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인간이 세상을 살아감에 있어 나라에 충성하고 항상 올바른 마음을 굳게 지녀야 한다.” 이는 임진왜란 의병장 고경명 선생의 좌우명 ‘세독충정(世篤忠貞)’의 글귀다. 임진왜란 때 금산전투에 뛰어들어 장렬히 순국한 고경명(1533∼1592) 의병장의 비각은 충남 금산군 금성면 양전리에 야산에 있다. 초겨울 날씨지만 이른 아침에 찾은 비각으로 오르는 산기슭은 떨어진 낙엽이 수북이 쌓여있었고 아침 이슬까지 머금어 촉촉이 젖어 있었다. 비각을 세운 이 일대가 고경명 의병장이 왜군과 장렬히 싸우다 전사한 곳이라니 땅을 밟는 것조차 숙연해진다. 현재의 비각은 효종 7년(1656) 고경명 의병장이 순국한 뒤 이곳에 세웠는데 일제침략기인 1940년, 일본 경찰의 만행으로 파괴된 것을 후손들이 조각난 비각 파편을 모아두었다가 1962년에 지금의 석조비각(石造碑閣)을 건립한 것이다. 금산군의 일제강점기 때 비각 만행 장소는 또 다른 곳에도 있다. 고경명 선생 비각에서 차로 20여 분 거리에 있는 천년 고찰 보석사(寶石寺)가 그곳이다. 만행의 흔적이 남아있는 곳은 보석사 입구에 서있는 의병승장 영규대사의 비석이다. 의병승장비는 1592년(선조25) 8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역사문제연구소(이사장 서중석, 소장 이용기)는 11월 20일(토) 낮 1시부터 저녁 5시 30분까지 2021년 역사문제연구소 정기심포지엄 <'새로운 민중사' 제안으로부터 10년 : 민중사로 다시 쓰는 전환기의 한국근현대사>를 연다. 장소는 역사문제연구소 강당 관지헌(서울시 동대문구 왕산로19라길 13)에서 진행하되, 온라인 화상회의 플랫폼인 줌(Zoom)으로 일반 청중들과 함께 할 예정이다. 줌(Zoom) 참여 링크는 아래와 같다. https://us02web.zoom.us/j/86029163358 회의 ID : 860 2916 3358 Password : 211120 역사문제연구소 민중사반은 ‘민중사’의 인식과 범위를 확장ㆍ심화시키며 한국 근현대사 연구에서 새로운 문제 제기를 이끌어왔다. 그 결과 민중사반에서 제기한 ‘새로운 민중사’는 근대비판, 포스트 모더니즘을 수용하며, 민중의 일상성ㆍ다양성ㆍ자율성을 제시했고 그로부터 10년이 흘렀다. 이번 역사문제연구소 정기 심포지엄에서는 민중사반이 지난 10년 동안 시도한 학술연구와 변화된 현실의 과제를 직시하면서 축적해 온 전환기의 민중사 연구를 점검하고, 나아갈 방향을 찾아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깊어 가는 가을, 역사가 살아있는 평화와 통일의 항구도시 인천 서구에서 지난 10월 26일 ~ 28일까지 뜻 깊은 추모 전시회가 있었다. “한라에서 백두까지 그리고 그 너머”가 그것으로 이번 전시회는 순국선열추모 문화전 28번째 행사로 순국선열추모 글로벌네트워크 주최, 인천 서구사회적경제공동체마을지원센타 주관 아래 '마을지원센타 특별전시실'에서 열렸다. 코로나19 방역에 만전을 기하여 개막식 행사 없이 추모전이 진행되었다. 이번 추모전은 서구 구민과 함께하는 <2021 소소한 문화가 있는 날> 행사의 특별전시로 추진되었다. 추모전은 들꽃과 문학, 인연의 힘으로 순국선열의 희생이 남긴 고귀한 뜻을 돌이켜 보기 위한 시간과 애국ㆍ사랑ㆍ평화와 치유 그리고 화해를 위한 대장정으로 이어지는 추모전이었다. 이번 추모전에 출품한 작품은 중국, 일본 등 여러나라에서 동참하였으며 특히 고인이 된 홍순태, 김낙봉, 송기엽 작가의 작품이 전시되어 의미가 깊었다. 또한 글로벌 네트워크 작가들의 '한라에서 백두까지 그리고 그 너머의 풍경'과 한백시인 시 작품인 연길가는 기차안에서, 두만강 연가, 려순감옥, 봉오동 전적지의 시화작품도 전시되어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칠백의총관리소(소장 류시영)는 2021년 3월 새롭게 개관한 칠백의총기념관의 주요 전시유물을 소개하는 《상설전시도록》을 제429회 순의제향을 맞이하여 펴냈다. 이번에 발간하는 도록에는 보물로 지정된 ‘조헌 관련 유품’을 비롯해 칠백의총 기념관이 전시·소장중인 주요 유물 30여점의 사진과 설명이 실렸다. 유물에 대한 설명에 그치지 않고 보물 ‘조헌 관련 유품’을 포함한 고문서 유물에 대해서는 국역까지 되어 있어 전문연구자는 물론이고 일반인도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임진왜란 당시 금산전투의 전체 상황을 소개한 전남대학교 역사교육과 김경태 교수의 논고와 조선 시대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칠백의총 연혁을 살펴본 공주대학교 사학과 박범 교수의 논고도 수록하였다. 