일은 큰 고비를 넘기는 중요행사입다. 따라서, 상량고사에는 지금까지의 노고를 자축하고 새로운 과정을 시작하는 다짐의 뜻이 포함됩니다. 상량고사를 건축의례 가운데 가장 성대히 지내는 것도 이 때문이지요. 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