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 우리나라는 지구라는 이 땅덩이 위에서 물이 가장 좋은 곳이다. 물을 받아 담아 두는 흙과 돌과 바위가 목숨에 좋은 갖가지 원소를 품고서 물을 맑고 깨끗하게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 겨레는 물을 먹고 쓰려고 마련한 자연의 그릇도 여러 가지를 썼다. 그런 그릇 가운데 가장 많이 쓴 것이 ‘샘’과 ‘우물’이다. 그러나 요즘은 샘과 우물이 삶에서 밀려나 자취를 감추려 한다. 삶의 전통을 지키려면 말의 박물관이라도 서둘러 만들어야 할 판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샘’을 “물이 땅에서 솟아 나오는 곳”이라 풀이하고, ‘우물’을 “물을 긷기 위하여 땅을 파서 지하수를 괴게 한 곳”이라 풀이해 놓았다. ‘우물’을 ‘물을 긷기 위하여 괴게 한 것’이라 하면, 먹으려고 긷는지 쓰려고 긷는지 가늠할 수가 없다. 게다가 ‘지하수’라는 낱말의 뜻을 “빗물이 땅속에 스며들어 흙과 돌과 바위 사이 빈틈을 채우고 있는 물”이라 한다면, “물을 긷기 위하여 땅을 파서 지하수를 괴게 하는 곳”은 ‘우물’이 아니라 ‘둠벙’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둠벙’을 “웅덩이의 충청도 사투리”라 했지만, 둠벙은 삼남 지역에서 입말로 두루 쓰던 낱말이
[우리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 사람은 불을 찾고 만들어 다스리면서 삶의 길을 가장 크게 뛰어올랐다. 겨울의 추위를 물리치고 밤의 어두움을 몰아내면서 삶은 날로 새로워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날것으로 먹을 수밖에 없던 먹거리를 굽거나 삶아서 먹을 수 있게 되었다는 사실도 삶의 길을 뛰어오르는 지렛대의 하나였다. 굽는 것은 먹거리 감을 불에다 바로 익히는 노릇이고, 삶는 것은 먹거리 감을 물에 넣어서 익히는 노릇이다. 삶다는 물에 먹거리 감을 넣고 푹 익히는 것이다. 감자나 고구마, 토란이나 우엉같이 단단한 뿌리 남새(채소)라면 삶아서 먹는 것이 제격이다. 그러나 단단하지 않은 것이라도 날것으로는 먹기 어려운 것들, 일테면 박이나 호박 같은 남새는 말할 나위도 없고, 무엇보다도 짐승의 고기는 삶아야 제대로 맛을 즐기며 먹을 수가 있다. ▲ 감자나 고구마 같이 단단한 뿌리 남새라면 삶아서 먹는다. (그림 이무성 한국화가) 삶는 것에 아주 가까운 것으로 데치다가 있다. 데치는 것은 물에 먹거리 감을 넣고 살짝만 익히는 것이다. 삶아 버리면 너무 흐물흐물해서 먹을 수가 없을 만큼 여리고 부드러운 먹거리 감, 일테면 이른 봄에
