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경제 = 윤지영 기자] *가지찜 요리 원문 현대어역 가지를 꼭지 쪽은 깎지 말고 네쪽으로 따서 물에 담가 진한 물이 우러나면 아주 단 건장을 걸러 기름, 밀가루, 파 썰어 후추, 천초 양념하여 사발에 담아 솥에 중탕하여 흐물흐물하게 쪄서 쓰라. 오이도 이렇게 쪄서 쓰느니라 **장계향 선생은 누구인가 ? 조선시대 여성 가운데 유일하게 군자로 추앙받는 인물이다. 선생은 1598년 경상도 안동부에서 퇴계학통을 이어받은 성리학자 장흥효의 딸로 태어났다. 흔히 정부인 인동 장씨로 알려졌는데 아들 이현일이 정2품에 오르면서 정부인에 추증되었기 때문이다. 1616년 서계 이시명과 혼인하여 슬하에 6남 2녀를 두었다. 퇴계학통을 계승한 학자 이휘일과, 숙종 때의 남인의 이론가의 한사람인 갈암 이현일(李玄逸)이 그의 아들들이다. 특히 장계향 선생은 동아시아 최초이며, 맨 처음 순한글로 쓴 조리서 《음식디미방》의 지은이이다. 《음식디미방》은 예부터 전해오거나 선생이 스스로 개발한 음식 등 양반가에서 먹는 각종 특별한 음식들의 조리법을 자세하게 소개했다. 가루음식 조리법과 떡 빚기 그리고 어육류, 각종 술 담그기도 자세히 기록해두었는데 특히 146가지 음식
[그린경제 = 전수희 기자] 현대어역 좋은 밋다니쌀이나 올벼쌀이나 낭경자쌀이나 축축한 쌀로 가루를 보드랍게 체로 처 다시 체로 쳐서 하라. (증편긔쥬)는 증편 한 말에 좋은 쌀 한 되 많이 씻어 밥을 무르게 지어 식거든 , 좋은 누룩 깎아 담갔다가 붇거든 그 물은 밭아 버리고, 주물러 거르면 흰물이 한 사발쯤 나오거든, 그 밥에 섞어 좋은 술 한 숟가락만 함께 넣어 괴거든 쌀 서 홉만 밥 무르게 지어 식거든 그 술에 섞어 괴면 다음날 거품 일면 명주자루에 물 늣게 밭아 그 가루를 퍼되. 아주 건콩죽 같이 풀어 반 동이 하도록 두었다가 칠 홉쯤 되거든 앉혀 상화 찌는 것처럼 하라. **장계향 선생은 누구인가 ? ▲ 장계향 선생 영정, 《음식디미방》표지, 남편 이시명 선생이 격을 높이기 위해 규곤시의방이라고 붙여줬다. 조선시대 여성 가운데 유일하게 군자로 추앙받는 인물이다. 선생은 1598년 경상도 안동부에서 퇴계학통을 이어받은 성리학자 장흥효의 딸로 태어났다. 흔히 정부인 인동 장씨로 알려졌는데 아들 이현일이 정2품에 오르면서 정부인에 추증되었기 때문이다. 1616년 서계 이시명과 혼인하여 슬하에 6남 2녀를 두었다. 퇴계학통을 계
[그린경제 = 전수희 기자] ▲ 음식디미방에 나오는 만두법을 읽다보면 장씨부인의 따스한 온기가 느껴진다( 장계향 음식디미방 영인본) 만두법 모밀쟝만기마치 조면치모시예나 깁의 뇌여 그더러 플의이 쥭치어 그 푸릐 눅게 라 개곰낫마곰 예비라 만도쏘 쟝만키 무을 장 무마낫업시 사치무 즈쳐 지령기의 봇가 와 호쵸 쳔쵸 약념야 녀허 비저 몰 제 새용의 쟉쟉 녀허분게 잡오되식 마초지령의 강즙야 잡 오라 치 업거든 황육을 힘줄 업을 지령기의 니겨 아 녀허도 죠니라. 황육을 아니 니겨 으면 한엉긔여 못라 만도의 녹도 너흐면 죠치 아니니라. 소만도무을 그리 마 표고 숑이 셩이 버게 아기을 두은이 녀허두려 지령의 봇가 녀허도 죠니라. 밀로도정히 상화 상화치 지허 모밀 만도소 치 쟝만하야 초지령 각즙면죠니라. 강이 업면 마도죠만은 내 나모 강만 못다니라. 현대어역 메밀가루 장만하기를 마치 깨끗한 면가루 같이 가는 모시나 비단(
[그린경제 =이나미 기자]고양시(시장 최성)는 오는 10월 3일부터 6일까지 호수공원 고양꽃전시관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제품의 판로개척을 위한 2013 고양시 100대 글로벌 상품대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고양시와 농협고양유통센터가 공동으로 개최한다. 고양시 친환경농산물 단체와 중소기업, 사회적 기업 등 총 150여 개 업체가 참여해 다양한 신제품을 비롯해 우수 생산품을 소비자들에게 선보일 것이다. 