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쌍한 대한민국 장손, 장손은 일본말? 불쌍한 대한민국 장손들! 남의 일이라고 쉽게 제사 없애라 어쩌라 그러죠. 그게 말처럼 쉬우면 집안에서 저 고생하고 있겠습니까? 집안 어른 중에는 완고한 보수주의자도 있을 것이고, 노인네들 사고방식으로 제사 없애면 집안에 큰 일 나는 줄 알고 있는 사람도 있고... 문중 재산이나 또 많으면 현실적으로 도움 되고, 정신적으로 위로나 될 터인데,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다음 예문을 찾다 보니 장손 된 것이 스스로 불쌍하다는 예문이 떠다닌다. 여러 말 못할 사연들이 있나보다. 여기서 장손이란 말을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보면, “장손(長孫): 한집안에서 맏이가 되는 후손. ‘맏손자’로 순화.” 라고 되어 있다. 왜, 고쳐 쓰라는 것일까? 국어사전에서 ‘순화’라고 되어 있는 말은 대부분 ‘일본말’인 경우가 많다. 단순한 한자말인 경우에는 순화라는 말을 쓰지 않고 있다. 정말 ‘장손’은 일본말일까? 고시된 순화 용어 관보 제 13269호,1996.3.23에 보면‘장손’은 일본어투 생활용어로 분류되어 있다. 그러나‘장손’이란 말은 조선시대에도 흔히 쓰던 말이다. 세종 116권, 29년(1447 정묘) 윤4월 27일자에, “이제부터는
“동장군”은 러시아-프랑스 전투와 관련된 “general frost” 나온 말 지역발전을 위하여 불철주야 노력하시는 귀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여러분의 뜨거운 성원과 격려로 제7회 포천 동장군 축제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포천시의 적극적인 지원과 마을 주민들의 땀과 열정을 담아 이동면민 전체가 단합된 마음으로 함께 함은 물론 포천시와 경기도의 대표축제로 손색이 없도록 하기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해습니다. 바쁘신 와중에도 참석하시어 동장군 축제가 더욱 발전하길 기원해주시고 격려해주시길 바랍니다. -포천 동장군 축제조직위원회 누리집- 바야흐로 동장군의 계절이다. 경기도 포천에서는 동장군 잔치(축제)를 어느새 7회째나 열고 있다. 한겨울 몹시 추울 때 ‘동장군이 맹위를 떨친다’라는 말을 종종 듣게 된다. 한자로는 ‘冬将軍’이라고 쓰는 이 말은 대체 어디서 온 말 일까?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동장군(冬將軍): 겨울 장군이라는 뜻으로, 혹독한 겨울 추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는 짧은 설명이 전부다. 언제부터 쓰이기 시작했는지 어디서 유래했는지를 알고 싶은 사람에게는 별로 도움이 안 된다. 결론부터 말하면 이 말은 일본에서 쓰이기 시작한 말을 들
100년 된 교토의 '표구점' 앞에 1000년의 자존심이 구겨진다 서울 낙원동에서 40년 넘게 전통 표구 작업을 해온 이효우(69) 낙원표구사 대표는 옛 사람들이 시나 편지를 쓰는 데 사용한 작은 종이인 시전지(詩箋紙) 수집가다. 전남 강진의 병풍을 제작하는 집안에서 자란 그는 10대 때 상경해 인사동 표구사에 들어가 일을 본격적으로 배웠다. 국내 몇 안 되는 장황(裝潢·비단이나 두꺼운 종이를 발라서 책이나 화첩, 족자 등을 꾸미는 일) 장인이자 고서화 수리·복원 전문가인 그가 시전지 수집을 시작한 것은 20년 전, 조선 후기 문인 이복현의 편지지를 보고 반하면서부터다 (후략) - 2010.11.15 국민일보- 위 글에 보면 표구라는 말이 많이 나온다. 그러고 보니 집 주변에 있던 ‘표구집’이 하나 둘 사라져 요즈음엔 인사동이나 가야 구경 할 수 있게 되었다. 표구집이 동네마다 있었다는 것은 붓글씨건 그림이건 표구를 맡기는 사람들이 있었다는 이야기인데 요즈음은 표구그림 보다 멋진 사진이나 현대적 감각으로 디자인된 그림들이 옛 그림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하면 따라 다니는 ‘표구’라는 말은 어디서 유래한 것일까? 표준국어대사전에는 “표구(表具) : 그림의
