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制)와 유(流)를 다시 생각해 본다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김연수 명창을 간단하게 소개하였다. 1907년 전남 고흥 출신이며 한학(漢學)과 신교육을 받았고, 유성준, 정정렬 송만갑 등에게 판소리를 배워 명창의 반열에 올랐고, <여성국극단> 단장, 판소리 예능보유자, <국립창극단> 단장을 지내며 판소리 확산에 전력하였다는 이야기, 그가 새롭게 짠 판소리를 <동초제(東招制)>로 부르고 있는데, 이 소리는 서편제와 동편제가 융합되어 있다는 특징과 함께 사설의 전달이나 맺음, 끊음이 분명하며 너름새(동작)가 정교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는 이야기도 하였다. 이번 주에는 <동초제 판소리>, 또는 <동초 김연수제>와 같이 명창의 이름을 밝히고 그 뒤에 붙어 다니는 제(制)란 무슨 뜻인가? 하는 이야기를 해 보기로 한다. 악보로 전해오지 아니하고 구전심수(口傳心授)로 전해오는 판소리와 같은 성악 분야의 이름난 소리꾼들을 우리는 명창(名唱)이라 부르며 가야금 산조나 거문고 산조와 같은 민속기악의 이름난 연주자들을 명인(名人)으로 부르고 있다. 그런데 그들 명인이나 명창의 이름 뒤에, 또는 아호를 넣어 동초제, 김연수제, 박상근류,
- 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 2024-07-09 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