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얼마 후 김 과장이 입을 열었다. “미스 나, 결혼한다고 했지? 내가 오늘은 미스 나에게 어떻게 살면 인생을 행복하게 살 수 있는가를 보여 줄게.” “정말이에요? 기대되는데요.” 라디오에서는 엉뚱하게도 최희준의 엄처시하 노래가 흘러나오고 있었다. ‘열아홉 처녀 때는 수줍던 그 아내가 첫 아일 낳더니만 고양이로 변했네...’ 차는 중부고속도로에서 진천나들목(IC)으로 빠져나갔다. 꾸불꾸불한 시골길을 얼마간 달리니 커다란 건물 몇 동이 멀리서부터 보였다. 입구에는 ‘꽃동네’라고 쓰인 돌간판이 있었다. 그 위쪽에는 커다란 돌에 ‘얻어먹을 수 있는 힘만 있어도 그것은 주님의 은총입니다’라고 새겨져 있었다. 현관에는 앉은뱅이 할아버지가 손가락도 없는 손으로 신발을 정리하고 있었다. 모습은 흉해도 얼굴은 온화해 보였다. 사무실에 들어가니 안내원이 미소로 두 사람을 맞았다. 두 사람은 안내원을 따라 건물을 둘러보았다. 안내원의 설명이 시작되었다. “꽃동네는 1976년 최귀동 할아버지와 무극 성당의 오웅진 신부님과의 우연한 만남에서 시작되었답니다. 최귀동 할아버지는 일제강점기 때 징용으로 끌려가 심한 고문 끝에 정신병을 얻었고 고혈압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토요일 아침, 좀처럼 특근을 안 하는 김 과장은 오늘은 회사일로 좀 늦겠다고 아내에게 연막을 치고, 퇴근하자마자 약속한 다방으로 갔다. (필자 주: 당시에는 회사들은 토요일 오전에는 근무했다) 아가씨는 예쁘게 차려입고 나왔다. 젊고 예쁜 아가씨를 보니 새삼스럽게 젊음이 좋다는 생각이 들었다. 두 사람은 고급 식당에서 연인처럼 식사를 마치고 근처 커피숍에서 자메이카 커피까지 마셨다. 창밖을 보니 청춘 남녀들이 다정하게 웃으며 걷고 있었다. 햇볕이 따사로웠다. 평화로운 토요일 오후였다. “미스 나, 우리 드라이브나 할까?” 김 과장이 슬쩍 유혹의 말을 던졌다. “네, 좋아요.” 아가씨는 기다렸다는 듯이 대답했다. 김 과장이 운전하는 프라이드 승용차는 올림픽 대로를 거쳐 중부고속도로로 접어들었다. 창밖의 경치가 시원했다. 도시의 우중충한 빌딩과 좁은 사무실, 그리고 인파 속에서 지내다가 모처럼 시속 110km로 달리니 시원했다. 먼 산과 푸른 숲, 물이 흐르는 하천과 작은 집들을 바라보니 기분이 상쾌해졌다. 미스 나도 마냥 즐거운 모양이다. 김 과장은 차의 라디오를 틀었다. 시기적절하게도 라디오에서는 최성수가 부른 인기 가요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큰 바다에 눈이 먼 거북이가 한 마리 살고 있었대. 바다 가운데에 구멍 뚫린 통나무 하나가 떠서 물결 따라 움직이고 있었고. 거북이는 100년에 한 번씩 물 위로 떠올라 머리를 내미는데, 우연히 거북이 머리가 나무 구멍을 만날 수 있는 확률은 얼마나 될까? 거북이가 통나무 구멍에 용케도 목이 낄 확률만큼이나 어렵게 사람과 사람이 서로 만난다는 것이야. 그러니 내가 아가씨를 만난 것이 얼마나 엄청난 인연인지 짐작할 수 있겠지?” “재미있는 이야기인데요. 절에 나가세요?” “아니, 내가 불교에 대해서 무얼 아나. 그저 들은 이야기이지.” “그러면 인연을 끊기는 쉬운가요?” “그게 쉽다면 나도 처자식 다 버리고 벌써 산으로 들어갔지. 요즘처럼 사는 게 복잡하고 힘들어서야 일찍부터 중이나 될 걸 그랬다는 생각도 난단다.” 한참 동안 말이 없다가 아가씨가 입을 열었다. “김 과장님. 저 석 달 후에 결혼하기로 했어요.” “그것 참 잘 됐군. 여자는 나이가 차면 당연히 결혼을 해야지. 아무튼 축하해.” “감사합니다.” 김 과장은 말은 축하한다고 했지만, 왠지 서운한 생각이 들었다. 남자의 심리란 묘한 것이어서 자기 여자가 아닌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