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봉은사 생전예수재」를 국가무형유산 신규 종목으로 지정 예고하고, (사)생전예수재보존회(대표 김종민)를 보유단체로 인정 예고한다. 또한, 국가무형유산 「영산재」 전승교육사 이병우(李秉祐, 서울 서대문구) 씨를 명예보유자로 인정 예고한다. ‘생전예수재’는 ‘살아서(生前) 미리(預) 덕을 닦는(修) 재(齋)’라는 의미로, 살아 있는 자가 사후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불교의례다. 앞서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된 영산재(1973), 수륙재(2013)와 함께 불교를 대표하는 천도의식으로 자리 잡아 왔다. 이번에 지정 예고되는 「봉은사 생전예수재」는 《동국세시기》에 19세기 중반 윤달의 대표적인 풍습으로 언급되는 등 역사성, 학술성, 대표성을 지닌 무형유산이다. 이와 함께, 「봉은사 생전예수재」의 보유단체로 인정 예고되는 (사)생전예수재보존회는 ‘생전예수재’의 전통을 계승·발전시키기 위해 2017년 6월 설립된 단체로, 재를 끌어나가는 연행 능력 등 ‘생전예수재’의 전승에 필요한 기반과 기량, 전승 의지가 탁월한 것으로 평가됐다. * 《동국세시기》: 1849년(헌종 15) 홍석모가 일 년의 세시풍속을 체계적으로 기록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동편제 명문가인 장씨 집안 출신으로, 20세기 대표적인 여류 판소리 명창 ‘장월중선’ 선생이 세상을 뜬 지도 어언 25년이 되었다. 그 장월중선은 판소리 명창만이 아니라 가야금 풍류와 산조, 거문고 풍류와 산조, 아쟁산조, 가야금병창 나아가 범패ㆍ나비춤ㆍ천수바라ㆍ법고 등 불교음악과 춤을 배웠고, 살풀이와 승무, 태평무와 한량무 등을 배워 그야말로 악ㆍ가ㆍ무에 능통한 뛰어난 예인으로 평가받았다. 그 장월중선의 판소리는 그의 딸 정순임이 물려받았고, 가야금병창은 그의 딸 정경옥과 제자 임종복, 주영희 등에 의해 전수되고 있지만 음원은 별로 전해지는 게 없었다. 그 가운데 장월중선이 1966년 4월에 경주(동도)국악원에서 약 45분가량으로 모두 11곡(단가 1곡과 가야금병창 춘향가 3대목, 수궁가 7대목)을 직접 릴테이프에 녹음하여 전해지고 있는 음원을 정순임을 통해 임종복이 받아서 가지고 있을 정도다. 그런데 올 2월 고음반 수집가인 이병우로부터 귀한 음반을 전해 받았다. 1973년 일본 빅터레코드사에서 발매된 <아리랑의 노래>와 1979년 같은 곳에서 발매된 <아리랑의 세계>다. 일본을 대표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