이밖에도 이번 도록에는 타 기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칠백의총 관련 유물도 수록되었다.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칠백의총 경내에 있는 ‘조참판일군순의비’의 탁본첩이다. 금산전투의 경위와 조헌을 비롯한 순절한 인물들에 대한 추모 헌사를 적어 1603년 세워진 ‘조참판일군순의비(趙參判一軍殉義碑)’는 1940년대 일제에 의해 폭파되었다가 2009년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칠백의총관리소(소장 류시영)와 만인의총관리소(소장 이병노)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당시 왜적에 맞서 싸우다 순절한 호국선열의 애국정신을 기리는 순의제향(殉義祭享) 행사를 오는 23일 낮 3시 충남 금산군에 있는 칠백의총과 오는 26일 낮 3시 전북 남원시에 있는 만인의총에서 각각 거행한다. 먼저, 올해로 제429주년을 맞는 23일 칠백의총 순의제향 행사에는 문화재청장을 비롯하여 칠백의사 후손 등 30여 명이 참석한다. 행사는 ▲ 초헌관(칠백의총관리소장)의 분향(焚香, 향을 피움), ▲ 초헌관이 헌작(獻爵, 술잔을 올림)하는 초헌례(初獻禮), ▲ 축관(祝官)의 축문 낭독, ▲ 아헌관이 헌작하는 아헌례(亞獻禮), ▲ 종헌관이 헌작하는 종헌례(終獻禮), ▲ 대통령 헌화(獻花, 문화재청장 대행)와 분향 등의 순으로 진행된다. 제향행제(祭享行祭) 후에는 의총 참배가 이어진다. 올해는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하여 참석인원을 최소화하고, 기존에 있던 별도의 다과나 공연, 합창 등 각종 문화행사는 하지 않는다. 정부혁신의 하나로 민간단체인 칠백회와 협업하여 행사를 진행하며,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관람객은 입장이 제한된다. 칠백의총은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만인의사에 추가 배향되는 3인의 위패를 오는 26일 낮 3시에 열리는 제424주년 만인의총 순의제향에서 봉안하는 식을 거행한다. 2016년 만인의총관리소가 국가관리 전환 이후 처음으로 거행되는 이번 위패 봉안식에는 전남 영광군 출신의 김억명(金億命), 김억룡(金億龍), 김억호(金億虎) 3형제가 추가 배향된다. 이로써 만인의총은 1612년(광해4년) 7충신을 시작으로 올해 3명의 의사를 추가 배향하여 모두 56인의 만인의사를 만인의총 충렬사 내 위패로 모시게 되었다. 김억명, 김억룡, 김억호의 업적은 《호남절의록》뿐만 아니라, 《여지도서》 등의 자료에 조금씩 다르게 내용이 서술되어 있으나, 1597년 정유재란 당시 남원성 전투에서의 활약상은 동일하게 기록되어 있다. 김억명은 효성과 우애가 깊고 지극하며, 충절이 강개하였다. 임진년에 그의 아버지 모재 김사모(미상~1592년)가 부산 동래성전투에서 순절하자 일본의 침략에 따른 수치심에 비분강개하고 아버지의 원수를 갚고자 하는 마음이 간절하였다.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두 아우인 김억룡, 김억호와 의병을 일으켜 군사와 양식을 모아 함께 남원성으로 들어가, 이복남 장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그날은 조선이 광복을 맞이한 뒤였다. 때마침 방학 중이었는데 학교로부터 교직원들을 긴급 소집한다는 연락을 받았다. 학교로 달려가니 운동장 한편에 큰 구덩이가 파여 있었다. 학교측에서는 나를 포함한 교사들에게 수업용으로 쓰던 각종 교재와 서적류, 공문서 등을 닥치는 대로 가지고 나와서 구덩이에 던져 넣으라고 했다. 경황없이 주섬주섬 가져가 구덩이에 넣자 이내 불을 붙였다. 종이 서류들이 파지직 소리를 내며 타기 시작했다. 구덩이에 던져진 물건 중에는 나무로 만든 가미다나(神棚: 일본의 가정이나 관공서, 상점 등에 꾸며 놓고 날마다 참배하는 작은 제단)도 있었다.” - 스기야마 도미 씨의 《식민지 조선에 살면서(植民地朝鮮に生きて)》 가운데서- 조선에서 태어나 19살부터 대구달성공립국민학교 교사로 5년을 근무한 일본인 스기야마 도미(杉山とみ, 100살) 선생은 1945년 8월 15일, 한국인이 맞이한 광복의 기쁨과는 정반대의 상황과 맞닥트렸다. 승승장구할 것 같은 조국, 일본의 패전을 조선땅에서 맞은 것이다. 