'착복'공화국 1)상이군경회, 年2천억 원 수익 “일부 간부가 착복”(PD수첩) 2)점점 실체 드러나는 뜸사랑 사기극, 무료봉사 미명 200억대 교육비 착복 3)검찰 ‘인건비 착복 의혹’ 통영시 위탁청소업체 3곳 압수수색 착복이라는 예문을 찾으려고 검색창에 ‘착복’을 치니 좌르르르....‘착복’ 예가 끝이 없다. 바야흐로 ‘착복 공화국’이라고 해도 반발할 사람이 없을 지경이다. 어쩌다가 이렇게 ‘착복’이라는 말이 넘쳐나는 사회가 된 것일까? 가끔 뉴스에서 듣게 되는 이런 ‘착복’ 소식으로 인해 선량한 사람들이 피해를 입지나 않을 까 걱정이다. 위 예문처럼 ‘뜸사랑의 교육비 착복’ 같은 기사를 예문으로 삼기는 매우 조심스럽다. 언젠가 공영방송에서 구당 김남수 선생의 침술 이야기를 본 적이 있다. 침 한방으로 꺼져가는 생명을 건지는 이야기는 신선했다. 아무리 최첨단의 현대의학을 갖춰두고 환자를 치료한다해도 ‘치유’가 안 된다면 ‘침 한 방’을 믿고 환자를 데려가게 되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문제는 자칫 본질을 호도하고 ‘자격’논란이나 ‘밥그릇’으로 확산되는 점이다. ‘착복’이란 한자 그대로 보면 붙을 착(着), 옷 복(服)으로 옷을 입는 다는 뜻이다. 표준국어사전
오늘 아침 숲속에서 지저귀는 새소리를 들으셨는지요? 저는 들었습니다. 제가 사는 곳은 소음 투성이 도심이지만 깊은 산 속 자작나무 숲을 생각하면 아름다운 새소리가 들립니다. 마음으로 듣는 소리 영혼의 소리 그 맑은 우리 소리를 위하여 책을 한 권 엮었습니다. 우리말글 속에 들어 있는 혼탁하고 여과 되지 않은 일본말찌꺼기의 오염을 생각하며 더 곱고 아름다운 우리말을 가꿔 가고 싶은 마음으로 엮은 책을 선생님께 선사합니다. 일독해주시고 널리 소개해주셔서 우리가 모르는 우리말글 속의 부유물을 알아차리는 데 선생님의 큰 힘을 얻고 싶습니다. 고맙습니다. 사쿠라훈민정음 지은이 이윤옥 사룀
1원어치만 사면 경품권 한 장을 드림니다. 상뎜마다 꼿장식을 하고 붉은 긔를 날리고 섯달 선물을 드린다고 찬란한광고를 세우고... 쇠잔과 탄식 뿐으로 항상 회색 빗이 든 적막한 시가가 고만 한 활긔라도 보여주는 일은 우리가튼 가난한 월급장이에게도 조곰쯤은 조와 보이는 일이다. 그럿타! 『1원 어치만 사면 경품표를 준다는데...』 하고 집안 사람에게 졸리기는 더 할망정 넘어나 쓸쓸히 살아오는 우리의 마음과 눈과 귀의 심심 파적만 식여주는 것도 한 편으로 고마운 일이다. -별건곤 제2호,1926.12.1- 우리나라에 ‘경품(景品)’이란 말이 들어 온 것은 일제강점기로 생각된다. ‘언제든지 의심스런 景品附 大賣出 內容 이약이(이야기)’라는 제목으로 잡지 별건곤에 실린 것 보다 이른 ‘경품’ 예는 동아일보 1922.1.13일자 ‘景品券이 禍根, 西洋人의 호주머니에서 훔친 돈 중에 경품권이 있는 것을 알고 추첨을 하려다가 逮捕’라는 기사 따위를 꼽을 수 있다. ‘경품=공짜,횡재’와 같이 인식 되어버린 ‘경품’은 일본어 케이힌에서 온 말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보면 ‘경품(景品):「1」특정한 기간 동안 많은 상품을 팔고 손님의 호감을 얻기 위해, 일정한
- 원족(遠足 ) 가는 날 - 나무는 잘라도 나무로 있고물은 잘라도 잘리지 않습니다. 산은 올라가면 내려가야 하고물은 거슬러 오르지 않습니다. (중략) 인생은 하나밖에 없습니다.시간도 하나밖에 없습니다. 6월20일은 원족(遠足)가는날 벌써부터 동심으로 돌아가 설레인 마음만 가득히......... -다음 누리집- 올해 2010년 6월 1일자로 올라 있는 한 누리집 ‘원족’안내 글이다. 불과 5개월 전 이야기인데 아직도 ‘원족’이라는 말을 쓰고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말은 일본말‘ 엔소쿠(원족)’를 그대로 따다 쓰는 말이다. 일본국어대사전大辞泉에 보면, ‘えん‐そく【遠足】:1 学校で、運動や見学を目的として、教師の引率で行う日帰りの小旅行。2 遠い所まで出かけること。’로 되어 있는데 번역은 우리국어대사전이 80%를 베꼈으니 이를 참조하자. 우리말사전에는 ‘소풍=원족’이라 해두었는데 소풍을 찾아보니 “소풍(逍風/消風):「1」휴식을 취하기 위해서 야외에 나갔다 오는 일. ≒원족01「1」.「2」『교육』학교에서, 자연 관찰이나 역사 유적 따위의 견학을 겸하여 야외로 갔다 오는 일.‘로 되어 있다. 지