전시장은 고양시 브랜드상품관, 로컬푸드 상품관, 중소기업 상품권, 체험관의 4개관으로 구성된다. 브랜드상품관에서는 생활용품과 선물용품 등 참신한 디자인의 제품이 선보이며, 로컬푸드관에서는 행주치마 농산물과 행주한우, 전통장류 등 가공품을 전시하고, 기업상품관은 다양한 가공제품과 공산품을, 체험관에서는 압화공예와 칠보공예 체험뿐만 아니라 염색, 공작, 곤충체험도 할 수 있다. 특히 이번 행사는 10월 문화행사와 연계해 전시장 밖에서는 가을꽃축제, 대한민국 막걸리축제, 고양호수축제 공연이 열리고 전시장 안에서는 농식품류, 공산품 할인행사와 과학로봇, 공예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성해 방문객들로 하여금 보는 재미와 체험의 즐거움을 만끽하도록 돕
[그린경제 =전수희 기자] ▲ 장계향의 음식디미방 면병뉴 육필원고 * 면병뉴 면* 원본 것모밀 씨어 하 이 뇌디 말고 알마초 뢰여 을 조히 아아 디 제 미리 물 품겨 축축이 야 둣다가 디 제 녹도 거피 조히 시어 건져 믈 거든 모밀 닷되예 물 부 녹두 복식 섯거 지 방하 만만 지허 것 처 리고 키로 퍼 리고 키 그테 흰 이 나거든 그 뫼화 다치 면 그 리 장 희거든 면 제 더운 물에 눅게 라 누면 비치 희고 조 면이 되니라 교 싀면 교 치 라. 현대어역 겉메밀을 씻어 너무 많이 말
[그린경제=정석현 기자]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검정먹거리(블랙푸드)의 대명사 오디와 불로장생의 명약 동충하초를 발효시켜 알코올 도수가 낮고 숙취가 적은 오디동충하초주(이하 오동주) 제조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오동주는 당도 17Brix, 알코올 도수 13도 안팎으로 와인처럼 달콤한 맛과 목 넘김이 부드러운 것이 특징이다. ▲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검정먹거리(블랙푸드)의 대명사 오디와 불로장생의 명약 동충하초를 발효시켜 알코올 도수가 낮고 숙취가 적은 오디동충하초주' 만드는 과정은 먼저 오디 1kg당 설탕 400g을 넣어 20일 동안 발효시킨다. 오디 발효액이 완성되면 5 ℃ 이하의 온도에 냉장시킨다. 30도짜리 소주 1L 기준 건조 누에동충하초 26g을 넣고 30일 동안 추출한다. 누에동충하초 추출액 1L당 식수 700ml, 오디 발효액 500ml 안팎을 넣어 밀봉한 뒤 6달 정도 발효시키면 검붉은 빛의 오동주가 완성된다. 오동주는 오디 또는 오디 발효액과 건조 누에동충하초를 사서 농가나 일반 가정에서도 쉽게 담글 수 있으며, 오동주 750ml 1병 기준 원료의 값이 4,000원 안팎으로 매우 경제적이다. 농촌진흥청은 이번에 개발한
[그린경제=김영조 문화전문기자] 요즘 들녘에 가면 보리밭에 파란 물결이 넘실거린다. 이름 하여 청보리밭이라 하던가? 그 보리밭 옆에 노오란 유채밭이 있다면 그야말로 환상적이다. 게다가 옛 생각을 하면서 보리피리를 불 수 있다면 금상첨화다. 하지만, 50~60년 어려운 때를 살았던 사람들은 그저 보리밭을 유쾌한 심정으로만 바라볼 수는 없다. 그 징그러운 보릿고개가 떠오르기 때문이다. ▲ 청보리밭(사진작가 최우성) 선진국 대열에 들어섰다고 하는 지금도 여전히 굶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데 50~60년대 까지만 해도 지금보다 훨씬 많은 사람이 며칠씩 굶기가 일쑤였다. 그래서 그 당시엔 보릿고개라는 말이 언론에 자주 등장했었다. 지금이야 보리밥을 건강식으로 먹지만 당시는 보리밥 먹어 방귀가 잦다며 쌀밥을 먹는 게 꿈이었던 아이들이 있을 정도였다. 보릿고개 때 아침밥을 먹지 못한 아이가 동네 부잣집의 술지게미를 얻어먹고 술에 취해 비틀거리며 학교에 나온 경우도 있었다. 소나무 껍질로 송구죽을 쑤어먹고 쑥을 캐어다가 쑥떡을 해먹거나, 설익은 보리를 베어서 보리개떡을 해먹는다. 그렇게라도 먹을 것이 있으면 다행이었다. 못 먹어 부황(浮黃, 오래 굶어 살가죽이 들떠서
