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장양의 <옥통소> 이야기를 하였다. 장양의 아호가 자방(子房)이기에 ‘장자방의 옥통소’라는 표현으로도 이 대목은 자주 만나게 되는데, 서도의 좌창, <초한가(楚漢歌)>에도 장양이 달밤에 그가 옥통소를 구슬프게 불어 초나라 군사들을 모두 흩어지게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 온다. 통소는 고려 때, 중국으로부터 유입되어 당악(唐樂) 계통에 편성되었고, 조선 중기 이후에는 향악(鄕樂)에도 쓰였으나 현재는 민간의 시나위나 산조, 탈놀음의 반주음악에 쓰이고 있다. 통소는 취구(吹口, 나팔ㆍ피리 등의 입김을 불어 넣는 구멍)와 지공(指孔), 지공 중간에 청공(淸孔)이 있어 애처로운 느낌을 주는 음색이 일품이란 점과 단소보다는 굵은 대나무로 만들어 다소 거칠면서도 힘찬 느낌을 준다고 이야기하였다. 이번 주에는 혜강이 연주했다는 <해금>에 관한 이야기를 계속해 보기로 한다. 해금을 연주했다는 혜강은 어떤 인물이며, 또한 그가 연주했다는 해금(奚琴)은 어떤 악기인가? 혜강은 중국 진나라 사람이다. 중국의 위와 진나라의 정권이 교체되는 시기는 정치권력의 부패가 극심했던 때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중국의 금(琴)과 슬(瑟)처럼, 한국에는 거문고와 가야금이 대표적이란 이야기를 하였다. 거문고는 북방, 가야금은 남방의 가야국에서 연주되어 오던 악기라는 점, 가야금이 여성적이라면 거문고는 사대부나 선비 층이 중심이었다는 점, 두 악기가 외형상으로는 비슷하나 줄의 수, 연주방법 등이 다르다는 점, 신라의 진흥왕이 신하들에게 “음악이 어찌 죄가 된다고 하는가! 가야의 임금이 정치를 돌보지 않고 주색에 빠져서 스스로 망한 것이지, 가야금이 있어 가야가 망했단 말인가!”라며 설득한 것은 훌륭했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 주에는 수궁풍류에 나오는 장양의 <옥통소> 이야기를 해 보기로 한다. 장양의 아호가 자방(子房)이기에 ‘장자방의 옥통소’라는 표현으로도 이 대목은 자주 만나게 되는 구절이다. 우리가 자주 접하는 서도의 좌창, <초한가(楚漢歌)>는 장자방이 한(漢)나라의 유방을 도와 초(楚)나라를 칠 때의 이야기로, 장양이 달밤에 그가 옥통소를 구슬프게 불어 초나라 군사들을 모두 흩어지게 했다는 이야기가 다음과 같이 소개되고 있다. “산(算) 잘 놓는 장자방(張子房)은 계명산 추야월에 옥통소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중국에 금(琴)과 슬(瑟)이 있다면, 한국에는 고구려 시대로부터 전해오는 거문고와 가야국으로부터 연주되어 온 가야금이 있다. 흔히 하는 말로, 부부(夫婦)지간의 정이 돈독할 때 ‘금슬상화(琴瑟相和)’라는 말을 한다. ‘금실이 좋다.’ 또는 ‘금실 좋은 부부’라는 말은, 금이라는 악기와 슬이라는 악기의 어울림이 그만큼 조화롭다는 뜻이다. 거문고와 가야금의 조화를 뜻하는 말로도 인용되고 있다. 그런데 규방(閨房) 여인들의 손끝에서 가야금의 가락들이 이어져 왔다면, 거문고의 주된 향수층은 남성들이었고, 남성 가운데서도 사대부들이나 선비 층이 중심이었다. 예로부터 선비란, 좌서우금(左書右琴)이라고 해서 책과 금을 가까이해야 한다고 했다. 곧 왼손에는 책, 오른손에는 금을 든다는 말이니, 곧 선비는 책으로 지식을 얻고, 거문고로 마음을 닦는다는 말이 되겠다. 그래서일까? 거문고만큼 상류사회, 또는 지식인 사회에서 애호를 받아 온 악기도 드물다. 17세기 초, 양덕수(梁德壽)가 펴낸 《양금신보(梁琴新譜)》에는 거문고가 음악을 통솔하는 악기라는 점, 그래서 군자의 악기인 거문고를 백악지장(百樂之長)으로 보고 있다. 거문고나 가야금의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판소리 수궁가(水宮歌) 속에는 토끼의 궤변에 속은 용왕이 오히려 토끼를 위해 수궁(水宮)풍류를 베풀어 주는 대목이 나온다. 이 대목에 명인들의 이름과 함께 여러 악기가 등장하는데, 지난주에 <봉피리>, <죽장고>, <거문고>, <옥통소>는 개략적으로 소개를 하였다. 특히, 거문고라는 악기는 한국 전통음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게 쓰이고 있는 대표적인 현악기이기에 더욱 구체적으로 소개해 보도록 하겠다. ‘거문고’의 한자 이름은 현금(玄琴)이다. 