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우지원 기자] 우리 고장. 참 정겨운 단어다. 내가 살고있는 고장의 역사를 아는 것은 지역에 대한 애착과 사회 전반에 대한 이해까지 높이는 길이다. 길 가다 무심코 지나친 비석이 어떤 것이었는지, 소풍 때 갔던 초가집이 어떤 곳이었는지 알고 나면 한층 더 정감있게 느껴진다. 이 책, 《알려줘 강원도 위인!》은 강원도 지역의 위인 열두 명을 다루고 있다. ‘알려줘 위인!’은 사회 교과를 처음 배우는 초등학생들의 학습을 돕기 위한 지역 위인전 시리즈로, 경기도,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등 지역별로 다양한 종류가 출간되었다. 강원도는 고조선 시대에는 예맥족이 살았고, 예맥족이 세운 나라가 ‘동예’와 ‘옥저’였다. 광개토대왕 때 고구려에 정복되었고, 신라 진흥왕 때부터는 신라 땅이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이곳을 대표하는 도시였던 강릉과 원주의 머리글자를 따서 ‘강원도’라 부르기 시작했다. 책에 실린 이사부, 의상, 원천석, 신사임당, 허균, 임윤지당, 윤희순, 남궁억, 한용운, 이효석, 김유정, 박수근 가운데 잘 알려진 인물도 있지만, 거의 처음 들어봤을 법한 인물도 있다. 특히 원천석과 윤희순은 모두에게 생소할 듯하다. 운곡 원천석은 원주 지역의 위
[우리문화신문=우지원 기자] 격몽(擊蒙). 말 그대로 ‘몽매함을 물리친다’라는 뜻이다. 조선을 대표하는 학자로 이름 드높은 율곡 이이가 ‘몽매한 자들을 교육하는 중요한 비결’을 담아 펴낸 책이 바로 《격몽요결》이다. 요즘으로 치면 올바르게 살기 위해 마땅히 해야 할 바를 정리한 ‘자기계발서’라 할 수 있다. 한학 전문가인 지은이 이민수가 풀이한 이 책, 《격몽요결》은 율곡 이이의 가르침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원문의 풀이도 잘 되어있지만, 다른 고전에서도 참고할 만한 부분을 많이 인용해 풍부한 해설을 덧붙였다. 500여 년 전의 자기계발서인데도 워낙 기본적인 자기관리 태도를 담고 있어서인지 크게 이질감이 없다. 이이는 격몽요결 머리글에서 ‘어쨌든 학문을 하지 않은 사람은 마음이 막히고 소견이 어둡기 마련’이라며 ‘사람은 반드시 글을 읽고 이치를 궁리해서 자기 자신이 행해야 할 길을 밝혀야 한다’라고 썼다. 바다 남쪽에 집을 정하고 살 때 학도 한두 사람이 와서 배움을 청했는데, 스승이 되지 못할 상황이라 대신 책 한 권을 쓴 것이다. 처음 배우는 사람들이 아무런 향방 없이 헤매는 것을 안타까이 여겨 책으로 자기 마음을 세우는 법, 부모 섬기는 법
[우리문화신문=우지원 기자]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혹시 이 노래를 들은 독자가 있다면, 한 번쯤 이런 의문을 품어봤을 것 같다. ‘어, 왜 이 인물은 안 들어가 있지?’ 한국을 빛낸 인물이어도 누군가에겐 크게 우선순위가 아닐 수 있고, 누군가에겐 크게 중요한 인물일 수 있다. 지은이 조아라도 그 노래를 들으며 ‘왜 이 사람은 여기에 들어가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을 했다. 그래서 노래에 들어가지 않은 이들을 조명하는 이 책,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에 더하고 싶은 한국을 빛낸 위인들》을 쓰게 됐다. 과연 이 책에는 역사에 관심이 많은 이들도 거의 접하지 못했을 위인들이 꽤 많다. 세계 첫 비행기를 만든 정평구가 대표적이다. 벨테브레이(박연), 김만덕, 김처선, 광해군, 정도전, 만적, 김수로왕 등 제법 익숙한 인물들과 이사주당, 김명국, 엄복동, 박자청 등 생소한 인물 20명을 가려 뽑아 소개하고 있다. 그 가운데 가장 신기한 인물은 역시 정평구다. 임진왜란 때 오늘날 비행기와 비슷한 개념의 무기인 ‘비거(날틀)’를 만들었다. 진주성을 방어하는 전투에서 비거가 보여준 활약은 놀랍다. 미국의 라이트 형제가 발명한 비행기보다 무려 300여 년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