[우리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 사투리는 대중말(대중은 눈대중이 매섭다, 대중없이 왜 이랬다저랬다 해?에서처럼 가늠을 뜻하는 토박이말이다. 대중말과 같은 뜻으로 표준말을 쓰지만, 그것은 일본에서 온 들온말이다.)에 맞선다. 대중말은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에서 온 국민이 막힘없이 주고받도록 규정에 맞추어 마련해 놓은 말이고, 그런 규정에서 밀려난 우리말은 모두 사투리다. 사투리에는 어느 고장에서만 쓰는 사투리도 있고, 어떤 사람이나 모둠에서만 쓰는 사투리도 있다. 토박이말은 들온말(외래어)에 맞선다. 들온말은 가까운 중국과 일본과 몽고를 비롯하여 멀리 서양 여러 겨레(민족)에게서 들어왔다. 이렇게 남의 말에서 들어온 것을 뺀 나머지는 모두 토박이말이다. 토박이말은 우리에게서 저절로 싹트고 자라난 우리말의 알짜요 노른자위다. ▲ 사투리나 토박이말은 떳떳하고 자랑스러운 낱말이다. (그림 이무성 한국화가) 토박이말에도 대중말과 사투리가 싸잡혀 있고, 사투리에도 토박이말과 들온말이 싸잡혀 있다. 그런데 사투리와 토박이말이란 낱말은 우리네 배웠다는 사람들에게서 버림받았다. 그들은 굳이 사투리를 버리고 방언/지역어라는 한자말을 쓰고,
[우리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뽑다는 박힌 것을 잡아당겨서 빼내는 노릇이다. 박힌 것이란 온갖 풀이나 나무나 갖가지 남새(채소), 곡식의 뿌리라든지 짐승이나 사람의 이빨같이 자연히 박힌 것을 비롯해서, 못이나 말뚝같이 사람이 박은 것까지 싸잡아 뜻한다. 게다가 뜻넓이가 더욱 번져 나가면서 몸에서 피를 뽑듯이 땅속에서 기름도 뽑고 물도 뽑는다. 게다가 거미 꽁무니에서 줄을 뽑고, 사람의 목에서 노래 한 가락을 뽑고, 사람의 마음에서 나쁜 버릇을 뽑듯이 속에 있는 것을 나오게 한다는 뜻으로도 쓴다. 그뿐 아니라 반장이나 대표를 뽑듯이 골라잡는다는 뜻, 장사에서 밑천을 뽑듯이 거두어들인다는 뜻으로까지 넓혀서 쓴다. 뽑다를 본디 제 뜻, 곧 푸나무와 남새와 곡식같이 땅에서 싹이 나고 자라는 것을 빼낸다는 뜻으로 쓸 적에는 비슷한 낱말이 여럿 있다. 캐다, 솎다, 찌다, 매다가 그런 낱말들이다. ▲ 무를 뽑고, 모를 찌고 (그림 이무성 한국화가) 캐다는 쓸모가 있으나 흔하게 널려 있지 않아 찾고 가려서 빼내는 것인데, 맨손이 아니라 칼이나 호미를 비롯한 갖가지 연모의 도움을 받아서 빼내는 노릇을 뜻한다. 봄철이면 뫼나 들에서
[우리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 중국의 이른바 동북공정 덕분(?)으로 요즘 우리 겨레의 옛 삶이 뚜렷이 드러나면서 중국 사람뿐만 아니라 온 천하 사람들을 놀라게 한다. 고조선의 중심이었던 요하 가장자리에서 일어난 문명이 세계 4대 문명의 하나로 손꼽혀 온 중국 황하 문명보다 오백 년에서 천 년이나 앞선 사실이 환히 드러났기 때문이다. 그리고 불을 일으켜서 먹거리를 익히고, 그릇을 굽고, 청동기를 만들어 사냥과 농사를 바꾸는 일을 황하 언저리의 중원 사람들에게 가르쳤다는 사실 또한 드러났다. 이는 동이족인 염제 신농씨가 중국으로 불을 가져가 농사를 가르쳤다는 이야기가 한갓 신화가 아님을 말해 주는 것이다. 이처럼 우리 겨레가 불을 쓰며 살아온 세월이 오래라 그런지, 우리말에는 불에 말미암은 낱말이 여럿이다. 부리나케와 불현듯이도 그런 낱말들 가운데 하나다. 부리나케는 [불+이+나+게]가 본디 모습이다. 그러니까 불이 나게가 하나의 낱말로 붙어 버린 것인데, 오늘날 맞춤법이 본디 모습을 밝혀서 적지 않고 소리 나는 대로 적기로 해서 부리나케가 되었다. 나게가 나케로 바뀐 것은 느낌을 거세게 하려는 데서 비롯한 것으로 보이기도 하고, 나게가 낳게와 서로 헷갈려서