스기야마 도미 선생의 아버지는 일찌감치 조선에 건너와 처음에는 전라도 영광에서 넓은 땅을 소유하고 과수원을 경영했으며 어느 정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미주한인사회의 큰 어른’이었던 홍명기 이사장이 18일(이하 현지시각) 87살로 세상을 떴다는 소식을 듣고 잠시 묵념으로 홍명기 이사장의 타계를 애도했다. 기자가 홍명기 이사장을 직접 뵌 것은 3년 전(2018)으로 그날은 LA 가든스윗호텔에서 ‘제73주년 광복절 기념식’이 있던 날이다. 광복절 기념식이라고는 했으나 참석해보니 단순한 기념식이 아니라 동포들의 잔칫날과 다름없었다. 그날 정식 행사이름은 ‘제73주년 광복절 및 도산 기념동상제막 17주년 합동 기념식 –파이오니어 소사이티 연례 오찬회-’ 였다. 1부 기념식에 이어 2부에서는 점심모임(오찬회)답게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서 동포들은 잡채, 부침개, 삼겹살, 호박죽 등 한국 음식들로 가득한 뷔페식을 먹으며 정담을 나누는 모습이 잔칫집 분위기였던 기억이다. 이십 여 년째 ‘광복절 잔치’를 마련한 사람이 바로 홍명기 이사장이다. 고 홍명기 이사장은 특수페인트로 미국 시장을 석권한 듀라코트사를 세웠다. 홍 이사장은 1954년 유학으로 미국에 건너가 캘리포니아대 로스앤젤레스(UCLA) 화학과를 졸업하고 26년 동안 화학회사에서 직장 생활을 하다가 51살의 나이로 창업을 했다. 그때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수원시가 외국인 주민과 함께하는 지역사회 활동 ‘수원(One)데이’ 세 번째 시간으로 역사골든벨을 열어 외국인 주민들에게 광복절의 역사와 의미를 알렸다. 수원시 국제교류센터는 14일 낮 2시부터 4시 30분까지 외국인 주민 30명과 수원시 대학생으로 구성된 공공외교단이 참여하는 ‘역사 골든벨: 한국 역사를 알아가는 첫걸음’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온라인 플랫폼 줌(ZOOM)을 활용해 비대면으로 진행된 이날 프로그램은 외국인 주민들에게 광복절 관련 영상을 보여주고, 우리나라와 수원의 역사를 알려주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어 참가자들이 각자 모국의 역사를 소개하며 공유하는 시간을 갖고, 역사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 뒤 수원시 공공외교단이 내는 문제를 골든벨 형식으로 풀어가며 역사를 알아갈 수 있도록 했다. 수원시 국제교류센터는 이날 프로그램에 앞서 우리나라의 중요한 역사적 사실을 영어로 소개하는 소책자를 제공했다. 특히 유관순, 안중근 등 대표적인 독립운동가에 대해 알아보는 자료도 함께 보내 우리나라 독립운동에 대해 알리는 계기로 삼았다. 수원시 국제교류센터 관계자는 “광복절 연휴를 맞아 외국인 주민들이 집에서도 안전하게 즐길 수 있는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지난 11일 저녁 4시에 유튜브 ‘안민석TV’로 “애국가 작사자 규명 – 정부의 공식 재조사가 필요하다”란 제목의 공청회가 안민석 국회의원 주최, 애국가바로잡기국민운동 주관으로 열렸다. 이날 공청회는 코로나19 방역으로 온라인으로만 진행되었다. 공청회에 앞서서 안민석 국회의원은 인사말씀을 통해 “애국가는 3.1운동 당시에도 전국에서 불리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노래가 되었고, 지난 도쿄올림픽 경기장에도 울려 퍼지며 코로나19로 지친 국민들의 마음을 위로하고 감동을 주었습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애국가의 작사자가 누구인지 정작 알지도 못한 채 불러왔다는 것은 슬픈 사실입니다. 이제는 정부가 애국가 작사가 규명을 위한 재조사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합니다. 왜곡된 역사를 바로잡는 애국가 작사자 규명은 다음 세대를 위한 우리 사회의 사명이자 책무입니다.”라고 말했다. 이어서 먼저 애국가바로잡기국민운동 임진택 상임대표가 “애국가 작사자 논쟁의 기록과 진실 - 애국가 작사자는 도산 안창호”란 제목의 발제를 시작했다. 그는 발제에서 “윤치호는 애국가 작사자가 아니다”라면서 “윤치호 작사설을 주장하는 이들이 결정적인 증거라며 내세우고 있는 물증 가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