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신문 = 지명순 교수] 세계선수권대회에서 금메달을 딴 김연아 선수는 경제 위기 속에 국민에게 용기와 희망을 준 영웅으로 국민 여동생으로 사랑받고 있다. 우리는 국민 영웅, 국민 가수, 국민 어머니, 국민 동생 등은 국민이라는 앞가지(접두어)를 붙여 그의 공로나 가치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표현한다. 봄이 되면 온 산을 아름다운 분홍빛으로 물들이고, 꽃을 이용하여 떡이나 술 등의 먹거리를 만들어 꽃의 향기와 계절의 풍류를 즐기게 하는 진달래는 우리 겨레와 함께한 국민꽃이라 할 수 있다. 진달래(Korean Rosebay, Rhododendron mucronulatum)는 생물학적으로 진달래목 진달래과의 낙엽관목이고, 진달래과는 전 세계에 약 50속 1,400여 종이 있다. 진달래과에는 진달래 말고도 철쭉(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 따위가 속하며 철쭉과라고도 한다. 진달래와 철쭉은 봄에 피고, 꽃의 빛깔이 비슷하기 때문에 헷갈리기 쉽지만 몇 가지 점에서 차이가 있다. 진달래는 흔히 4월 무렵에 꽃이 잎보다 먼저 피는데 반하여 철쭉은 5월 무렵에 꽃과 잎이 함께 핀다. 또한 민간에서는 진달래는 먹을 수 있는 꽃이라는
[한국문화신문 = 지명순 교수] 한 달 전 쯤 위장병이 나서 아무 음식이나 먹을 수 없어 고통스러웠을 때 친정어머니가 쑤어준 대추죽을 아침저녁으로 먹었더니 어느새 예전처럼 식욕이 좋아져 이젠 살이 찔까 염려하고 있다. 죽은 곡물을 주재료로 물을 많이 붓고, 오래 끓여 만드는 음식으로 우리 먹거리 가운데 가장 일찍부터 발달한 주식이었다. 그러나 최근 죽 전문식당이 생겨나면서 죽은 특별한 맛을 즐기기 이한 별미음식으로, 환자를 위한 병인식으로, 몸이 허약한 사람을 위한 보양식으로 언제 어느 때나 쉽게 구할 수 있는 음식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과거 보양식으로 죽을 가장 많이 먹은 사람은 임금이었다. 탕약을 들지 않는 날에는 날마다 이른 아침(7시 이전) 죽과 마른 찬으로 차린 초조반(初朝飯)을 먹었다. 이때 올리는 죽으로는 흰죽, 잣죽, 깨죽, 우유죽, 흑임자죽, 행인(살구속)죽, 대추죽 같은 몸에 좋은 재료를 써서 담백하게 쑤어진 것들이었다. ▲ 대추죽 대추나무는 5월 봄이 한창일 때 싹이 터, 한 여름을 다 지내고 9월 가지마다 토실토실한 열매를 주렁주렁 많이 맺기 때문에 자손의 번창함을 기원하는 의미로 혼인에식에 빠지지 않고 쓰인다. 대추는 맛이
[한국문화신문 = 지명순 교수] 전자렌지 단추 한번 누르면 따끈한 밥이 뚝딱 나오는 시대지만 아침에 밥 달라고 식탁에 앉아서 소리치는 남자와 밤늦게 들어와 밥 차려 달라는 남자는 간 큰 남자라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여성들이 경제활동을 하게 되면서 남편 뒷바라지를 할 시간이 부족하다는 뜻이기도 하며, 다른 가사 일은 남편들도 할 수 있지만 음식을 만드는 일만큼은 여성이 담당해야 된다는 얘기와 상통된다. 살기 위해 먹든, 먹기 위해 살든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먹어야 하며, 그 가운데서도 단연코 밥을 빼놓고는 생각할 수 없다. 밥 하면 쌀만으로 짓는 흰밥을 생각할 수 있지만, 콩팥조 따위를 섞어서 짓는 잡곡밥과 오곡밥, 지은 밥에 여러 가지 나물을 얹어내는 비빔밥, 계절에 따라 생산되는 재료를 넣어 짓는 김치밥, 콩나물밥, 버섯밥, 밤밥 등 별미 밥이 있다. ▲ 굴무밥 차가운 바람이 쌩쌩 불고 얼음이 얼 때쯤 생각나는 별미밥이 있으니 바로 굴무밥이다. 굴은 동서고금을 통해 가장 유명한 정력 식품이다. 희대의 플레이보이 카사노바는 매일 저녁 식사 때마다 굴을 50개나 먹었다는 말이 전해진다. 굴이 정력이 도움이 되는 것은 아연알르기닌글리코겐 따위가 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