[우리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 겨울 초입에서는 이른 추위가 닥쳐서 부랴부랴 김장들을 재촉하고. - 한수산, 부초 부랴사랴 외부대신 집으로 달려가는 교자가 있었다. - 유주현, 대한제국 부랴부랴와 부랴사랴는 생김새가 아주 닮았다. 그래서 사람들은 거의 같은 뜻으로 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도 두 낱말의 뜻풀이를 아주 같은 것으로 해 놓았다. 부랴부랴 : 매우 급하게 서두르는 모양. 부랴사랴 : 매우 부산하고 급하게 서두르는 모양. 《표준국어대사전》 보다시피 그림씨 부산하고를 더 넣고 빼고 했을 뿐이니, 사람들은 그것이 어떻게 다른지 알 도리가 없다. 외국인이라면 이런 뜻풀이 정도로 알고 그냥 써도 탓할 수 없겠지만, 우리 겨레라면 이들 두 낱말을 같은 것쯤으로 알고 써서는 안 된다. 선조들이 값진 삶으로 가꾸어 물려주신 이들 두 낱말은 저마다 지닌 뜻넓이가 다르기 때문이다. 부랴부랴는 느낌씨(감탄사) 낱말 불이야!가 겹쳐서 이루어진 어찌씨(부사) 낱말이다. 불이야! 불이야! 하던 것이 줄어서 불야! 불야! 하게 되었는데, 오늘날 맞춤법이 소리 나는 대로 적기로 해서 부랴부랴가 되었다. 이렇게 바뀐 것이 별것 아닌 듯하지만, 따지고 보면 두 낱말이던
[우리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 배알과 속알은 오랜 업신여김과 따돌림 속에서 쥐 죽은 듯이 숨어 지내는 낱말들이다. 그런 가운데서 배알은 그나마 국어사전에 올라서 목숨을 영영 잃지는 않았다 하겠으나, 속알은 아주 목숨이 끊어졌는지 국어사전에조차 얼씬도 못하고 있다. 국어사전들에서 풀이하고 있는 속알의 뜻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알맹이. (평북) 2) 단단한 껍데기가 있는 열매의 속알맹이 부분. 3) 알맹이의 방언. (평북) 이런 풀이는 여기서 이야기하려는 속알의 뜻과 사뭇 다른 엉뚱한 풀이들이다. 국어사전에 올라 있다는 배알은 풀이가 또 이렇다. 1) ① 동물의 창자. ② 사람의 창자의 낮은말. ③ 부아의 낮은말. ④ 속마음의 낮은말. ⑤ 배짱의 낮은말. 2) 밸을 속되게 이르는 말. 3) ① 창자를 비속하게 이르는 말. ② 속마음을 낮잡아 이르는 말. ③ 배짱을 낮잡아 이르는 말. 짐승의 창자라는 것 말고는 모조리 낮은말이니 속되게 이르는 말이니 비속하게 이르는 말이니 낮잡아 이르는 말이니 해 놓았다. 배알은 제 뜻을 지니지도 못하고 겨우 다른 말을 낮추어 쓰는 말일 뿐이라는 것이다. 배알을 얼마나 업신여기고 있는지 잘 알려 주는 풀이들이다.
