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김성배)는 올해 4월부터 10월까지 군산 선유도 해역에서 실시한 발굴조사를 통해 선사시대부터 지속적인 해상활동의 거점이었음을 보여주는 다양한 유물들을 발굴하였다. 선유도 해역은 2020년 수중에서 유물을 목격했다는 잠수사의 신고로 조사가 시작되었으며,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지난 2022년까지 조사에서 고려청자와 조선시대 분청사기와 백자 등 유물 500여 점을 발굴하였다. 이를 토대로 조사해역 인근에는 침몰한 고선박이 매장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올해 조사에서는 청동기시대 간돌검을 비롯하여 삼국시대 토기, 후백제시대 기와, 고려청자, 분청사기, 백자, 도기, 근대 옹기 등 선사시대부터 근대에 이르는 폭넓은 시기를 아우르는 유물 180여 점을 확인하였다. 특히, 간돌검은 수중발굴조사에서 처음 발굴된 유물로, 청동기시대부터 이미 선유도 해역에서 해상활동이 이루어져 왔다는 사실을 밝혀 주는 의미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그간 선유도의 조개무지에서 출토된 유물을 토대로 선사시대부터 사람들이 거주했던 사실은 알려져 있었지만, 당시에도 해상활동이 있었는지는 명확히 알려진 바가 없었다. * 조개무지 : 먹고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남쪽 바다와 하늘 사이에서 검은 구름이 갑자기 모여들어 빗줄기가 가득하더니 공중에 한 마리의 용이 솟구쳐 날아서 하늘로 올랐다.” 이는 조선시대 문신이며 학자인 김육(金堉)이 명나라에 다녀온 뒤에 작성한 《조경일록(朝京日錄)》에 있는 내용이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김성배)는 국립해양박물관(관장 김태만)과 오는 8월 20일까지 국립해양박물관 기획전시실(부산 영도구)에서 위의 용오름이 소개된 공동기획전 <별별 바다신(神)>을 열고 있다. 이번 전시는 풍어와 재난이 공존하는 바다에서 선조들의 삶을 지탱해준 전통 해양 민속신앙을 이해하고, 그 간절한 삶과 애환 속에서 탄생한 ‘바다신(神)’과 ‘무사안녕’의 염원을 축제로 승화시킨 바닷사람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소개한다. 옛사람들은 《조경일록》 내용처럼 바다에 용이 산다고 믿었다. 용오름은 '용이 하늘로 승천(昇天)하는 모습과 같다'라는 뜻인데 주로 바다 표면에서 일어나는 맹렬한 바람의 소용돌이를 말한다. 하늘에서 물고기, 개구리 등이 떨어지는 '동물비'를 가장 잘 설명해 주는 가설도 용오름 현상이다. 선조들은 용오름을 보고 용이 하늘로 승천하는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