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맹위를 떨치든 불볕더위로 고생하던 서울시민들에게 어제 9월 1일 저녁 5시 한강 물빛광장에서는 ㈜국설당(대표 설현주)이 즐거운 국악 한마당을 선물했다. 지난해는 비가 추적추적 내리는 11월의 쌀쌀한 날씨 탓에 출연자는 물론 청중들도 큰 곤욕을 치렀지만, 올해는 초가을의 시원한 강바람에 기분 좋은 축제가 되었다. ‘오늘의 국악을 담다’라는 주제로 새로운 형식의 국악 콘텐츠와 공연을 선보이고 있는 서울국악주간이 올해에도 열린 것이다. 축제는 <특별한 인터뷰 : 국반>이라는 제목으로 8월 26일부터 8월 31일까지 <서울국악주간> 유튜브(www.youtube.com/@seoulgugakweek)를 통해 공개된 온라인 공연에 이은 대면공연이다. 이 축제의 특별한 점이 있다면, 해마다 서울시의 특별한 장소를 찾아 움직이며 오늘날 국악의 다양한 가능성을 꾀하고 있는 음악가들을 소개한다는 점이다. 올해에는 여의도 한강공원 안에 있는 물빛광장에서 4시간 대면 공연을 연 것이다. ㈜국설당 설현주 대표가 사회를 본 공연의 시작은 서양의 브라스 악기 곧 테너색소폰, 트롬본, 수자폰과 한국 전통악기 곧 꽹과리, 장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어제 11월 16일 저녁 4시부터 서울 대학로 마로니에공원 야외공연장에서 ㈜국설당이 주최하고 서울특별시, AtoZLOUNG, 문화예술네트워크 위드, SOUNDPUZZLE이 후원하는 젊은 국악축제 ‘서울국악주간’이 열렸다. 이 공연은 17일까지 이틀 동안 열리는 잔치의 시작이다. 서울국악주간2023은 2021년에 시작된 새로운 잔치로, 오늘의 국악을 만들어 가는 국악인들의 다양한 무대를 볼 수 있는 젊은 국악 축제다. 특히 이번 ‘서울국악주간’는 서울시유망예술축제로 뽑혀 기대받았다. 첫째 날 공연에는 오디오바나나, 삼산, 이한빈x김용성, 노올량 등이 출연했다. 먼저 무대에 오른 ‘오디오바나나’는 대금과 기타 반주에 맞춰 이별가, 는실, 놀량, 한잔 부어라 등의 흥겨운 민요 한마당이 펼쳐졌다. “오늘같이 비가 오는 날은 빈대떡에 막걸리 한잔이 생각난다”라며 너스레를 떤 민요 소리꾼 조원석은 “한잔 부어라 두잔 부어라 가득 수북 철철 부어라”라고 노래한다. 하지만 정작 본인은 술을 한 잔도 못 한다며 웃는다. ‘오디오바나나’는 민요 소리꾼(보컬) 조원석과 대금ㆍ소금ㆍ퉁소를 부는 성민우, 기타를 치는 이상훈과 DJ를 보는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설당이 '오늘의 국악을 담다'라는 구호를 가진 국악 상품을 제작했다고 밝혔다. 손쉽게 전달하고 보관할 수 있는 카드형 명함 크기로 제작된 국악카드는 두 가지 종류로 제작됐다. 첫 번째 카드는 국악기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국악카드로 모두 29장의 카드로 구성됐다. 한쪽 면은 악기 이름(한국어/영어), 다른 면은 악기의 사진이 들어 있다. 국악기 정보가 든 국악카드는 한글 낱말 카드, 알파벳, 숫자 카드처럼 국악기에 대한 쉽게 접하고, 사진을 통해 직관적으로 정보를 익힐 수 있도록 제작됐다.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국악기 가운데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가 수록됐다.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된 종묘제례악 연주에 편성되는 대표적 악기들도 있어, 교보재로서의 활용도 기대된다. 두 번째 카드는 류파별 산조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국악카드로 모두 31장의 카드로 이뤄져 있다. △가야금 △거문고 △아쟁 △대금 △해금 △피리 모두 6개의 악기 류파별 산조가 수록됐다. 한쪽 면은 악기별 류파의 이름과 정보무늬(큐알코드)가 인쇄됐으며, 다른 면에는 해당 해설이 수록됐다. 정보무늬를 통해 류파별 산조의 대표적인 부분의 기악 연주 영상을 감상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