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경제=진용옥 교수] 이종무의 생애 ▲ 이종무 장군 이종무(李從茂, 1360 ~ 1425) 장군은 고려 공민왕 9년(1360)에 장천 부원군 이을진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말타기와 활쏘기에 능하였다. 1381년 고려 우왕 때 강원도에 침입한 왜구를 격파하고, 1397년 조선 태조 6년 왜구가 침입하자 끝까지 싸워 이를 격퇴하였다. 정용호군(精勇護軍)이 되었다. 조선이 건국되었고, 만호(萬戶)의 벼슬에 있을 때 왜군이 다시 쳐들어와 성을 포위하자, 이에 끝까지 싸워 적을 물리친 공으로 절제사(僉節制使)가 되었다 왕자의 란 때에는 이방원의 편에 가담하여 이방간(李芳幹)의 군사를 괴멸시켰고, 이 덕분에 익대 좌명공신의 호를 받고 통원군에 책봉되었으며(장천군으로 개봉), 의주 등지의 병마절제사로 승진되었다. 1419년 세종 때 대마도를 정벌하는 공을 세운다. 1423년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로 출발하여, 이듬해 1424년 2월 25일 부사 이종선과 함께 돌아왔다. 그 뒤 안주도병마사(安州都兵馬使), 안주절제사(安州節制使)를 거쳐 (左參贊) 등을 역임한다. 숭록대부(崇祿大夫)에 올랐다가 다시 보국숭록대부로 승진, 찬성사(贊成事)에 이르렀다. 14
[그린경제 = 이윤옥 기자] 鴨川 十里ㅅ벌에 해는 저물어...저물어... 날이 날마다 님 보내기 목이 자졌다...여울 물소리.... 찬 모래알 쥐여 짜는 찬 사람의 마음 쥐여 짜라. 바시여라. 시원치도 않어라. 역구풀 우거진 보금자리 뜸북이 홀어멈 울음 울고 제비 한 쌍 떠ㅅ다 비맞이 춤을 추어 수박 냄새 품어오는 저녁 물바람 오랑쥬 껍질 씹는 젊은 나그네의 시름 鴨川 十里ㅅ벌에 해가 저물어...저물어... ▲ 정지용 시인 정지용도 그날 우리가 걸었던 가모가와(鴨川) 강변에 있었을까? 그곳에서 쓰라린 조국을 보았고 그리운 고국의 보금자리를 그리워했을까? 어쩜 고향집 처마 밑 제비조차도 그리워했을 시인이다. 가모가와 십리 벌에 긴 해가 드리울 무렵 남의 나라 그것도 고국을 강탈한 일본 땅에 홀로 남은 조선 청년은 얼마나 서러웠을까? 오죽하면 오렌지 껍질 씹는 나그네의 시름일까? 동지사(同志社, 도시샤)대학 이마데가와 교정 윤동주 시비 옆에는 향수라는 시로 우리에게 친근한 시인 정지용의 시비도 있다. 정지용 시비는 윤동주보다 10년 늦은 2005년 12월 18일에 세워졌다. 월북작가라 해서 한동안 우리의 시야에서 사라졌던 정지용은 그의 시 향수를 노래한
[그린경제 = 이한꽃 기자] 한산섬 달 밝은 밤에 수루에 혼자 앉아 큰 칼 옆에 차고 깊은 시름 하는 차에 어디서 일성 호가는 남의 애를 끊나니 이순신 장군의 한산대첩이 있던 곳,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두억리 한산도에 있는 제승당(制勝堂)에 가면 더욱더 충무공의 그때 그 심정이 간절하게 느껴진다. 1593년 8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삼도수군통제사를 제수 받아 한산도에 통제영 본영을 설치했을 때 지금의 제승당 자리에 막료 장수들과 작전 회의를 하는 운주당(運籌堂)을 세웠다. 정유재란 때 폐허가 된 이곳에 제 107대 통제사 조경(趙儆)이 1740년 유허비(遺墟碑)를 세우면서 운주당 옛터에 다시 집을 짓고 제승당이라 이름했는데, 지금 걸려 있는 제승당(制勝堂) 현판은 제 107대 통제사 조경이 쓴 글씨이다. 충무공은 이곳을 조선수군의 본거지로 삼아 당포승첩(唐浦勝捷)후 왜적과 세 번째로 접전하여 적군을 섬멸시키고 해상권을 장악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곳은 적의 해상 보급로를 차단하여 적의 사기와 전의(戰意)에 큰 타격을 준 곳이다. 그래서일까? 이곳에는 당시의 상황을 연상케 하는 땅이름이 여러 개 전해지고 있다. ▲ 굽이길을 걸어 제승당으로 가는 길
