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박판용)은 4월 12일 저녁 4시, 국립무형유산원 얼쑤마루 대공연장(전북 전주시)에서 올 한 해 공연의 시작을 알리는 개막공연 <장인의 시간들- 빛과 바람>을 연다. 이번 개막공연 <장인의 시간들- 빛과 바람>은 국가무형유산 선자장 김동식 보유자와 나전장 박재성 보유자의 삶과 예술혼을 현대적인 무대 연출과 조명, 음악으로 표현하여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문화적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선자장 김동식 보유자는 전북 전주에 살며 합죽선을 가업으로 이어오던 외가에서 합죽선 제작 기술을 배웠으며, 70년 동안 우리 조상의 풍류와 멋을 대표하는 전통부채의 정교한 기술과 아름다움을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 *선자장 : 우리나라 전통부채를 만드는 기술로 우리나라 전통부채는 크게 둥근 모양의 부채와 접고 펼 수 있는 접부채인 합죽선으로 나눌 수 있음. 나전장 박재성 보유자는 경남 통영에 살며, 57년 동안 나전 기술을 연마하였고, 2008년 경상남도 으뜸 장인으로 뽑혔다. 2023년 나전장 끊음질 장인으로 인정되면서 보유자가 없던 끊음질 전승현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나전장 : 나무로 짠 가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국가유산청의 국가무형유산 가운데는 <나전장(螺鈿匠)>이 있습니다. 나전장은 옻칠한 기물 위에 무늬가 아름다운 전복이나 조개껍질을 갈고 무늬를 오려서 옻칠로 붙이는 기술이나 그 장인을 말하는데 ‘나전칠기장’ 또는 ‘나전칠장’이라고도 부르지요. 고려시대 이래 중앙 관서에 소속되어 왕실과 조정에 필요한 나전칠기를 만들었습니다. 조선 후기부터는 나전칠기가 대중화하면서 관서에 소속되지 않은 개인 장인도 생겼습니다. 나전칠기를 만드는 과정은, 나무로 기본 틀인 백골(옻칠을 하지 않은 목기)을 짜고 그 표면을 사포로 문지르거나 틈새를 메워 고르게 한 다음 자개를 붙입니다. 그 뒤 연마, 옻칠, 그리고 광내기 과정을 거쳐 완성하지요. 자개로 무늬를 만드는 방법에는 자개를 실처럼 잘게 자른 '상사'로 기하학적인 무늬를 만드는 끊음질 기법과, 자개를 문질러 얇게 만들어 국화, 대나무, 거북이 등 각종 도안 무늬를 만드는 줄음질 기법이 있습니다. 나전 무늬는 고려시대와 조선 전기에는 모란ㆍ국화ㆍ연꽃 등의 식물무늬가, 조선 중기에는 화조(꽃과 새)ㆍ쌍학ㆍ포도ㆍ사군자 등의 무늬가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나전칠기를 만드는 데 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