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2024년 갑진년(甲辰年)은 청룡의 해다. 용은 십이지신 가운데 유일한 상상의 동물로, 낙타 머리에 사슴뿔, 토끼 눈, 소의 귀, 뱀의 목, 개구리 배, 잉어 비늘, 매 발톱, 호랑이 발을 가졌다고 한다. 이처럼 초현실적 존재인 용은 강력한 힘을 갖고 있다고 믿어져 삼국시대 무덤 벽화부터 절터의 벽돌, 그림, 왕실용 항아리, 대한제국 황제의 도장까지 다양한 미술품에 등장했다. 각 작품에 표현된 용은 눈을 부릅뜨고 용맹하게 보이거나 사람을 닮은 친근한 표정을 하기도 하며 위엄있고 당당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그 청룡의 해를 맞이하여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등 전국의 박물관들은 ‘용을 찾는 갖가지 전시와 행사를 열었다. 그뿐만 아니라 여기 (사)한국불교사진협회도 절의 불교문화 속 부처님을 수호하고 전각을 지키는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는 용을 소재로 한 사진을 찍어 회원전을 연다. 서울 전시는 경복궁 옆 법련사 '불일미술관'서 어제(5.8)부터 오는 5월 16(목)일까지 열리고 있으며, 광주는 ’광주학생교육문화회관'에서 5월 23일(목)부터 5월 30일(목), 대구는 '대구문화예술회관' 제1전시실에서 6월 4일(화
]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옛사람들은 용이 상서로운 좋은 징조를 상징하는 상상의 동물로 물(水)을 주관하면서도 하늘과 땅을 자유자재로 다니면서 물을 뿌려주어 생명있는 것들을 도와준다고 믿었다. 하늘을 날아다닐 때는 구름을 타고 다니고, 땅에 있으면 연못이나 강에 머무르며, 바다에서는 거센 파도를 잠재우며 풍랑속에서 조각배에 의지하여 살아가는 중생들을 보호해준다고도 믿으며 살아왔다. 그런 까닭으로 우리 문화에는 다양한 용에 대한 전설과 신화가 전하고 있으며, 불교문화 속에도 부처님을 수호하고 전각을 지키는 다양한 용들이 있는 것이다. 용은 꿈속에서라도 보면 좋은 일이 일어날 징조로 여겼으며, 특히 옛 선비들은 과거시험을 합격하는 것을 하찮은 물고기가 용으로 변하는 것이라 생각하여 과거시험을 등용문(용이 되어 승천하는 문) 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불기 2568년(서기2024년) 용의 해를 맞이하여 (사)한국불교사진협회는 오는 5월 8일(수)부터 5월 16일(목)까지 서울 종로구 삼청로 법련사 '불일미술관'에서 우리민족의 역사문화속에 자리잡고 있는 다양한 용을 주제로 사진전을 연다. 광주 전시는 오는 5월 23일(목)부터 5월 30일(목)까지 서구 상무민주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이제 더 이상 물러갈 곳이 없는, 한해의 끝이다. 한해 끝자락에 서면 마음이 허(虛)하다는 사람들이 많다. 특히 지난 3년 동안 코로나라는 전대미문의 전염병에 시달렸던 사람들에게 올해는 더없이 상쾌하고 즐거워야겠지만 복잡다단한 나라 안팎 여건 속에서 불황의 그림자까지 드리운 상황이다 보니 거리를 오가는 사람들의 어깨가 더욱 처진 느낌이다. 생기(生氣)를 잃어가고 있다는 표현이 바로 이런 모습일 것이다. 무엇인가 이들에게 기(氣)를 채워줄만한 것은 없을까 싶을 때에 눈에 확 띄는 전시회가 있어 다녀왔다. 서울 법련사 불일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대길상 에너지 전>이란 이름의 전시회가 그것인데 작품을 그린 분은 능허 김성종 스님이다. 전시된 작품들을 보면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붓으로 터치해서 그린 그림이 아니라 놀라고, 언뜻 자수로 한올 한올 수놓은 것인가 싶어 바짝 다가서서 보면 그것도 아니라 놀란다. 그러면 무엇으로 이 그림들을 그린 것일까? 그런 의아함으로 작품을 감상하다 보면 작품 하나하나에 쏟은 작가의 공력에 다시 한번 놀란다. 한올 한올, 누에고치가 비단실을 자아내듯 수많은 선과 선들이 지나간 자리마다 생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