이 악기는 고구려 시대로부터 전해오는 악기로 남쪽 가야국에서 유행했던 가야금과 함께 쌍벽을 이루고 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현악기다. 규방(閨房)의 여성들로부터 사랑을 받아 온 악기가 가야금이라고 하면, 거문고는 주된 향수 층이 거의 남성들이었다는 점에서 대조적이다. 특히 거문고는 선비들의 애호를 받아 온 악기로 그들의 생활 속에 깊숙이 자리 잡고 전승 돼왔다. 그런데 수궁 풍류 속에서는 거문고를 탄 사람이 바로 중국 춘추시대에 금(琴)의 명인으로 알려진 성연자(成蓮子)인데, 여기서는 석연자로 소개하고 있다. 그가 거문고를 탔다고 하는 점은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판소리 명창이나 명인 뒤에, 붙이는 제(制)라든가 류(流)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전승계보나 지역, 또는 해당 명인의 특징적인 음악 구성을 알 수 있는 계파(系派), 혹은 류파(流派)의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점, 유사 개념으로는 <더늠>, <바디>, <조(調)>, <파(派)>가 있다는 점, 같은 제라고 해도 설렁제, 서름제, 호령제, 석화제, 산유화제, 강산제와 같은 말은 해당 음악의 분위기, 또는 악조(樂調)와도 관련이 깊다는 점, 제나 유파를 두고 각자가 보는 시각이나 관점은 차이를 보이며, 그것이 무형문화재 지정과 관련해서는 더더욱 중요한 의미가 있다는 점 등을 이야기하였다. 이번에는 판소리 수궁가(水宮歌) 속에는 수궁풍류 대목이 나오고 있어서 이에 관한 이야기를 소개해 보기로 한다. 수궁가에 나오는 토끼는 벼슬자리를 탐내다가 자라의 뀜에 빠져 수궁에 들어가게 되어 꼼짝없이 죽게 되었다. 토끼의 간이 약이 된다고 해서 토끼를 잡아 온 것이다. 죽게 된 토기가 살기 위해서 되는 말, 안 되는 말 등으로 변명을 늘어놓아 결국 죽음을 모면하게 되었다는 이야기는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김연수 명창을 간단하게 소개하였다. 1907년 전남 고흥 출신이며 한학(漢學)과 신교육을 받았고, 유성준, 정정렬 송만갑 등에게 판소리를 배워 명창의 반열에 올랐고, <여성국극단> 단장, 판소리 예능보유자, <국립창극단> 단장을 지내며 판소리 확산에 전력하였다는 이야기, 그가 새롭게 짠 판소리를 <동초제(東招制)>로 부르고 있는데, 이 소리는 서편제와 동편제가 융합되어 있다는 특징과 함께 사설의 전달이나 맺음, 끊음이 분명하며 너름새(동작)가 정교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는 이야기도 하였다. 이번 주에는 <동초제 판소리>, 또는 <동초 김연수제>와 같이 명창의 이름을 밝히고 그 뒤에 붙어 다니는 제(制)란 무슨 뜻인가? 하는 이야기를 해 보기로 한다. 악보로 전해오지 아니하고 구전심수(口傳心授)로 전해오는 판소리와 같은 성악 분야의 이름난 소리꾼들을 우리는 명창(名唱)이라 부르며 가야금 산조나 거문고 산조와 같은 민속기악의 이름난 연주자들을 명인(名人)으로 부르고 있다. 그런데 그들 명인이나 명창의 이름 뒤에, 또는 아호를 넣어 동초제, 김연수제, 박상근류,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송원조 고수(鼓手)의 보비위(補脾胃)정신, 곧 소리꾼의 비위를 잘 맞추어 주는 고수라는 이야기를 하였다. 음식으로 비유한다면 다양한 양념이 들어 있지 않음에도 또 다른 맛의 묘미를 전해주는 경우와 비슷하다는 이야기, 그는 거의 원 박을 반복하다시피 치면서도 강과 약을 분명하게 조절해 주기 때문에 단순, 명료하면서도 다양한 표현법을 구사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하였다. 그래서일 것이다. 송원조를 성공한 고수라고 평가하는 배경이라든가, 또는 송원조 자신이 지금까지도 절실하게 후진들에게 전해주고 있는 말은 다름 아닌, 소리판의 성공적 비결은 첫째도 둘째도 ‘소리꾼의 기량’이라는 점이다. 그렇기에 그가 주장하는 으뜸 명고수도 소리꾼으로 하여금 그의 기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옆에서 돕는, 바로 이러한 마음가짐과 자세가 고법(鼓法)의 기본 정신이 되는 것이다. 