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세계적으로 K콘텐츠가 확산되며 한국 문화가 새로운 시각으로 드러나고 있다. 영화와 K팝, 드라마 등으로 한류 콘텐츠의 소비가 늘어나고 한식이 자연스럽게 등장하면서 한식 문화가 한국을 알리는 전도사 역할을 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 이하 문체부)와 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이하 공진원)은 2020년부터 한식문화상자를 제작해 프랑스 파리와 영국 런던을 시작으로, 스웨덴 스톡홀름, 일본 오사카와 동경, 미국 로스앤젤레스 등 나라 밖 한국문화원에서 한식문화상자를 선보이며 올해 10개국 12곳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공진원은 우리 식문화의 값어치와 우수성을 효과적으로 세계인에게 소개하기 위해 한식 경향와 전통 한식, 공예, 전통생활문화 등을 한 번에 담아 ‘한식문화상자’를 개발했다. 각국 한국문화원을 통해 활용되는 한식문화상자는 《한식도락》과 《잔치시리즈》로 제작해 세계에 한식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있다. 달고나와 김밥, 떡볶이 등 미디어를 통해 쉽게 볼 수 있는 우리 음식과 된장, 고추장, 김치 등의 전통 한식까지 다양한 한식으로 구성한 《한식도락》은 한식 밸런스 게임과 짧은 영상의 한식 조리법, 보자기 매듭법, ASMR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국악원 민속악단이 떠나는 사람과 남겨진 사람들 사이의 ‘마지막 축제’인 장례 절차에서 불렀던 지역별 상여소리를 한데 엮어 정기공연으로 선보인다. 국립국악원(원장 김영운)은 올해 국립국악원 민속악단(예술감독 유지숙)의 정기공연으로 서도, 경기, 남도 지역의 상여소리를 중심으로 제작한 ‘꽃신 신고 훨훨’을 오는 6월 29일(목)과 30일(금) 이틀 동안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지난 5월 부임한 유지숙 민속악단 예술감독의 부임 이후 첫 작품으로, 민속악단의 정기공연으로는 처음 상엿소리를 주제로 한 무대를 꾸며 그 의미를 더한다. 처연하고 담담한 ‘서도 상여소리’, 인생의 다양한 감정 노래하는 ‘경기 상여소리’ 흥으로 삶의 미련 날려 보내는 ‘남도 상엿소리’로 삶과 죽음의 정서 담아내 이번 공연에서는 서도ㆍ경기ㆍ남도지역의 상엿소리를 비롯해 죽음을 다룬 노래와 음악으로 구성하였다. 지역별로 다른 상엿소리를 통해 음악적으로 다양한 정서를 담아냈고, 민요 잡가, 판소리, 무속음악 등을 한데 엮어 민속음악에 담긴 삶과 죽음의 조각을 함께 이어 작품을 구성했다. 슬픔을 다 내려놓은 듯 처연하고 담담한 북녘의 소리로 마음의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주루마니아 대한민국 대사관(대사 임갑수)은 루마니아 문화부와 함께 사단법인 한문화진흥협회(회장 정재민)를 루마니아로 초청하여 지난 22일, 서울 부쿠레슈티 국립극장에서 성공적으로 한복패션쇼를 선보였다 루마니아에서 처음 열린 한복패션쇼는 한문화외교사절단 정사무엘 단장과 한복외교사절단장 함은정 디자이너 그리고 대한민국 한복모델 선발대회 국가대표 한복모델(김민경, 김지영)들이 파견되어 우리 복식문화를 세계에 알렸다. 루마니아 떼아뜨룰 나찌오날 국립극장에서 열린 이번 행사에는 전 루마니아 대통령 에밀 콘스탄티네스쿠 (H.E.Emil Constantinescu), 상원의원(전 문화부장관) 루치안 로마슈카누 (H.E.Lucian Romașcanu), 루마니아 외교부 차관 안드레이 노박(H.E Andrei Novac)과 각국 대사와 외교사절단 등 주요인사들이 대거 참여하여 한국의 문화와 아름다움을 만끽하였다 총괄 연출을 책임진 정사무엘 단장은 "루마니아에도 한류바람이 시작되고 있어 전통과 현대의 조화로운 한국문화를 보여드리고 싶었다. 많은 분께서 한복패션쇼를 통해 더욱 한국문화의 아름다움을 즐기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한복패션쇼에 참여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우리 전통 한지를 소재로한 문화상품개발 아이디어 공모전이 열린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 이하 문체부)와 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이하 공진원)은 오는 6월 20일부터 8월 2일까지 ‘2023 한지문화상품개발 아이디어 공모전’을 연다. ‘전통 한지의 지속할 수 있는 값어치를 돋보이게 하는 현대적인 한지문화상품 