영화, 엽기적인 그녀 러시아 여대생이 친구들과 함께 유기견을 해부하는 과정을 사진으로 찍어 자신의 홈페이지에 공개한 엽기적인 행각을 보인 여성은 현재 18세로 우크라이나 한 대학의 동물용 의약품 관련 학부에 재학 중인 학생 사진들은 실습 과제를 위해 유기견을 구해 해부한 과정들을 찍은 것인데 홈페이지에 공개된 유기견 사진들은 해부모습이 너무 노골적으로 나타나 차마 눈뜨고 보기 힘들 정도라고 합니다. 더욱 경악할만한 것은 이런 엽기적인 사진 속에 나타난 그녀의 모습인데 그녀는 마치 절친한 친구와 즐거운 한 때를 남기는 듯한 해맑은 미소를 지으며 해부된 유기견 옆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고 해요. -파란- 과연 엽기적인 행각같다. 해부를 해 놓고 해맑은 미소를 짓는 사진 모습이 공개돼 누리꾼 사이에서 논란이 뜨거운 것 같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엽기적(獵奇的): 비정상적이고 괴이한 일이나 사물에 흥미를 느끼는. 또는 그런 것. ‘괴기적’으로 순화.’하라고 되어있다. 일본어대사전 大辞泉)에서는 ‘りょうき‐てき【猟奇的】:[形動]奇怪・異常なものを捜し求めるさま。また、そういう気持ちを満足
기름진 ‘옥토’는 일본말이다? 경기 서북부 지역은 한강과 임진강이 만나면서 기름진 옥토를 형성함으로써 아주 오랜 옛날부터 농경문화가 발달한 곳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벼농사를 지었던 지역이 김포시 통진읍 가현리로 이 일대에 전해 내려오던 두레놀이를 통진 두레놀이라 하는데 두레는 농촌에서 농번기에 마을에서 집단적으로 공동작업을 벌이는 것을 말하며 혼자서 하기 힘든 일을 마을사람들이 모여 같이 함으로써 일의 능률을 높이던 방법으로 조선 후기 이앙법(모내기법)이 보급된 후에 보편적인 농민생활로 정착되었는데 대개 모심기, 김매기, 나락 베기 그리고 보[洑] 막이 등의 일이 두레 감이었다. - 김포 통진 두레 놀이- 김포평야는 예부터 기름진 옥토로 알려져 있다. 흔히 쓰는 ‘옥토’란 말은 무슨 까닭인지 거의 ‘기름진’이란 말을 달고 다닌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보면 ‘옥토(沃土) : 농작물이 잘 자랄 수 있는 영양분이 풍부한 좋은 땅. ‘기름진 땅’으로 순화.’ 하라고 되어있다. 국어사전말대로라면 기름진 옥토는 ‘기름진, 기름진 땅’이란 뜻이다. 일본국어대사전 大辞泉에 보면,‘よく‐ど【沃土】: 地味の肥えた土壌・土地。沃地。’로
양해바란다/ 그리아시길바란다 미분양으로 임대되었던 세대의 조기 할인분양으로 인하여 저희 실분양세대 모두는 너무 황당하여 울분하고 있습니다. 한 푼 한 푼 모은 돈에 대출받아 장만한 내 집이 이번 할인분양으로 수천만 원부터 수억에 이르는 재산의 가치가 날아가게 된 현실입니다. 우리 실분양세대는 할인분양을 절대 반대하며 할인분양을 하려거든 우리 기존 분양받은 세대에도 할인 폭만큼 돌려받아야 합니다. 이번 사태로 일정기간 단지가 소란스럽고 순간순간 불편을 끼칠 수도 있습니다. 입주민 여러분의 협조와 양해를 바랍니다. -다음- 최근 아파트 미분양이 속출하자 사업 주최 쪽에서는 할인이라도 해서 처분하려고 당초 분양가보다 싸게 물건을 내놓고 있는 단지가 많다. 그러다보니 제값 다주고 입주한 주민들이 속상 할 수밖에 없다. “주민 여러분의 협조와 양해를 바랍니다.” 라고 쓴 것은 입주자 쪽의 글 내용이다. 여기서 양해(諒解)는 일본말 료카이(諒解)이다. 국립국어원 순화어에는 ‘양해바랍니다’를 ‘그리아시기 바랍니다’로 고치라고 한다. ‘양해’라는 일본말이 걸리기 때문에 토박이말로 고치라고 한 것까지는 좋은데좀친절히 ‘ 료카이(諒解,양해)는 일본말’이라는 정보를 주었으면 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