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사흘을 이어서 쉬었습니다. 하지만 몸은 더 무겁게 느껴지시는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하루는 아이들 핑계, 또 하루는 어른들 핑계로 여느 날보다 많이 먹어서 몸무게가 늘었다는 분도 있습니다. 그렇게 먹어서 늘어난 무게는 쉬이 빠진다고 하지만 나잇살이라고 하는 것은 잘 빠지지 않는다고 하니 걱정을 하곤 합니다.많이 움직이는 것 말고는 뾰족한 수가 없다고 합니다. 먹은 것보다 더 많이 걷거나 달려야 한답니다. 그러다보면 배를 두르고 있던 기름이 가뭇없이 사라져 있을 것입니다.^^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맛있는 것을 다른 사람 몰래 싹 먹어치운 적이 있는지요? 그걸 한 마디로 나타낼 수 있는 말이 바로 '가무리다'입니다. 그런 일을 해 본 사람이나 그런 사람을 본 적이 있는 분들은 이 말이 얼른 와 닿으실 것입니다. 머리는 콩 한쪽도 나눠 먹으라는데 입이 따라 주지 않을 때 일어나는 일이라고 할까요? '남이 보지 못하게 숨기다'는 다른 뜻도 있답니다. ^^ 4352.들여름달 사흘 낫날 (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우리문화신문=이창수기자] 가면 삶을 꿈꾸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온 나라 사람 모두가 가멸게 사는 나라를 함께 만들어 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 말은 '부유하다', '풍부하다'는 말을 써야 할 때 떠올려 써 보시기 바랍니다.^^
[우리문화신문=이창수기자]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 81-돈,값,각시 [우리한글박물관 김상석 관장 도움/ (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은4285해(1952년)만든‘셈본1-2’의78쪽, 79쪽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보여드립니다. 78쪽 첫째 줄에‘장사놀이’가 나옵니다.이 말은 얼마 앞에 알려드린 말이라서 눈에 익은 말일 것입니다.보는 바와 같이 옛날 배움책에서는‘시장놀이’, ‘가게놀이’라는 말이 아닌‘장사놀이’라는 말을 썼다는 것입니다.배움책에서는 안 쓰지만 하지만 많은 곳에서‘쇼핑놀이’라는 말을 쓰는 것을 보면 또 이렇게 토박이말이 밀려나나 싶어 안타까운 마음이 앞섭니다. 둘째 줄에‘돈’이 나옵니다. ‘돈’을 왜‘돈’이라고 했는지 물으면 사람들은 흔히‘돌고 도는 것’이라서‘돈’이라고 했다는 이야기를 하곤 합니다.그런데 이‘돈’의 말밑(어원)과 아랑곳한 풀이로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그 가운데 하나는‘돌’이라는 뜻을 가진‘돋’에서 쇠붙이인‘돈’으로 바뀌었다는 풀이가 있습니다.그리고 또 다른 하나는 옛날부터 우리가‘돈’처럼 썼던 것들이 고기,쌀과 같은 것이나,금,은,동과 같은 쇠붙이였기 때문에‘무게’를 재는 하나치(단위)인‘돈쭝’에서‘돈’이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가리사니가 있다/없다 할 때 '가리사니'는 무슨 뜻일까요? (사)토박이말바라기와 함께하는 참우리말 토박이말 살리기 ▲ 토박이말 그림기별(카드뉴스) 1-2. 둘레 분께도 맛보여 주시기 바랍니다.