개발’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공모전은 한지를 이용한 상품 개발에 관심 있는 자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공모는 분야별 전문가와 일반 국민의 심사를 거쳐 모두 15점*을 선정하고 지원금을 포함하여 5,950만 원 상당의 상금을 준다. * 대상 1팀(2,000만 원/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최우수상 2팀(1,000만 원/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장상), 우수상 3팀(각 300만 원/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장상), 장려상 9팀(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장상) 대상과 최우수 수상작에 대해서는 시제품 컨설팅 전문가를 연결해 상품화를 지원하고, 수상작을 사서 나라 안팎 홍보에 활용할 예정이다. 또한 수상작 특전으로 전문가 맞춤 컨설팅, 나라 안팎 홍보와 대면ㆍ비대면 유통 판로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공모 접수와 자세한 내용은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국어원(원장 장소원)은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회장 김영일), ㈜셀바스헬스케어(대표 유병탁)와 함께 점역 프로그램 ‘점사랑 4.0’을 개발하여 오는 22일 공개한다. ‘점사랑 4.0’은 묵자(‘점자’를 상대하여 비시각장애인이 쓰는 일반 활자를 이르는 말) 문서를 점자로 변환하는 윈도즈(Windows)용 점역 프로그램으로, 파일 관리, 문서 편집, 점자 파일 인쇄 등의 기능을 갖추고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한 점역 작업 환경을 제공한다. 표와 수식 점역 및 편집 기능, 다양한 문서 형식 지원 ‘점사랑 4.0’은 ‘묵자-점자 병렬말뭉치 구축’ 사업의 하나로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형식의 점역 문서를 지원하여 점역의 완성도를 현저히 높였다. 특히, ‘점사랑 4.0’은 문서 편집 기능을 강화하여 사용자가 더 쉽게 점자 출판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글 프로그램의 수식을 불러올 수 있는 수식 편집기나 표 자동 점역 기능은 기존 점역 프로그램에서 구현하지 못한 기능으로, 점자 문서 편집의 편의성을 크게 개선할 것으로 보인다. 점사랑 4.0 주요 기능 및 개선 사항 1. HWPX, DOC, D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이하 공진원)은 청년 전통문화 기획자를 양성하기 위한 전문인력양성 프로그램 <전통가온 러너과정> 참여자를 모집한다. 전통가온은 전통문화분야의 전문가들에게 전통문화 전반에 대한 교육과 교류를 지원해 전통문화 산업 전반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공진원의 전문인력양성 프로그램이다. 올해는 청년 전통문화 기획자 양성을 목적으로 러너과정을 신설, 전통문화 입문자까지 교육기회를 확대했다. <전통가온 러너과정>은 일상 곳곳에 스며있는 전통을 발굴 및 재해석하여 전통문화를 활성화하고, 청년 전통문화 기획자로 성장할 수 있는 입문 교육 프로그램이다. 2023 러너과정의 주제는 ‘NEW TURN : 새로운 전통이 돌아오다.’며, 청년의 시각으로 바라본 전통문화를 동시대적 감각으로 기획하는 데에 초점을 맞췄다. 프로그램은 △창의성은 어디에서 오는가 △전통문화 산업기획 △전통문화 상품화 사례 △전통문화 기획의 이해 등 전문가 특강을 통해 전통문화 산업의 전반을 이해하고 기획의 동기부여가 될 수 있는 강의로 구성했다. 전통문화 기획 워크숍은 디자인 사고를 통해 공감, 소통, 창의, 융합을 기반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LG유플러스(대표 황현식)는 탄소중립경영의 하나로 코로나19 방역조치 때 쓴 플라스틱 가림막을 회수해 재활용한다고 밝혔다. 가림막에 사용된 플라스틱은 PCㆍ아크릴수지 등 수입단가가 높은 고부가가치 원료다. 하지만 배출할 때 재질 분류가 쉽지 않아 재활용하지 못하고 소각ㆍ매립 처리되며 자원낭비라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LG유플러스는 환경친화적 국가발전을 선도해나가는 기관인 한국환경공단 수도권서부환경본부(본부장 박광규)와 폐플라스틱 전문 재활용사업을 하는 단체인 ㈔한국플라스틱단일재질협회(회장 구제봉)와 플라스틱 가림막 회수ㆍ재활용 사업 업무협약을 맺는다. 