♣ 차의 종류 ♣ 1. 가공방법에 의한 구분 ① 덖음차 : 한국의 전통차, 솥에 열을 가하면서 비비듯이 한다. 중국에서는 초청차(炒靑茶), 일본에서는 부초차(釜炒茶)라고 한다. ② 찐차 : 녹차, 증제차라고도 하는데 잎을 쪄서 가공한다. 2. 마시는 방법에 따른 나눔 ① 잎차 : 잎을 우려낸 물을 먹는다. ② 가루차(말차:抹茶) : 가루를 만들어 거품을 내어 통째로 먹는다. 3. 발효정도에 따른 종류 ① 불발효차(비발효차) : 전통차와 녹차 ② 반발효차 : 포종차, 우롱차 ③ 발효차 : 홍차 ④ 후발효차 : 보이차(떡으로 만들어 오랫동안 발효시킨다. 20년 이상이면 명차)4. 찻잎을 따는 때에 따른 구분 전통차 : 명전차(청명 전), 봄차(춘차:春茶), 여름차(하차:夏茶), 가을차(추차:秋茶) 녹차 : 우전차(雨前茶, 곡우 전), 세작(細雀, 5월 초), 중작, 대작 (첫물차, 두물차 등으로도 나눈다)5. 생산지에 따른 구분 ① 보성, 해남, 화계차(한국) ② 육안, 용정, 무이차(중국) ③ 우지차(일본) 6. 기타 ① 작설차(雀舌茶) : 여린 찻잎이 참새의 혀와 닮았다는 뜻, ② 감로차(甘露茶) : 아침이슬이 가시기 전에 찻잎을 따서 만든 차 ③ 죽로차(竹
식사후 여유있게 차 한잔을 마시며... 한국 식당에 걸린 의 유래 얼마전 필자가 한국에 출장 갔을 때, 서울 필동에 있는 "한국의 집"에서 식사한 적이 있다. 아름다운 경치 우아한 경관, 화려한 건물, 그리고 대대로 내려온 전통 음식은 손님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겨 주기에 충분했다. 필자에게 더욱 매력적이었던 것은 식사한 방병풍에 씌어있는 (다경 茶經)이었다. 차의 문화를 전반적으로 서술한 내용이었는데,등 10개 부분으로 돼 있었다. 식사가 끝난 후 안내자에게 의 연유를 물어보니, 잘 모르겠다는 대답이었다. 돌아온뒤 궁금증을 풀기 위해 중국 고서를 들추어 보았다. 그 결과 의 저자가 아주 대단한 인물이라는 사실을 알고 깜짝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의 저자는 당대 唐代(중국 당나라시기), 지금 후베이(湖北) 텐먼(天門)시에서 태어난 육우 陸羽(733-805)이다. 태어나자마자 제방에 버려진 것을 어느 스님이 주워 살려 민가에 맡겨 기르다가 7-8세 때 다시 절로 데려갔다 . 법도에는 열중하지 않고 유교 경전에만 몰두하여 그는 스님에게 자주 매를 맞았으며, 이에 못 이겨 11-12세 때 절에서 도망쳐 어느 극단에 들어갔다. 처음 스님이 그를 반견했을 때 기러기
누룽지는 비만해결사? 40대 이후의 세대는 “누릉지”에 대한 아련한 추억이 있을 것이다. 예전이야 군것질거리도 별로 없었을 뿐더러 군것질거리를 살 용돈도 없을 때여서 어머니가 긁어주는 누룽지는 최고의 군것질거리였다. ▲누룽지는 비만 해결사 뉴스툰 누룽지를 새까만 가마솥에서 닥닥 긁을 때부터 퍼져 나오는 구수한 냄새는 가히 일품이었다. 그것은 분명 우리만의 냄새요, 우리만의 맛이 아닐까? 또 누룽지에 물을 붓고 끓여 나오는 숭늉은 어쩌면 최고의 음료수이리라. “간식으로 누룽지가 나왔다. 발상이 신선하다. 아마 40대 이상의 연령층이라면 누구나 누룽지에 대한 추억 하나 쯤은 갖고 있을 것이다. 독도 답사길에 민족의 정서가 서려 있는 추억의 누룽지를 맛본다는 건 색다른 경험이다.” 이 글은 ‘독도에 심고 온 나라사랑 국토사랑의 뜻’ 이란 제목의 정윤모님의 글 중 일부이다. 제법 등산길, 여행길에도 누룽지를 즐기는 모양이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젊은이들은 라면과 햄버거, 피자에 푹 빠져 누룽지를 고리타분하게 느끼는 것은 아닐까? 우리가 잃어버린 버린 누룽지 “우리는 누룽지를 잃었습니다. 대신 라면과 일회용 반짝 문화를 얻었습니다. 우리는 초가지붕을 잃었습니다. 그 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