[우리문화신문=이창수기자] 토박이말 맛보기를 그림기별(카드뉴스)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둘레 분께도 맛보여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토박이말 맛보기] 입질/(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 토박이말] 입질 [뜻] 낚시를 할 때,물고기가 낚싯밥을 건드리는 일 [보기월] 그것은 마치 낚시를 할 때 낚싯대가 입질로 휘어지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비가 온다고 하더니 어김없이 왔습니다.아이들이 겪배움(체험학습)을 가는 날이라서 비가 안 왔으면 했던 제 바람과는 달라 좀 아쉬웠습니다.아이 둘을 배곳(학교)까지 태워준다고 나섰는데 비가 와서 그런지 길에는 수레가 많았습니다.두 곳을 들렀다 오니 제가 가야 할 때에 겨우 맞춰 올 수 있었습니다. 배곳 할 일(학교 일과)을 챙겨 보내고,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올려 드리고 나니 겪배움을 따라 가기로 한 때가 다 되어 있었습니다.저는 따로 수레를 가지고 뒤따라갔는데 제가 나오니 비는 그쳐 있었습니다. 1배해(학년)아이들이 겪배움을 하러 간 곳에 가서 보니 참 좋은 곳이었습니다.청동기 박물관이라 안에서 보고 배울 것들도 많았고 밖에도 볼거리가 많았습니다.무엇보다 바로 옆에 냇물이 흐르고 있었고 넓은 잔디밭이 있어서 아이들이 마음껏 뛰어 놀 수 있는 곳이었습니다. 아이들이 안으로 들어가 겪배움을 하는 동안 저는 밖에서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토박이말 맛보기]입정/(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 토박이말] 입정 [뜻] 1)먹거리를 먹거나 말을 하려고 놀리는 입 [보기월] 뒷마무리를 잘하지 못하면 이렇게입정에 오르내리는구나 싶었습니다. 여느 날보다 좀 잠을 깼지만 몸을 깨운다고 여러 가지로 움직이다 나와 아침을 챙겨 먹었습니다.아침에는 밥이 아닌 다른 것을 먹는데 밥을 먹는 것보다 때새(시간)가 많이 걸립니다.그래도 제가 할 수 있는 것이라 기분 좋게 챙겨 먹고 있습니다. 갑자기 못 나오는 분도 있고 기림날(기념일)도 여러 가지가 있어 배곳(학교)할 일을 챙길 게 많았습니다.아침 꾀꾼모임(참모회의)을 하고 나니 얼마 지나지 않아 쓰레기 가려 버릴 때가 되었습니다. 갈무리가 안 된배움방(교실)이 있어서치워야겠다는 말씀을 듣고 같이 내려갔습니다.가서 보니 지난해 그 방을 쓰던 사람의 짐도 있고 버림치 가운데는 쓸 만한 것들도 있었습니다. 이름까지 적혀 있는 게 있어서 끝내 한 사람은 불려왔지만 한 사람은 이미 떠난 사람이라 부를 수도 없었습니다.그곳을 치우지 않았다면 아마 그렇게 해 놓은 줄 모르고 지나갔을 것입니다.뒷마무리를 잘하지 못하면 이렇게입정에 오르내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토박이말 맛보기] 입씻김/(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 토박이말] 입씻김 [뜻] 드러나지 않아야 할 일이나 제한테 안 좋은 말을 못 하도록 남몰래 돈이나 몬(물건)을 주는 일 [보기월] 살펴보니입씻김으로 엄청 많은 돈을 주고 잘못을 다 뒤집어쓰도록 했다더군요. 지난 닷날 배곳(학교)일을 마치자마자 들말마을배곳으로 갔습니다.아이들이 배곳 활개마장(학교 운동장)에 와 있어서 물어보니 어린이 도서관 안에서 노니까 시끄럽다고 해서 나왔다고 했습니다.그리고 또 한 가지 저녁에 쓰는 게 앞서 이야기하지 않은 것이라고 달갑지 않게 말하는 것을 들었습니다. 놀배움과 도서관이 안 맞는 곳인가 하는 생각도 들고,앞서 인사를 하러 왔을 때 밤에는 아무 일도 없으니 쓰는 것이 어렵지 않겠다고 말씀을 하셨는데 왜 이제 와서 다른 말씀을 하시는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 엿날(토요일)마침배곳(대학원)배움을 도우러 가서 지난 이레(주)겪배움(체험학습)뒷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빛그림(영화)말모이를 와서 보신 분,집에서 보신 분,앞서 보신 분까지 여럿 있어서 이야기를 했습니다. 여러 가지 말이 나왔는데 그 가운데 말의 구실(기능)을 다시 생각해 보게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토박이말 되새김]무지개달(4월)세 이레 제가 살고 있는 고장에서 온 나라를 떠들썩하게 하는 끔직한 일이 벌어져 엄청 많이 슬픕니다.안타깝게 목숨을 잃은 분들의 넋을 달래드리고 남은 분들의 슬픔을 함께 나누고자 하는 분들이 많다는 고마운 기별을 들었습니다.그리고 많은 분들이 이와 같은 일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새로운 수를 찾겠다고 입다짐들을 하고 가셨다니 기다려 봐야겠습니다.꼭 좋은 수를 찾아 주기를 비손합니다. 지난 두날과 삿날(화요일과 수요일)이틀에 걸쳐 했던 토박이말 널알림감 뽐내기 뒷이야기 좀 해야겠습니다.배움마당 갈무리(단원정리)를 하는 일과 갈배움 열기(수업 공개)를 엮어 보려고 마련한 자리였습니다. 둘째 배움마당에서 새로 알게 된 토박이말과 갈말(학술용어)을 많은 사람들에게 널리 알리는 널알림감(홍보물)을 만들어 뽐내는 일이었습니다.서로 다른 저마다의 솜씨를 살리고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만들어 보자고 했는데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좋은 열매들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한 뜸(반)만 어버이들께서 보신 것은 한 뜸(반)뿐이었는데 모든 뜸 아이들이 만든 것을 보여드렸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 만큼 대단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