[그린경제 =정석현 기자] 안동독립운동기념관에서는 오는 2014년 2월 28일까지 안동독립운동가 어록전이 열린다 일제강점기 치열하게 펼쳤던 안동독립운동가들은 과연 어떤 말들을 남겼을까? 이제라도 안동독립운동가들의 가슴 절절한 외침을 들어보자. 아! 이 몸이 한번 죽으면 오히려 외로운 귀신이 될 것이나 이 머리는 한번 깎이면 영원토록 오랑캐가 되는 것이니 각자 마음에 맹세하여 대의를 붙잡기 바랍니다 -삼계통문 김흥락, 김도화 외 3인 가운데서- *김흥락(1827-1899) 선생은 누구인가?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계맹(繼孟), 호는 서산(西山). 안동 출신. 김성일(金誠一)의 주손(胄孫). 아버지는 능주목사(綾州牧使) 진화(鎭華)이며, 어머니는 이원상(李元祥)의 딸이다. 유치명(柳致明)의 문인이다. 1841년(헌종 7) 성현의 격언을 가려뽑아 ≪제훈집설요람 諸訓集說要覽≫을 지었다.1845년 4월 유치명의 제자가 되면서 이황(李滉)이상정(李象靖)유치명으로 이어지는 영남학파의 주요한 학통을 계승하게 되었다. 이 해 겨울 가정과 사우로부터 보고 들은 바를 모아 ≪곤학록 困學錄≫을 편성하고, <초학잠 初學箴><외천설 畏天說>을 지었다.1850년(철
[그린경제=김영조 기자] 일제강점기 조선의 독립운동가들은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중심으로 일제에 가열차게 싸웠다. 하지만 1932년 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재정적 어려움을 겪으면서 애국지사들도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더구나 독자적인 힘만으로는 일제를 상대하기에 벅찼기에 중국의 도움이 절실하던 때였다. ▲ 중국 장개석 총통이 대한민국임시정부와 광복군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한 계기를 만든 윤봉길 의사 이때 혜성같이 나타난 윤봉길 의사는 1932년 4월 29일, 상해 홍구공원(지금은 노신공원)에서 일제의 조선침략을 만천하에 응징했다. 윤봉길 의거로 일제 시라카와 대장과 카와바다 거류민단장은 사망하고 노무라 중장은 실명, 우에다 중장은 다리가 부러졌으며, 시게미츠 공사는 절름발이가 되고 무라이 총영사와 토모노(友野) 거류민단 서기장도 중상을 입을 정도였다. 이후 중국 장개석 총통이 중국의 100만 대군도 하지 못한 일을 조선의 한 청년이 했다.고 높이 평가했고 이를 계기로 장개석의 국민당 정부가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전폭적으로 지원해주기 시작했다. 특히 당시 우리나라는 독자적인 힘으로 일제를 상대할 수 없었지만 그래도 중국‧소련‧미국이 일본과 싸울 때
[그린경제 = 정석현 기자] 안동독립운동기념관에서는 오는 2014년 2월 28일까지 안동독립운동가 어록전이 열린다 일제강점기 치열하게 펼쳤던 안동독립운동가들은 과연 어떤 말들을 남겼을까? 이제라도 안동독립운동가들의 가슴 절절한 외침을 들어보자. *이상룡(1858-1932) 선생은누구인가? 본관은 고성(固城). 초명은 상희(象羲). 자는 만초(萬初), 호는 석주(石洲). 경상북도 안동 출신이다.1911년 서간도(西間島)로 망명 후 계원(啓元)으로, 이어서 상룡(相龍)으로 개명하였다. 아버지는 승목(承穆)이며, 김흥락(金興洛)의 문인이다. 정치제도와 실용지학(實用之學)을 탐구했으며, 천문지리수학 등에 관심이 있었다. 1894년 청일전쟁으로 도곡선재(陶谷先齋)에 은신하면서 병학(兵學)에 몰두하였다. 1896년 박경종(朴慶鍾)과 함께 가야산에 군사 진지를 구축하고 의병 항전을 시도하였다. 안동의 의병장 권세연(權世淵)을 지원하기도 했으나,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제의 근대적 군사력에 대항하는 국내에서의 의병 항쟁은 어렵다고 판단하였다. 그래서 그 뒤 유인식(柳寅植)김동삼(金東三) 등과 애국계몽운동을 전개, 1907년 협동학교(協東學校)를 설립하였
[그린경제=윤지영 기자] 문화재청(청장 변영섭)은 임진왜란 시 순국한 칠백의사의 호국정신을 기리는 칠백의사 순의제향(七百義士 殉義祭享) 행사를 오는 23일 오후 3시 충청남도 금산군에 있는 칠백의총에서 거행한다. 올해로 421주기를 맞는 이번 행사는 초헌관(칠백의총관리소장)의 분향과 초헌례(初獻禮), 축관(祝官)의 축문 낭독, 아헌관 헌작의 아헌례(亞獻禮), 종헌관 헌작의 종헌례(終獻禮)와 헌관 재배, 문화재청장의 헌화(獻花, 대통령 명의)와 분향(焚香) 순으로 진행된다. 