이번 협약을 통해 각 기업체와 유관기관은 폐기ㆍ회수된 플라스틱 가림막을 전면 재활용할 예정이다. LG유플러스는 자사 고객센터, 사옥, 식당 등에서 사용된 가림막을 분리ㆍ배출해 ㈔한국플라스틱재질협회에 전달하고, ㈔한국플라스틱재질협회는 회수ㆍ선별된 플라스틱 가림막의 재활용ㆍ운반 업무를 수행한다. 한국환경공단은 사업추진과 가림막 분리배출 등 홍보와 교육, 지역사회 간 연계망 구축, 정부 정책 공유와 사업 운영 등을 지원한다. 플라스틱 가림막 1t을 재활용하면 CO2 2.75t이 감축되며,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한글박물관(관장 김영수)은 한글의 다양한 모습과 창조적 값어치 발굴을 위해 ‘일상 속에서 만난 한글’을 주제로 사진ㆍ영상 공모전을 연다. 이번 공모전은 한글에 관심 있는 내외국인 남녀노소 누구나 참여 할 수 있고, 슬기말틀(스마트폰)을 포함한 모든 사진 촬영기기의 작품을 응모할 수 있다. 올해는 사진과 함께 영상까지 확대하여 다양한 연령층의 창의적이고 개성 있는 작품들이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공모 주제는 ‘일상 속에서 만난 한글’로 ▷한글 배우는 모습, ▷한글 작품, ▷한글 간판 및 디자인 상품, ▷주변의 건축물에서 발견한 한글, ▷나라 밖에서 만난 한글 등 우리 주변 일상에서 발견할 수 있는 한글로 2023년도에 촬영한 사진ㆍ영상이라면 모두 참여할 수 있다. 작품은 전용 누리집(www.hangeulphoto.kr)을 통해 응모할 수 있으며, 정보무늬(QR코드)를 통해 모바일로도 쉽게 응모할 수 있다. 공모전은 6.16.(금)부터 8.21.(월)까지 접수가 진행되며, 사진ㆍ영상 분야별 1인 3점씩 출품할 수 있다. 접수된 작품은 전문가의 심사를 거쳐 대상 2점, 금상3점, 은상4점 등 모두 30점을 뽑는다. 수상작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서울옥션은 6월 27일 저녁 4시 서울옥션 강남센터에서 <173회 미술품 경매>를 연다. 출품 작은 모두 135점, 추정가 총액 약 85억 원이며 고미술에서는 눈에 띄는 것은 추사 김정희의 간찰이다. 특히, 이번에 출품된 간찰 다섯 점 가운데 네 점은 추사가 제주도 유배에서 풀려난 이후 다시 함경도 북청으로 유배를 가기 이전까지 행적이 상대적으로 불분명한 이른바 ‘강상시절’에 그린 것으로 추정되어 사료적 값어치도 있다. 그밖에 고미술 부분에서는 극동그룹 창업주 소전 김용산(1922~2007) 회장이 모은 소전미술관 수집품인 도자기 23점을 선보인다. 손잡이에 적힌 도연명의 <귀거래사> 구절과 동체에 그려진 산수풍경이 잘 어우러지는 <백자청화산수문주자>, 희소한 형태와 고급스러운 무늬가 두드러지는 <청자상감포류문주자>, 전면을 가득 채운 모란당초문이 인상적인 <분청사기박지모란당초문편병> 등 청자, 백자, 분청사기를 아우르는 출품작은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번 경매에서는 김환기, 이우환의 대형 작업이 출품된다. 특히 세로 1m 70cm 크기의 대형 캔버스 작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배우 수지가 한국 대표로 한복 알리기 운동에 앞장선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 이하 문체부)가 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이하 공진원)과 함께 추진하는 ‘한복분야 한류 연계 협업콘텐츠 기획ㆍ개발’ 사업은 창의성이 있는 한복 디자이너들과 한류 문화예술인의 협업으로 한복의 매력을 국제사회에 알리고 한복업계의 나라 밖 진출 지원을 위한 것이다. 수지는 개발한 한복의 아름다운 자태를 화보 영상에 담아 미국 뉴욕 타임스퀘어 전광판에 송출하게 되는 등 전 세계에 한복의 미를 알리는 데 힘쓸 예정이다. 수지는 2010년 데뷔 이후 연기ㆍ노래ㆍ예능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국민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으며, 다양한 기부활동으로 나라 안팎에 선한 영향력을 전하고 있다. 영화 ‘도리화가’를 통해 한복 입은 모습으로 소리꾼을 연기했고 당시 공개된 한복 화보가 화제였던 만큼 이번에도 한복의 매력을 널리 알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뽑힌 한복 브랜드는 우리나라 한복의 구성과 요소를 유지하되 수지만의 특성과 기획에 맞추어 업체당 10벌의 한복 디자인을 개발한다. 각 선정 업체에는 한복기획, 개발 비용을 지원하고 최종 디자인 개발된 한복은 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