서울시 고법의 예능보유자, 송원조의 고법에서 느낄 수 있는 단순함이라든가, 명료함, 또는 겸손함과 같은 덕목들은 바로 송원조 자신의 인격이어서 자신만의 특징을 여지없이 들어내고 있는 듯 보인다. 이 분야의 관계 전문가들은 그가 구사하는 단순한 가락들은 강약의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송원조 고수(鼓手)는 10대에 <이리국악원>에 들어와 판소리와 북을 배우기 시작하였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국악원의 총무가 될 정도로 성실한 사람이란 점, 그의 기억에 남는 특이한 경험은 당시, 소리선생으로 활동하던 김연수 명창이 동초제 판소리를 새로 짤 때, 밤새도록 북을 쳐 주면서 도왔다고 이야기하였다. 한때, 북을 접고, 딴 분야에서 활동하다가 되돌아왔다고 이야기하였다. 얼마 전, 그에게 배운 제자들이 발표회를 할 때였다. 그는 명고수의 요건으로 첫째가 북을 잡고 앉아 있는 자세가 당당하여 소리꾼에게 믿음을 주어야 하고, 북가락은 단순하면서도 분명해야 하며 추임새를 적재적소에 넣을 줄 알아야 한다는 이야기를 전해 주는 것이었다. 그의 말이다. “고수의 북가락은 적재적소에 써야 한다. 그럼에도 필요 이상의 많은 가락을 써서 복잡하거나 시끄럽다는 인상을 주는 사람도 있다. 이래서는 안 될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북가락이 전혀 없어야 한다는 말은 절대 아니다. 필요 이상으로 북가락이 많이 들어가도 좋지 않다는 점을 강조하는 말이다.” 그래서일까? 최동현은 송원조의 북가락을 다음과 같이 평가한다. “송원조의 북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판소리 12마당의 이름은 조선조 순조(1800-1834년) 때, 송만재의 《관우희(觀優戱)》에 보이고 있고, 그로부터 100여 년이 지난, 일제 말(末) 정노식이 쓴 《조선창극사》에도 소개되어 있다는 점, 현재까지 전해오고 있는 <수궁가>는 순조 때의 명창인 송흥록에서 송광록-송우룡-유성준의 뒤를 이어 정광수, 박초월 등에 의해 널리 퍼지게 되었고, 송우룡-송만갑-박봉래-박봉술로 이어져 온 수궁가와 경기ㆍ충청의 중고제는 전승 위기를 맞고 있다는 점, 논산 김남수 고법 발표회에서 <수궁가>를 완창해 준 젊은 소리꾼, 박현영 명창에 관해서도 소개하였다. 북을 잘 치고, 못 치는 하는 문제는 별도로 논의한다고 해도, 논산의 김남수가 그의 고향, 논산에서 13번째 고법발표회를 열었다는 열정은 높이 살 만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무엇보다도 발표회 때마다 판소리 명창들을 초대해서 지역의 판소리 음악을 확산해 나가는 공을 세우고 있는 것이다. 김남수는 전라북도 고법 보유였던 주봉신에게 배웠다. 주봉신은 고 박동진의 전속 고수로서 전국을 다니며 박동진과 호흡을 맞추었던 사람이다. 그의 북은 힘이 실려 있는 묵직한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판소리 12마당 가운데 수궁가(水宮歌)는 수궁(水宮)에 잡혀 온 토끼가 꼼짝없이 죽게 되었을 때, 정신을 바짝 차리고 궤변(詭辯)과 달변(達辯)으로 용왕의 마음을 움직여 살아 나간다는 이야기다. 마치 호랑이에 잡혀가도 정신만 차리면 살 수 있다는 예를 듣고 보는 것 같아 음미해 볼 만한 대목이 아닐 수 없다, 수궁가에 나오는 토끼의 말 가운데서 특히 인상에 남는 내용은 강태공이 고기 낚으러 나왔다가 토끼의 선조가 간 씻을 적에, 그 물 조금 떠 마시고 160살을 살았다는 이야기라든가, 토끼 부친이 물놀이하다가 물에 빠져 죽게 되었을 적에, 동방삭이가 건져주어 그 은혜를 갚기 위해 간을 조금 떼어 주었더니 삼천갑자(三千甲子)를 살았다는 이야기 등은 전혀 거짓말 같지 않고 솔깃하기만 하다. 토끼의 진술이 이렇듯 구체적이고 자세하니 용왕이 점점 토끼의 말에 빠져들어 가게 된다.토끼가 용왕을 위하는 척, 매달아 놓고 온 간을 용왕이 자신다고 하면 “백발은 검어지고, 빠진 치아 다시 나고, 그래서 지금보다는 더 건강하게 되어, 병 없이 젊음을 누릴 것이라는 이야기” 등은 마치 사실 같아서 넘어가지 않을 수 없을 정도로 구체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