제향행제(祭享行祭) 후 의총참배, 음복다과회가 이어지며, 행사를 통해 칠백의사의 숭고한 호국정신을 기리고 넋을 추모하게 된다. ▲ 지난해 칠백의총 제향행사 모습 1 이번 행사에는 문화재청장을 비롯하여 지역 국회의원, 충남도지사, 금산군수와 칠백의사 후손 등 1,000여 명이 참석한다. 딸림행사로 화랑도 무도시범단(중부대학교)의 무도시범과 경내 활터에서 활쏘기 체험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또 지난 6월 금산지역 초․중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최한 제14회 칠백의사 추모 예능대회 입상작품도 전시한다. 칠백의총은 임진왜란 당시 중봉 조헌(重峯 趙憲) 선생과 승장 영규(靈圭) 대사가 이끄는
▲ 대한제국시절 궁궐로 활용한 덕수궁 중화전 ▲ 황제가 타고 가는 가마 ▲황제가 탄 어가 ▲ 사직단으로 행하는 어가행렬 ▲ 경호부대의 행렬 ▲ 대취타대의 행렬 ▲ 북을 울리면서 ▲ 광화문을 돌아서 ▲ 황태자의 가마 ▲ 사직단에 도착한 황제 ▲ 신위를 모시고 사직단으로 ▲ 신위를 뒤따르는 제관행렬 ▲ 사직단 위로 오르는 모습 ▲ 제단 위로 ▲ 신위를 제단에 안치 ▲ 헌관들의 도열 ▲ 헌관들의 인사 ▲ 제례에 참여한 무용수들 ▲ 제례악을 연주하는 악사들 ▲ 제례의식 거행 ▲황제의 입장 ▲ 황제의 제례의식 ▲ 황제의 깃발 [그린경제=최우성 기자]사람이 다스리는 세상에서 가장 높은 사람을 황제라 부르지만 아무리 황제라할지라도 그가 인간인 이상 황제도하늘에 미치지 못하는 존재이며, 그 또한 땅의 자손일 수밖에 없다는 철학이우리에게는고래로부터 있어왔다. 그리하여 하늘에도 제사를 지내고 땅에도 제사를 지냈다. 그런 의미에서 무형의 존재인 하늘에 제사지내는 것은 별도로 하고 사직대제는 유형의 존재인 땅과 그 땅에서 거두어 인간을 살수 있게 하는 곡식을 주관하는 신을
[그린경제 = 정석현기자] 안동독립운동기념관에서는 오는 2014년 2월 28일까지 안동독립운동가 어록전이 열린다 일제강점기 치열하게 펼쳤던 안동독립운동가들은 과연 어떤 말들을 남겼을까? 이제라도 안동독립운동가들의 가슴 절절한 외침을 들어보자. 오늘 몸 숨기고 바다 건너는 사람 지난 몇 해를 와신상담한 사람인가 이미 정한 이 걸음 평생의 뜻이기에 다시 고향 돌아갈 길 묻지 않으리 -상해에서 동경으로 가는 배안에서 읊은 시 가운데서- **김지섭(1885-1928) 독립투사는 누구인가? 본관은풍산(豊山). 호는 추강(秋岡).경상북도 안동 출신. 사서삼경에 능통하였고, 일어를 자습해 21세 때에 상주보통학교 교원과 금산지방법원 서기 겸 통역으로 재직하였다. 1910년 일본이 한국을 강점하자 사직하고 고향으로 돌아와서, 김원봉(金元鳳)곽재기(郭在驥)김시현(金始顯) 등과 조국의 독립을 기도하였다. 독립투쟁을 목적으로 국경을 넘어 만주상해시베리아 등 각지를 돌아다니다가, 1922년 상해에서 의열단에 입단하였다. 러시아로부터 독립운동 자금을 충당하고자 1922년 11월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극동민족대회에 참가하였다. 그 뒤 국민대표대회에도 참석하였다. 국내에서
[그린경제 = 이한꽃 기자] 신사숭경(神社崇敬)은 실로 일본의 국체관념(國體觀念)의 반영이다. 신사에서 봉납되는 제사는 황국국체(皇國國體)로 이는 세계에서 유례가 없는 특이한 일이다. 일본민족은 개국 이래 신사를 중심으로 성장하여 왔다. 신사는 일본민족의 향토생활의 중심인 것이다. 이러한 신사는 본토를 떠나 멀리 해외에 거주하는 동포들의 정신생활의 중심이다. (중략) 올해로 성전(聖戰) 5년에 접어들어 지금 일본민족이 전면적으로 대륙으로 진출하여 팔굉일우(八紘一宇)의 대목표 아래 흥아(興亞)의 대업완성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때이며 신사는 일본의 대륙진출의 중심지이다. 위는 일제강점기 총독부가 만든《대륙신사대관, 1941》머리말에 나오는 말로 조선 내에 신사를 만든 이유를 극명하게 설명하고 있다. 무슨 까닭인지 1940년(소화 15) 11월 현재 전국 13도 가운데 유독 전라남도에만 신사를 많이 세웠다. 전국의 신사 신사(神社) 신사(神祠) 경기도 5 67 충청북도 2 16 충청남도 7 30 전라북도 10 20 전라남도 8 226 경상북도 5 47 경상남도 7 37 황해도 2 27 평안남도 2 21 평안북도 4 37 강원도 2 35 함경남도 2 20 함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