[우리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 위의 반대말은 아래이기도 하고 밑이기도 하다. 그것은 위라는 낱말이 반대말 둘을 거느릴 만큼 속살이 넓고 두터운 한편, 밑과 아래의 속뜻이 그만큼 가깝다는 말이다. 이처럼 두 낱말의 속뜻이 서로 가까운 탓에 요즘에는 밑과 아래의 뜻을 헷갈려 쓰지 않는 사람이 거의 없을 지경에 이르렀고, 심지어 국어사전에서도 헷갈린 풀이를 해 놓았다. 밑 : 나이, 정도, 지위, 직위 따위가 적거나 낮음. 과장은 부장보다 밑이다. 동생은 나보다 두 살 밑이다. 아래 : 신분, 연령, 지위, 정도 따위에서 어떠한 것보다 낮은 쪽. 그는 나보다 두 살 아래이다. 위로는 회장에서, 아래로는 평사원까지. 《표준국어대사전》 밑과 아래가 뜻으로나 쓰임새로나 조금도 다를 바가 없다는 소리다. 하기야 밑은 ~ 따위가 적거나 낮음이라 풀이하고, 아래는 ~ 따위에서 어떠한 것보다 낮은 쪽이라 풀이했으니 아주 같지는 않다고 할는지 모르겠다. ▲ 《표준국어대사전》의 '밑'과 '아래'의 풀이, 두 풀이가 조금도 다를 바 없다.(그림 이무성 한국화가) 그러나 낮음과 낮은 쪽은 무엇이 어떻게 다르
[우리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 우리가 어릴 적에는 책가방을 어깨에 메고 학교에 다녔으나, 요즘은 유치원생에서 대학생까지 모두 책가방을 등에다 짊어지고 다닌다. 그러면서도 책가방을 지고 다닌다는 사람은 아무도 없고, 모두들 메고 다닌다고 한다. 그만큼 우리가 말뜻을 올바로 가려 쓰지 못하고 살아가는 것이다. 메느냐 지느냐 하는 것은 책가방이냐 아니냐에 달린 것이 아니라, 어깨에만 맡기느냐 등에다 맡기고 어깨는 거들기만 하느냐에 달린 것이다. 메다는 어깨에다 무엇을 걸치거나 올려놓는 노릇이다. 이때 무엇이란 장대나 통나무, 보따리나 보퉁이를 비롯하여 어깨에 얹혀 있을 만하면 가릴 것이 없다. 그러나 반드시 한 쪽 어깨에만 맡겨야 메는 것이라 한다. 굳이 두 쪽 어깨에 맡겨도 메는 것일 수가 있지만, 그럴 적에는 한 쪽 어깨에 하나씩 따로 맡겨야 메었다고 할 수 있다. ▲ 어깨 한쪽에 걸치는 것 메다, 양 어깨에 걸치는 것 지다(그림 이무성 한국화가) 무엇이나 하나를 두 쪽 어깨에다 걸치면 그 무엇은 어쩔 수 없이 등허리 쪽에다 맡기는 수밖에 없고, 그렇게 하면 메는 것이 아니라 지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지다는 본디
[우리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 토박이말은 우리 겨레가 이 땅에 살아오면서 스스로 만들어 낸 마음의 집이다. 우리 몸에는 우리 겨레의 유전 정보가 들어 있듯이, 토박이말에는 마음 정보가 들어 있다. 몸에 들어 있는 유전 정보는 쉽사리 망가지지 않으나, 말에 들어 있는 마음 정보는 흔들리는 세상에 맡겨 두면 단박에 망가진다. 지난 백 년 동안 우리는 무섭게 흔들리는 세상을 살아오면서 토박이말을 지키고 가꾸고 가르치지 못했다. 흔들리는 세상을 타고 일본말이 밀려와 짓밟고 미국말이 들어와 휘저어 뒤죽박죽이 되었다. 수백 년 수천 년을 살아오며 갈고닦아 마련한 겨레의 마음 정보를 온통 망가뜨린 셈이다. 그래서 오늘 우리네 마음, 우리네 느낌과 생각과 뜻과 얼은 토박이말과 함께 뒤죽박죽이 되어 버린 것이다. 토박이말 무섭다와 두렵다의 쓰임새도 그런 보기의 하나다. 이들은 말할 나위도 없이 모습도 속살도 서로 다른 낱말이다. 그런데 우리 가운데 어느 누가 이들이 어떻게 다른지를 알고 가려서 쓸 수 있는가? 무섭다 : 어떤 대상에 대하여 두려운 느낌이 있고 마음이 불안하다. 두렵다 : 어떤 대상을 무서워하여 마음이 불안하다. 《표준국어대사전》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