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일취스님(철학박사)] 새벽 서쪽 하늘에 유난히도 밝은 별이 있다. 샛별이라고 했다. 고도 3,600m 산 능선에 자리 잡은 사원에 발을 들어 놓자 붉은 가사를 입고 내게로 다가와 생글생글 맞이하는 어린 동자승의 반짝이는 눈빛이 그러했다. 샛별 같았다. 천진무구한 얼굴, 반짝이는 눈 속에 금방이라도 빨려 들어가 버릴 듯한 유혹을 느끼며 나를 반기는 고사리 같은 어린 동자승의 손을 잡았다. 다섯 살쯤 되어 보이는 어린아이였다. 아직은 엄마 품에서 응석을 부릴 나이인데 어찌하여 이렇게도 깊은 산골에 들어와 불상 앞에 앉아 염불한다는 것인가? 가슴이 아리고 두 눈이 뜨거워졌다. 필자는 올 3월, 한 달가량 단독으로 히말라야 중턱에 있는 부탄에 가서 문화 취재를 하고 돌아왔다. 그 기간 제일 기억에 남는 것이 있다면 어린 동자승들의 모습이었다. 그리고 부탄 취재차 돌아본 사원마다 많은 아이들이 붉은 가사를 입고 수행하는 모습들을 보고 큰 충격을 받았다. 특히 하늘을 찌를듯한 거목들이 울창한 숲속, 그리고 보기에도 아슬아슬한 해발 3,600고지 기암절벽에 있는 ‘추푸네 도지파모’ 사원에서 어른 스님들과 함께 수행하고 있는 어린이들의 모습들이 한국에 돌아온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지구상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를 꼽으라면 부탄을 꼽습니다. 우린 부탄 하면 불에 타는 가스를 생각할지 모르지만, 히말라야 동부에 있는 내륙국 부탄도 있습니다. 면적은 우리나라의 1/5 정도이고 인구는 78만 명밖에 되지 않는 작은 나라지요. 부탄은 경제지수로 세상을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국민총행복지수를 우선시하며 세상을 살아갑니다. 곧 경제적 성장보다는 국민의 행복을 우선시하는 나라라고 할 수 있지요. 그 나라는 첫눈이 내리는 날을 공휴일로 삼습니다. 온 마을이 잔치 분위기가 되는 동화 같은 나라지요. 그 나라는 '사랑해'라는 말이 없습니다. 대신에 '당신과 함께 할 수 있어 내 마음이 빛납니다.'라는 표현을 쓰지요. 그렇게 국민의 행복 증진에 힘을 쓰는 나라지만, 그 나라에서는 행복에 순위를 매기지 않습니다. 행복을 내세우지도, 그렇다고 불행을 내세우지도 않습니다. 부탄은 아름다운 자연환경으로 유명합니다. 히말라야산맥에 자리 잡고 있어 높은 산과 울창한 숲이 많습니다. 또한, 다양한 동식물이 살아 부탄 정부는 자연환경 보호에 힘쓰고 있지요. 자연 속에서 행복을 누리는 것은 장자의 ‘무위자연’을 닮았습니다. 우린 어떻게 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