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선흥 작가] 남자 옷을 입은 채 금강산에 오른 열네 살 소녀 김금원. 그의 눈으로 본 1830년 봄 금강산을 구경해 본다. 자유 왕래할 그날을 그리면서. 드디어 금강산으로 향한다. 단발령에 올라 금강산 일만이천봉을 바라본다. 옥이 서 있고 흰 눈이 쌓인 것 같다. 중국 서산에 쌓인 눈도 필경 이보다 못하리라. 서산은 연경(燕京)의 가장 뛰어난 명산으로 만수산 뒤로 첩첩한 산과 층층의 절벽을 보면 마치 선경과 같다 한다. 눈 내린 뒤의 봉우리는 더욱 기이해서 연경의 8대 경치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금강산은 층층이 겹친 산과 첩첩한 봉우리가 구름까지 솟아올라 있다. 사철 내내 눈빛을 띠고 있으니, 봉우리마다 빼어나다. 산길에 봄이 깊었다. 초록 이파리는 살찌고 붉은 꽃은 시든다. 두견새가 소리마다 ‘불여귀(不如歸: 돌아감만 못 하다, 돌아가라)’라 지저귀며 여행객의 쓸쓸한 마음을 돋운다. 장안사로 향한다. 금모래, 잔잔한 풀이 몇 리에 걸쳐 깔려 있고 키 큰 소나무가 하늘을 찌를 듯하다. 삼사 층의 웅장한 법당이 온 골짜기를 누르듯 서 있다. 예스러운 분위기의 연로한 주지승이 법당을 내려오는 모습이 보인다. 지팡이를 거꾸로 들고 있다. 노승이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어느 날 문득 하늘을 올려다보았을 때, 얇게 퍼진 구름 사이로 동그란 구멍이 숭숭 뚫려있는 듯한 모습을 본 적 있으신가요? 누군가 하늘에 촘촘한 그물을 쳐 놓은 것 같기도 하고, 꿀벌들이 힘들여 지어 매달아 놓은 '벌집'을 보는 것 같기도 하지요.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바로 이 야릇하면서도 아름다운 구름, '벌집구름'입니다. '벌집구름'은 그 이름 그대로 벌집처럼 생긴 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하늘에 얇고 넓게 퍼진 구름에 동그란 구멍들이 숭숭 뚫리면서, 그 무늬가 꼭 벌집이나 그물처럼 보이는 것이지요. 말집(사전)에서는 이 구름을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습니다. 벌집처럼 생긴 구름. 권적운, 고적운과 같은 비교적 얇은 구름에 둥근 구멍이 많이 뚫려서 생긴다. 《표준국어대사전》 풀이에 나오는 '권적운(卷積雲)'이나 '고적운(高積雲)' 같은 한자말이 조금 낯설게 느껴지실 수 있습니다. 이는 하늘 높은 곳에 비늘처럼 얇게 퍼진 구름을 가리키는 말로, '권적운'은 '털쌘구름' 또는 '비늘구름', '고적운'은 '높쌘구름' 또는 '양떼구름'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그러니 '벌집구름'은 하늘 높은 곳에 뜬 '비늘구름'이나 '양떼구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유홍준)은 매주 수요일 야간개장 시간(18:00~21:00)에 ‘전시기획자(큐레이터)와의 대화’를 운영한다. 11월에는 인상주의 회화를 다룬 특별전 《인상주의에서 초기 모더니즘까지, 빛을 수집한 사람들》과 세계문화관에 새롭게 문을 여는 이슬람실을 비롯한 상설전시관에서 14개의 주제에 관한 해설이 진행된다. 먼저, 미국 메트로폴리탄박물관 소장 로버트 리먼 컬렉션을 선보이는 특별전 《인상주의에서 초기 모더니즘까지, 빛을 수집한 사람들》이 11월 14일에 막을 올린다. 이 전시는 19세기 후반 인상주의에서 20세기 초 모더니즘으로 이어지는 예술의 변화를 조명하고, 빛과 색채의 탐구를 통해 예술의 새로운 지평을 연 화가들의 작품을 선보인다. 11월 19일과 26일 저녁 6시에 전시기획자의 해설을 통해 주요 작품에 관한 설명과 전시 의도를 들어볼 수 있다. 이슬람실은 카타르 도하 이슬람예술박물관 소장품 83점을 통해 이슬람 문명이 이루어낸 찬란한 문화의 향연을 경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11월 22일부터 관람할 수 있다. 26일 저녁 7시에 전시의 내용과 구성을 한층 더 깊게 이해할 수 있는 전시기획자의 해설을 마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