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KCDF, 원장 김태훈)은 2022년 밀라노 한국공예전을 재구성하고 확장하여 선보이는 공예기획전 《다시, 자연에게 보내는 편지》를 오는 4월 4일(화)부터 6월 4일(일)까지 문화역서울284에서 연다. 이번 전시는 자연 본래의 모습에 대한 고찰, 자연 존중의 미학을 공예를 통해 조망하고자 기획하였다. 공예의 정신적 값어치를 땅의 기초에 두고, 전통적 재료와 현대적 재료를 아우르며 만들어진 작품들을 선보인다. 2022년 밀라노 디자인 위크 기간 연 한국공예전 《다시, 땅의 기초로부터(Again, From The Earth’s Foundation)》를 재구성한 부분을 포함하여, 8개 주제 아래 300여 점의 작품이 소개된다. 전시장을 들어서면 장성 작가의 설치 작품 《주어짐/Given》(2023)이 관람객을 먼저 맞이한다. 자연적 소재 ‘돌’을 통해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탐구한 작품으로, 의자 시리즈와 함께 이를 기념하는 영상과 플라스틱 유닛으로 만든 대형작품으로 구성했다. 3등 대합실에는 2022년 밀라노 한국공예전 《다시, 땅의 기초로부터》를 재구성한 전시 공간 ‘내가 서 있는 땅’이 마련된다. 지난 전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어린 자녀나 반려동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설치한 IP카메라가 사생활 침해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소중한 가족을 지키기 위해 IP카메라(유무선 인터넷에 연결하여 쓰는 카메라)를 설치하지만, IP카메라에는 보안 설정을 따로 해야 하고, 최신 펌웨어로 업그레이드해야 한다는 것은 사람들이 잘 알지 못한다. 최근 IP카메라의 유출 실태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제공하는 IP카메라 보안설정 안내를 소개한다. 최근 서울 강남 성형외과 IP카메라 영상이 온라인 누리집에 유출되면서 사회적인 논쟁이 된 바 있다. 경찰 등에 따르면 온라인 커뮤니티에 강남 한 성형외과 진료 장면이 담긴 내부 IP카메라 영상이 올라왔고 사생활 침해의 소지가 있는 영상이 포함돼 우려되고 있다. IP카메라 보급이 확대되면서 보안 위협에 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가 IP카메라 보안 취약점을 점검한 결과 사용자 인증 없이 촬영ㆍ저장된 영상에 접근할 수 있거나, 영상 송출 과정이 암호화되지 않는 등 곳곳에 구멍이 뚫린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따르면 IP카메라 등 사물인터넷(IOT) 보안 취약점 관련 신고 건수는 2020년 141건에서 2022년 333건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포격이 끝났어도 지하 창고에서 나오려 하지 않는 소년 우크라이나 공군기지가 있는 호스트멜 마을의 소년 빈차르스키(11살)는 전쟁 첫날부터 끔찍한 경험을 했다. 총성과 폭음, 러시아 점령군, 길에 널린 주검을 보면서 말수가 적어진 아이는, 공습경보와 포격이 끝난 뒤에도 좀처럼 밖으로 나오려 하지 않고 어둡고 찬 지하 창고에 오랫동안 머물렀다. 소년을 찍은 사진가는 나라 밖 매체에 분쟁지역 전문 사진가 ‘KISH KIM’으로 활동하고 있는 김상훈이다. 대학에서 디자인과 사진을 가르치는 멀티디자인학과 교수로서의 한국 이름보다 911 뉴욕 테러, 레바논-이스라엘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가자 전쟁 등 분쟁과 무력 갈등의 현장을 30여 년 동안 기록해 온 사진가 ‘KISH KIM’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사진작가 KISH KIM KISH KIM은 지난 2월부터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이우와 현재 접전 지역인 전방 돈바스, 전쟁 초기 격전지였던 이르핀, 부차, 호스토멜, 체르니히우까지 전쟁 1년을 맞은 우크라이나 여러 지역을 찾아 현장의 모습을 사진에 담았다. 폐허가 된 도심과 마을을 다니며, 폭격으로 가족을 잃은 여인, 정전 중 손말틀(유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김종대)은 마스크 벗은 뒤 4월부터 본격적으로 대면교육을 확대해 시행한다. 특히 보육원, 돌봄시설, 특수학급 어린이 등 사회 구석구석에 박물관 민속교육이 미치지 못하는 곳을 찾아서 박물관이 따뜻한 감성으로 어린이에게 다가가는 문화나눔교육 3종을 준비하였다. 