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효곤 기자] 동대문에서 종로 방면, 도로 굴삭 공사로 밀립니다. 요즘 라디오에서 하루에도 몇 번씩 듣는 말입니다. 그런데 굴삭은 사전에 나오지 않는 말입니다. 굴삭기도 마찬가지입니다. 굴착(掘鑿), 굴착기(掘鑿機)라고 써야 합니다. 掘鑿을 掘削으로 쓰기 시작한 것은 ㄷ사와 ㅅ사 등 재벌계열 회사들이 일본에서 굴착기를 수입하면서부터인 것 같습니다. 이들은 기계 몸체에 掘削機라고 쓴 것을 지우지도 않고 그대로 수입해 팔아먹었거든요. 그때야 우리 것은 어디 명함도 못 내밀고 미제, 일제가 품질을 보증하던 시절이었으니, 돈벌이에 바쁜 그들로서야 굳이 지워야 할 이유가 없었겠지요. 삭이 착이 된 까닭은 일본에서는 뚫을 착(鑿) 자와 깎을 삭(削) 자의 발음이 같기 때문입니다. 일본 문자인 가나는 음절문자라서 동음이의어가 많아질 수밖에 없기에 한자를 섞어 쓰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무한정 섞어 쓸 수도 없기에 상용한자라는 것을 3000자 가까이 정해 놓고 가능하면 그 범위 안에서 쓰도록 하고 있지요. 그런데 착(鑿) 자는 획수가 많고 어려워 상용한자에서 빠져 있기에 그 대신 뜻이 비슷하고 획이 간단하며 상용한자에 포함되어 있는 削 자를 쓴 겁니다.
[우리문화신문=김효곤 기자]백묵(白墨), 흑판(黑板)... 이런 말을 무심코들 쓰시지요? 오늘은 이걸 한번 따져봅시다. 분필은 하양뿐 아니라 빨강 파랑 등 여러 가지 색이 있습니다. 이를 빨간 백묵, 파란 백묵이라고 쓰자니 정말 어색합니다. 백묵이란 말에 이미 빛깔이 드러나 있기 때문이지요. 그렇다고 '청묵', '홍묵' 하는 것도 우습고... 또, 요즘 교실 앞뒤의 칠판은 거의 다 초록색이지요? 이 또한 '흑판'이라고 하자니 안 맞고, 그렇다고 녹판(綠板)이라고 하기도 그렇습니다. ▲ 우리가 칠판, 분필하던 것은 일본에서 들어온 흑판, 백묵으로 바뀌었다. (그림 이무성 한국화가) 사실 이런 말은 일본에서 만들어 우리나라로 넘어온 것들입니다. 흑판, 백묵이라는 말이 일본에서 들어오기 전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분필(粉筆)과 칠판(漆板)이라고 썼습니다. 이는 각각 가루로 만든 붓, 칠을 한 판자라는 뜻이니, 애당초 어떤 색이든 상관없습니다.(漆은 원래 옻칠을 뜻하는 한자이지만, 굳이 한자가 아니라 순 우리말로 보아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여기서서 한걸음 더 나아가 봅니다. 일본 사
[우리문화신문=김효곤 기자] 우리가 별 생각 없이 자주 쓰는 말 가운데 막상 정확한 뜻을 따져 보자면 알쏭달쏭한 것이 제법 있습니다. 오늘 얘기하려는 나절이라는 말도 그렇습니다. 흔히 한나절, 반나절, 아침나절, 저녁나절 등으로 쓰지요. 이런 말들은 아예 한 단어가 된 것으로 보기 때문에 띄어 쓰지 않습니다. 그러면 한번 생각해 봅시다. 한나절은 도대체 얼마쯤 되는 시간일까요? 반나절은? 보통 나절은 낮 시간의 절반 정도를 뜻하니까 낮의 절반이 줄어든 말이라고 생각해도 될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하루 중 낮이 12시간이라면 한나절은 6시간쯤으로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여름에는 이보다 좀 길어지고 겨울에는 짧아지기 때문에 정확히 몇 시간이라고 하기는 어렵습니다. ▲ 한나절 동안 갈 수 있을 정도 넓이의 밭이나 논을 나절갈이라 한다.(그림 이무성 한국화가) 그러나 해가 뜨면 일하고 해가 지면 쉬던(日出而作 日入而息) 농경사회에서는 시간의 단위로 유용했을 겁니다. 나절갈이 같은 말이 남아 있는 걸 보면 그걸 알 수 있습니다. 나절갈이란 한나절 동안 갈 수 있을 정도 넓이의 밭이나 논을 뜻합니다. 그런데 요즘 한나절을 쓸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