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경제/얼레빗 = 이한꽃 기자] 경기도 안산 샘골에는 심훈의 소설 상록수의 모델이 된 최용신 선생의 무덤과 기념관이 들어서 있다. 기념관이 들어서기 훨씬 전부터 최용신(崔容信, 1909. 8.12 - 1935. 1.23) 선생의 삶을 흠모하여 자료를 모으고 그의 애국운동을 알리는 일을 하고 있는 최용신기념사업회 전 김명옥 회장은 1997년 1월 8일 ≪최용신 양의 생애≫를 쓴 류달영 교수와 인터뷰를 했다. 이 기록을 보면 당시 심훈의 ≪상록수≫ 집필 사정과 최용신 여사에 대한 상세한 이야기를 알 수 있다.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김명옥 : 그러면 그때 심훈 씨가 샘골에 직접 찾아와서 조사했나요? 류달영 : 그야 물론이지. 샘골에 찾아가서 최 양의 활동 상황과 업적을 대강 알아보고 돌아가서 상록수를 구상하고 집필한 것이지. 심훈은 상록수로 일류작가가 되었고 동아일보의 현상모집소설이라 상금으로 많은 돈도 받았지. 그리고 상록수는 그 후 장기 베스트셀러가 되었지요. 그런데 마을 사람들이 그 소설을 읽어 보고 모두들 분개 했어요. 상록수의 내용과 최 선생의 생애가 전연 다르다고 야단법석들이었어요. 그래서 내가 그랬지 소설이란 재미있게 만들어서 쓰는 것이지
[그린경제/ 얼레빗 = 이한꽃 기자] 1300년의 역사를 간직한 나라의 흥복사(興福寺, 고후쿠지)는 나라현 나라시 노보리 오오지쵸에(奈良県奈良市登大路町)에 있는 유서깊은 절이다. 경내를 입장권 없이 자유롭게 드나 들 수 있어 나라시내에 묵는 경우 저녁식사를 마치고 산책 겸 거닐어도 좋은 곳이다. 경내의 5중탑 주변에는 동대사 앞뜰에 노니던 사슴들처럼 옹기종기 모여 앉은 사슴의 무리를 볼 수 있고 조명을 밝힌 5중탑은 고색창연한 그 자태를 더욱 아름답게 드리워준다. 법상종의 대본산인 흥복사는 나라시대 권력을 쥐고 흔든 후지와라 씨 집안의 보리사(氏寺)로 한국계 스님들이 주석하던 유서 깊은 절이다. 흥복사는 고도 나라의 문화재로 유네스코세계유산에 등록된 절이기도 하다. ▲ 야간 조명을 한 5중탑은 일본에서 두 번째로 높은 탑이다 흥복사는 후지와라노가마타리(藤原鎌足)의 치유를 위해 세운 절로 후지와라 씨는 천지왕(天智天皇)왕의 오른팔로 조정에서 큰 역할 하던 호족인데 백제 출신 비구니인 법명(法明)스님과의 흥미로운 이야기가 12세기에 완성된 일본 최대 설화집인 《곤쟈쿠이야기》12의 3화에 다음과 같이 전해오고 있다. 이 절에서는 해마다 유마회가 전
[그린경제 = 이한꽃 기자] 접시를 뜻하는 '사라'라는 말은 일본말입니다만 아직도 시장에서는 '사라'를 즐겨 쓰네요. 바구니도 아니고 플라스틱그릇에 담아 놓은 거 보니 '사라=접시'는 어울리지 않는 말인데도 쓰고 있군요. 제 나라의 '바구니','소쿠리' '고무그릇' 같은좋은 말을 버리고 남의 말 '사라'를쓰면 좋은줄 알고........ 다이지센(大辞泉) さら【皿/盤】 [名]1 食物を盛る、浅くて平たい容器。陶製・ガラス製・金属製などがある。 우리말번역: (사라): 음식을 담는 얕고 편평한 용기, 도자기,유리,금속제 따위가 있다. ▲ '햇감자 1사라 3000원' 이라고 적혀있군요
[그린경제 =이한꽃 기자] 열일곱 처녀의 부산 좌천동 아리랑 이명시 이윤옥 어여쁜 곤지 찍고 고운 칠보단장 꿈꿀 열일곱 처녀 나라 빼앗기니 꿈도 사라져 일신학교 언니 동생 한데 불러 모아 독립의 길 앞장섰네 스승을 위협하고 형제자매를 찌른 칼 피 할 수 없는 길이어 든 당당히 받으리라 험난한 구국의 길 가로막는 총구 앞에 두려움 떨치고 일어난 이여 죽음도 불사한 독립의 함성 그 이름 아로새긴 일신의 횃불이여! ▲ 뒷줄 왼쪽부터 이명시 애국지사의 남편, 이명시 애국지사, 호주선교사 앞줄 왼쪽에 앉은 아이가 이명시 애국지사의 따님 한영애 여사의 5살 때 모습 (현, 미국거주 87살) 이명시(李明施,1902.2.2~1974.7.7) 애국지사 부산 일신여학교(현, 동래여자고등학교)와 좌천동에서 전개된 만세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1919년 3월 23일 무렵 기독교계통의 인사들을 통하여 독립선언서가 부산․마산에 비밀리에 배부되었다. 이때 서울로부터 학생대표가 내려와 경성학생단 이름으로 부산상업학교와 동래고등보통학교 학생 대표들에게 독립선언서를 전달하고 만세운동을 권유하였다.이에 따라 일신여학교를 비롯한 각 급 학교에서는 거사를 준비하였다.