대상 어린이들의 아침특성을 감안하여 박물관과 교육기관 현장에서 수요자 맞춤형으로 운영한다. □ 보육원 어린이의 우정 대탐험 ‘달토기와 산토끼, 우리는 친구’ 국립민속박물관은 그동안 어린이교육의 손길이 미치지 못한 문화사각지대로서 보육원ㆍ모자원 등을 대상으로 한 상설교육으로 ‘달토끼와 산토끼, 우리는 친구’를 새롭게 개발하였다. 옛이야기에 등장하는 귀여운 달토끼가 산토끼를 만나서 우정을 쌓고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이야기하기 교육이다. 지혜로운 토끼가 등장하는 옛이야기와 노래를 탐색하고 절구 찧기와 나만의 ‘치유 약초주머니’ 만들며 전시실 관람도 할 수 있다. 이 교육은 어린이박물관 상설전시1 ‘달토끼와 산토끼’의 연계교육으로 4월 26일 개관 이후에 5월부터 교육에 참여할 수 있으며 박물관에서 차량이 지원된다. □ 지루할 틈 없는 돌봄 시간, ‘얼쑤 절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도서출판 우리겨레가 고구려의 역사적 사실에 기초하고, 이를 형상화한 소설 《광개토호태왕》(전 3권)’을 펴냈다. 도서출판 우리겨레는 이 소설이 단군조선과 고구려 역사에 대한 전반적 조명을 통해 광개토호태왕 시기를 이해하는 새로운 역사 해석을 시도하고 있으며, 겨레가 분단된 지 78년째를 맞은 현 상황에도 겨레의 통일에 이바지할 수 있는 소설이라고 자평한다. 소설 《광개토호태왕》은 안으로는 자신의 권력 욕망만을 추구하는 세력이 득세하고, 밖으로는 외세의 침략으로 어려움에 부닥쳐 있던 상황을 치밀한 전략 전술로 극복하고 고구려의 전성기를 이뤘던 광개토호태왕의 일대기를 그리고 있다. 특히 미래의 대들보인 청년 장수들의 끈끈한 동료애와 홍익인간의 이념으로 나라의 기틀을 잡아가는 과정이 매우 인상적이다. 고구려는 기원 371년에 고국원왕이 백제와 싸움에서 날아오는 화살을 맞아 전사하고, 378년에는 거란의 공격으로 8개 마을이 유린당하고 포로로 1만여 명이 끌려간다. 384년에는 고구려의 원수국 전연을 이어받은 후연이 등장함으로써 고구려의 운명이 풍전등화의 위기에 처하게 되는데 이런 상황에서 고구려를 구할 광개토호태왕이 374년에 출생하며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프랑스 대문호 빅토르 위고의 소설 「레미제라블」이 판소리로 재탄생한다. 젊은 판소리 공동창작집단 ‘입과손스튜디오’의 신작이다. 원작의 서사를 바탕에 두고 ‘세상은 한 척의 배’라는 설정으로 새롭게 각색했다. 공연은 오는 4월 8일부터 22일까지 두산아트센터 Space111에서 열린다. 입과손스튜디오는 원작의 공감대를 확장하기 위해 인물과 사건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구성했다. 프랑스 배경과 인물의 이름은 모두 한국식으로 바꿨다. 어느 시대에나 존재하는 ‘불쌍한 사람들’이 모두 한배에 타고 있다는 설정은 사회 구조적 모순을 말하고자 한 원작을 적극적으로 재해석한 결과다. 소리꾼과 고수 중심의 ‘전통판소리’에 배우, 자작가수(싱어송라이터), 드러머 등과 협업해 대중적인 감성을 더했다. 비장하고 엄숙한 이야기 가운데 시원하게 웃음을 터뜨릴 수 있는 판소리식 유머와 재담도 곳곳에 배치했다. ‘판소리 레미제라블 구구선 사람들’은 3년 동안의 창작과정을 거쳐 완성됐다. 여러 토막소리가 모여 완창 판소리가 되는 ‘전통판소리’의 연행 방식을 창작동기로 했다. 여자(팡틴), 청년(마리우스), 아이(가브로슈)를 토막소리 주제로 뽑아 무대화했다. 원작에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오는 4월 13일 저녁 7시 서울 서초동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풀뿌리문화연구소가 주최하는 <한국예인열전-실록편> 공연이 펼쳐진다. 한국예인열전은 우리 겨레가 오랫동안 지녀온 우리의 소리와 춤 곧 풍류의 소중한 값어치를 일깨우고자 마련하는 무대다. 특히 잊히거나, 사라져 가는 민족예술의 뿌리를 재현함으로써 비움과 쉼, 그리고 채움의 자세를 마음에 담고자 한다. 공연에 함께하는 관객은 멋과 흥으로 올곧이 지녀 온 참신하고 여유로운 예인들의 한 자락, 한뜻을 마음 깊이 담을 수 있을 것이다. 공연은 3부로 나눠 진행한다. 먼저 제1부는 ‘애민(愛民) 마당’으로 대전시무형문화재 제20호 이수자 박야림의 ‘초립동’,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일무 이수자 김형신의 ‘살풀이춤’, 국가무형문화재 제19호 선소리산타령 이수자 김정란 외 5명의 민요 ‘장기타령’ 등이 펼쳐진다. 