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맹위를 떨치든 불볕더위로 고생하던 서울시민들에게 어제 9월 1일 저녁 5시 한강 물빛광장에서는 ㈜국설당(대표 설현주)이 즐거운 국악 한마당을 선물했다. 지난해는 비가 추적추적 내리는 11월의 쌀쌀한 날씨 탓에 출연자는 물론 청중들도 큰 곤욕을 치렀지만, 올해는 초가을의 시원한 강바람에 기분 좋은 축제가 되었다. ‘오늘의 국악을 담다’라는 주제로 새로운 형식의 국악 콘텐츠와 공연을 선보이고 있는 서울국악주간이 올해에도 열린 것이다. 축제는 <특별한 인터뷰 : 국반>이라는 제목으로 8월 26일부터 8월 31일까지 <서울국악주간> 유튜브(www.youtube.com/@seoulgugakweek)를 통해 공개된 온라인 공연에 이은 대면공연이다. 이 축제의 특별한 점이 있다면, 해마다 서울시의 특별한 장소를 찾아 움직이며 오늘날 국악의 다양한 가능성을 꾀하고 있는 음악가들을 소개한다는 점이다. 올해에는 여의도 한강공원 안에 있는 물빛광장에서 4시간 대면 공연을 연 것이다. ㈜국설당 설현주 대표가 사회를 본 공연의 시작은 서양의 브라스 악기 곧 테너색소폰, 트롬본, 수자폰과 한국 전통악기 곧 꽹과리, 장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오늘의 국악을 담다’라는 주제로 새로운 형식의 국악 콘텐츠와 공연을 선보이고 있는 서울국악주간이 올해에도 열린다. 축제는 <특별한 인터뷰 : 국반>이라는 온라인 콘텐츠와 대면 공연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온라인 콘텐츠는 8월 26일부터 8월 31일까지 <서울국악주간> 유튜브(www.youtube.com/@seoulgugakweek)를 통해 공개되며, 대면 공연은 9월 1일 여의도 물빛광장에 있는 무대에서 저녁 5시부터 밤 9시까지 열린다. 모든 공연은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이번 축제에는 모두 6개 단체가 참여한다. 국내팀으로는 <도시>, <박정수>, <시도>, <오디오바나나>가 참여를 하고 대만의 <첸충칭>과 캐나다의 <아흐메드 모네카>가 함께한다. <도시>는 대금ㆍ피리ㆍ거문고와 더불어 강력한 사운드의 기타와 화려한 드럼이 더해진 세련된 음악을 들려주는 팀으로 알려져 있다. 뛰어난 소리꾼이자 작창자인 <박정수>는 마치 케이팝과 같은 현대적인 감성으로 젊은 세대들이 좋아하는 국악공연을 선보인다. <시도>는 나라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피아노 병창 최준은 선천적으로 자폐를 앓고 있는 중증 장애 음악인이다. 초등학교 4학년 때부터 피아노와 판소리를 배우기 시작하였고, 2010년에는 세계 처음로 한국 전통 성악곡(판소리, 단가, 민요, 정가)의 한 대목을 노래하면서 피아노를 직접 연주하는 <피아노 병창>이라는 장르를 국내 최처음 만들어 활동을 해왔다. 최준은 피아노 연주자이자 작곡자로 활동하고 있으며, 그동안 모두 18회의 개인 연주회와 5개의 정규 음반을 발매하였다. 이번에 발매되는 6집 <고장난 피아노>는 모두12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곡을 최준이 작곡 또는 편곡한 곡들로 2023년 6월, 꿈빛극장에서 공연한 곡들을 재구성하였다. 베이시스트 이상진이 프로듀서로 총괄한 이번 음반은 피아노와 재즈 밴드(베이스, 기타, 드럼)와 서양 악기(클라리넷ㆍ플루트ㆍ비올라), 중국 악기 ‘얼후’, 우리 민요와 클래식 명곡 그리고 최준의 감성을 담은 서정적인 곡들로 구성하여 동ㆍ서양을 아우르는 지구촌 음악으로 제작하였으며 이음사운드의 이정면 대표가 믹싱과 마스터링으로 참여하였다. 대표곡인 ‘고장 난 피아노(a broken piano)’는 제주 애월 바닷가에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양금연주자 윤은화가 12월 7일 정규 2집 음반 ‘윤은화-양금, <Fe>’를 발매함과 동시에 다음날인 12월 8일 저녁 7시 30분 서울 홍대 근처 가온스테이지에서 독주회를 연다. 