[그린경제 이한꽃 기자] ▲ 경기도 양주시 청암민속박물관 누리집 안내에 나오는 이른(오전), 늦은(오후)라는 예쁜 우리말 흔히 쓰는오전, 오후라는 말 대신 '이른, 늦은' 이라고 써놓은 마음이 아름답다. 별 것 아닌 것 같지만 누리지기의 우리말 사랑정신이 느껴진다. 마음 속으로 알고 있는 것과 실천하는 것은 다르다. 이른, 늦은도 예쁘고 또 다른 말로는 아침, 낮, 저녁 가운데 하나를 골라도 좋을 듯 싶다.
[그린경제=이한꽃 기자] 환승게이트 아무렇지 않게 쓰는 말이지만 지나다닐 때마다 좋은 우리말은 없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갈아타는 문 갈아타는 곳 같은 말은 어떨지.. 한글로 써둔 것으로 보아 어차피 이것은 한국인을 위한 게이트가 아닐까? 참고로 '게이트'를≪표준국어대사전≫에서 보면, 게이트(gate) 「명사」 「1」『운동』승마에서, 문 모양으로 된 장애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2」『운동』경마에서, 출발 순간까지 말을 가두어 두는 공간. 「3」『전기』입력 단자, 출력 단자, 제어 단자를 하나씩 가지며, 제어 신호가 특정한 조건을 만족한 경우에만 입력 신호가 출력 단자에 나타나는 논리 회로. 이번에는 '환승'을 보자. 환승(換乘)[환ː-] 「명사」 다른 노선이나 교통수단으로 갈아탐.
[그린경제 = 이한꽃 기자] 자존심이 있는 민족은 남의 압박만 받지 아니할 뿐 아니라 행복의 증진도 받지 않고자 하느니 이는 역사가 증명하는 바이라. 4천년이나 장구한 역사를 가진 민족이 언제까지 남의 노예가 될 수는 없다라고 외쳐 댔던 만해 한용운. 그는 1919년 3월 11일 만세운동 주동자로 잡혀가 왜경에게 심문을 받을 때 피고는 금후에도 조선의 독립운동을 계속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그렇다. 계속하여 어디까지든지 할 것이다. 반드시 독립은 성취될 것이며 일본에는 중 월조가, 조선에는 중 한용운이 있을 것이다."라며 당당히 말했다. 흔히 만해를 가리켜 불교개혁자, 민족운동가, 근대 시성(詩聖)이라 일컫지만 만해만큼 주체성이 강한 애국자도 드물 것이다. 그는 잡지 별건곤 기자가 인생에서 가장 통쾌한 일이 무엇이냐고 묻자 거침없이 3.1만세운동 때 명월관에서 한 연설한 일이라고 했다. 그 내용을 보자. 오늘의 우리 모임은 곧 독립만세를 높이 불러 외침으로써 독립을 쟁취하자는 취지입니다. 이것은 우리가 앞장서고 민중이 뒤따라야 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신명을 바쳐 자주독립국이 될 것을 기약하고자 여기 모인 것이니 정정당당히 최후의 1인까지 독립쟁취를 위해 싸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