이어서 제2부는 ‘상생(相生) 마당’으로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이수자 박국자의 ‘열반환상’, ‘늘춤무용단’ 단장 김은임 외 14명의 ‘신살풀이:이별’, ‘김미자전통예술아카데미’ 원장 김미자의 ‘교방승무’, ‘천년가무악’ 대표 최영희 외 3명의 ‘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사례비 지급 내용으로 위장한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다. 원노트(OneNote)를 악용한 이 악성코드는 지난달 암호 파일 형태로 악성코드를 유포했던 김수키(Kimsuky) 해커 조직의 소행으로 추정된다. 사칭 대상, VB스크립트(VBScript) 파일의 악성 행위 등이 매우 비슷하기 때문이다. 이번에는 악성코드가 어떤 과정을 거쳐 유포됐는지 자세히 알아보자. 원노트 파일을 활용한 공격은 올해 1월 중순부터 등장하기 시작해 점점 느는 추세다. MS오피스(MS Office)의 ‘제한된 보기’와 윈도우 보안 툴 ‘MOTW(Mark of the Web)’를 우회하며, 원노트 파일 안에 VB스크립트, WSF, HTA 등의 파일 형식을 포함하는 것을 허용한다는 취약점을 안고 있다. 이들 파일은 실행할 때 특정 경고창이 뜨지만, 대다수 사용자는 아무 생각 없이 경고창에서 ‘확인’ 단추(버튼) 누른다. 이때 악성 스크립트가 실행되는 것이다. 이번에 확인된 원노트 파일은 [그림 1]처럼 사례비 지급 내용을 담고 있으며, 첨부된 한글 파일을 누르라고(클릭) 유도한다. 하지만 이 한글 파일이 있는 곳에는 [그림 2]와 같이 personal.vbs 명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원장 김태훈, 이하 공진원)은 2023년 KCDF 공예ㆍ디자인 공모전시 개인작가 부문에 뽑힌 공예작가 류종대 개인전 《Control-C/ Control-V》를 3월 22일부터 27일까지 인사동 KCDF갤러리 (3층 1전시장)에서 연다. 이번 전시에서 류종대 작가는 기억 속 공간과 대상을 디지털크래프트 기법으로 재구성해 가상의 공간과 조형 그리고 기능으로 표현한 작품을 선보인다. 류종대 작가는 “3D프린팅과 같은 디지털 기술을 공예의 새로운 도구로 활용한다. 기와 형상을 창작 동기로 한 ‘디소반’ 같은 한국적 이야기의 디자인이 나온 배경에는 유년 시절의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석류나무가 아름드리 드리워진 기와지붕 아래에서 3대가 함께 산 기억이 삶과 디자인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라고 말한다. 류 작가는 그동안 디지털크래프트 작업을 통해 다양한 조형과 용도를 실험해 왔다. 공예가는 경험과 지식을 토대로 신중한 계획을 세우고 적절한 재료에 기술을 더하여 형태를 완성한다. 이때 결과물을 구현하기 위한 도구로 디지털기술을 활용하는 것은 현대에 등장한 새로운 방식의 공예다. 이는 기존의 공예작업과는 다른 방법과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1123년 서긍(徐兢, 태어나고 죽은 때 모름)은 송 휘종이 파견한 국신사 일행 가운데 한 명으로 한 달 남짓 고려에 머물면서 공식일정을 수행하였습니다. 이때 고려의 여러 곳을 둘러보고 그에 대한 면모를 기록한 것이 바로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입니다. 이 책의 그릇 부분에는 고려의 다양한 그릇들이 소개되어 있는데 특히 ‘도로조(陶爐條)’의 내용이 흥미롭습니다. “산예출향도 비색이다. 위에는 짐승이 웅크리고 있고 아래에는 봉오리가 벌어진 연꽃무늬가 떠받치고 있다. 여러 그릇 가운데 이 물건만이 가장 정교하고 빼어나다. 그 나머지는 월요의 옛날 비색이나 여주에서 요즘 생산되는 도자기와 대체로 비슷하다.” 위의 내용은 고려시대 도자공예의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습니다. ‘산예출향(狻掜出香)'은 사자가 장식된 향로를 말하는데, 당시 서긍은 연화형(蓮花形) 향로 뚜껑 위에 사자가 장식된 것을 보고 이처럼 묘사한 것으로 보입니다. 색은 비색(翡色)이며 매우 뛰어난 솜씨로 만들어졌다고 평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위 기록에 맞는 가장 비슷한 것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국보 ’청자 사자장식 향로‘입니다. 이 향로는 뚜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