윤은화의 정규 2집 앨범은 철(Fe)을 소재로 사용한 악기로 연주한 작품집이다. 비, 바람, 숲 등 자연에서 받은 다양한 영감을 토대로 곡을 창작하였으며 전통양금부터 개량양금(크로매틱 12반음계적양금), 전자양금, 운라, 핸드팬(몸체가 진동하여 소리를 내는 악기), 항아리드럼(Udu드럼), 징 등 악기를 써서 연주했다. 이번 음반에서는 양금이 독주 악기로써 더 많이 활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시도를 보여주는 작품들로 구성되었다. ‘Fe’ 앨범에서는 핸드팬을 뺀 나머지 모든 악기를 윤은화가 직접 녹음하였다. 음반 수록곡은 먼저 윤은화 작곡, 윤은화 연주 ‘갈색여름(Brown Summe)’, 윤은화 작곡, 윤은화 양금ㆍ글로켄슈필ㆍ타악 연주의 ‘족장들의 춤(Dance of the chieftains)’, 윤은화 작곡, 윤은화 연주의 ‘실크로드(Silk Road)’, 윤은화 작곡, 윤은화 양금ㆍ운라 연주의 ‘오로라(Aurora)’,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어제 11월 16일 저녁 4시부터 서울 대학로 마로니에공원 야외공연장에서 ㈜국설당이 주최하고 서울특별시, AtoZLOUNG, 문화예술네트워크 위드, SOUNDPUZZLE이 후원하는 젊은 국악축제 ‘서울국악주간’이 열렸다. 이 공연은 17일까지 이틀 동안 열리는 잔치의 시작이다. 서울국악주간2023은 2021년에 시작된 새로운 잔치로, 오늘의 국악을 만들어 가는 국악인들의 다양한 무대를 볼 수 있는 젊은 국악 축제다. 특히 이번 ‘서울국악주간’는 서울시유망예술축제로 뽑혀 기대받았다. 첫째 날 공연에는 오디오바나나, 삼산, 이한빈x김용성, 노올량 등이 출연했다. 먼저 무대에 오른 ‘오디오바나나’는 대금과 기타 반주에 맞춰 이별가, 는실, 놀량, 한잔 부어라 등의 흥겨운 민요 한마당이 펼쳐졌다. “오늘같이 비가 오는 날은 빈대떡에 막걸리 한잔이 생각난다”라며 너스레를 떤 민요 소리꾼 조원석은 “한잔 부어라 두잔 부어라 가득 수북 철철 부어라”라고 노래한다. 하지만 정작 본인은 술을 한 잔도 못 한다며 웃는다. ‘오디오바나나’는 민요 소리꾼(보컬) 조원석과 대금ㆍ소금ㆍ퉁소를 부는 성민우, 기타를 치는 이상훈과 DJ를 보는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설당이 '오늘의 국악을 담다'라는 구호를 가진 국악 상품을 제작했다고 밝혔다. 손쉽게 전달하고 보관할 수 있는 카드형 명함 크기로 제작된 국악카드는 두 가지 종류로 제작됐다. 첫 번째 카드는 국악기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국악카드로 모두 29장의 카드로 구성됐다. 한쪽 면은 악기 이름(한국어/영어), 다른 면은 악기의 사진이 들어 있다. 국악기 정보가 든 국악카드는 한글 낱말 카드, 알파벳, 숫자 카드처럼 국악기에 대한 쉽게 접하고, 사진을 통해 직관적으로 정보를 익힐 수 있도록 제작됐다.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국악기 가운데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가 수록됐다.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된 종묘제례악 연주에 편성되는 대표적 악기들도 있어, 교보재로서의 활용도 기대된다. 두 번째 카드는 류파별 산조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국악카드로 모두 31장의 카드로 이뤄져 있다. △가야금 △거문고 △아쟁 △대금 △해금 △피리 모두 6개의 악기 류파별 산조가 수록됐다. 한쪽 면은 악기별 류파의 이름과 정보무늬(큐알코드)가 인쇄됐으며, 다른 면에는 해당 해설이 수록됐다. 정보무늬를 통해 류파별 산조의 대표적인 부분의 기악 연주 영상을 감상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