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어제 11월 17일 저녁 7시 대전 대전시립연정국악원 큰마당에서는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 한국문화재재단의 후원으로 (사)한국판소리보존회와 대전시립연정국악원이 주최한 제52회 판소리유파 대제전 열렸다. 청중이 모인 판에서 부채를 든 한 명의 소리꾼이 북 반주를 하는 고수의 장단에 맞추어 창(소리), 아니리(말), 발림(몸짓)을 섞어가며 서사적인 이야기를 엮어내는 공연예술 ‘판소리’는 2003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올랐다. 그로부터 20돌을 맞아 판소리 유파의 전설 곧 무형문화재들이 한자리에 모여서 자신들이 전승받은 소리를 혼신을 다해 펼쳐 보인 것이다. "(사)한국판소리보존회는 1902년 소춘대(원각사) 공연을 위한 조선 8도예인 등을 모아 만든 협률사로 시작되어 1933년도 조선 성악연구회, 1973년 (사)판소리보존연구회, 1995년 (사)한국판소리보존회로 이어온 지 어언 120여 년이 되었습니다. 올해는 판소리가 2003년 세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지도 20돌이 되는 뜻깊은 해이기도 합니다. 이를 기려 판소리의 원조라 할 수 있는 중고제의 산실인 충청(대전) 지방에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국립극장(극장장 박인건)은 <완창판소리-정순임의 흥보가>를 11월 11일(토)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 공연한다.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흥보가’ 예능보유자이자 여든을 넘긴 관록의 정순임 명창이 깊은 공력의 소리로 박록주제 ‘흥보가’를 들려준다. 1942년 전남 목포에서 태어난 정순임 명창은 판소리의 역사와 궤를 같이하는 집안의 계보를 이어 판소리 계승ㆍ발전에 헌신해 온 인물이다. 고종의 교지를 받은 어전(御前) 명창 큰 외조부 장판개와 ‘8잡가꾼’으로 불릴 만큼 기예가 출중했던 외조부 장도순을 시작으로, 외숙부 장영찬 명창과 어머니 장월중선 명창의 계보를 이은 정순임 명창의 가문은 2007년 문화관광부가 뽑은 ‘전통예술 판소리 명가’(3대 이상 전통예술 보전․계승에 앞장서 온 가문) 1호로 지정됐다. 판소리 명창이자, 가야금ㆍ거문고ㆍ아쟁 등의 기악을 비롯해 춤에도 능했던 예인 장월중선 아래서 태어난 정 명창은 어린 시절부터 소리를 좋아했다. 1950년대에는 임춘앵의 국악단 공연에 매료되어 소리를 해야겠다는 결심으로 단체에 입단하기도 했다. 이후 정응민 명창에게 ‘춘향가’ 일부를, 장월중선 명창에게서 ‘춘향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의원 보면 침 도적질, 양반 보면 관을 찢고, 다 큰 큰애기 겁탈, 수절과부는 모함 잡고, 우는 애기 발가락 빨리고, 똥 누는 놈 주저앉히고, 제주병에 오줌 싸고, (가운데 줄임) 앉은뱅이는 택견, 곱사동이는 뒤집어놓고, 봉사 눈 똥 칠허고, 애 밴 부인은 배를 차고” 흥보가 가운데 놀부 심술부리는 대목을 걸쭉하게 소리한다. 완창판소리 공연장의 객석은 자지러진다. 지난 토요일 낮 3시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는 정순임 명창의 박록주제 흥부가 완창 판소리 공연이 펼쳐졌다. 정순임 명창의 명성 덕인지 코로나19와의 대전을 치르는 가운데서 하늘극장의 객석은 빈틈이 없다. 정순임 명창은 객석의 환호에 “나이 벌써 80이 되는데 객석을 메워준 여러분께 재롱을 좀 떨어봤씨유.”라고 한다. 이날 공연에서는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김세종 교수가 나와서 정순임 명창의 완창무대의 의의를 말하고, 이 공연을 어떤 자세로 대해야 하는지를 얘기해주었다. 그는 특히 “오늘 정순임 명창은 흥보가를 박녹주-박송희로 이어지는 바디로 부르게 되지만, 송만갑 명창으로부터 정 명창의 외할아버지 장판개, 어머니 장월중선 명창으로 이어지는 집안 내력도 있어서 그런 점이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극장(극장장 김철호) 완창판소리 ‘정순임의 흥부가’ 공연이 5월 23일(토) 낮 3시 하늘극장에서 열린다. 여든을 앞둔 관록의 정순임 명창은 2015년 9월 이후 국립극장 완창판소리 무대에서 박록주제 ‘흥부가’를 5년 만에 다시 완창한다. 전라남도 목포에서 태어난 정순임 명창은 어린 시절 어머니이자 판소리 명창인 장월중선에게서 소리와 기악을 배우며 판소리에 입문했다. 정 명창은 판소리의 역사와 궤를 같이하는 집안의 대를 이어 판소리 계승ㆍ발전에 헌신해 왔다. 큰 외조부 장판개 명창을 시작으로, 외숙부 장영찬 명창과 어머니 장월중선 명창이 계보를 이은 정순임 명창의 가문은 2007년 문화관광부가 뽑은 ‘전통예술 판소리 명가’(3대 이상 전통예술 보전ㆍ계승에 앞장서 온 가문) 1호로 지정됐다. 서편제의 고향에서 소리를 배우기 시작한 정순임 명창은 20대 중반부터 경상북도 경주에 정착해 동편제 소리에도 일가견이 있다. 정 명창은 영호남을 넘나들며 동서 구분 없이 조화로운 소리 세계를 구축해 온 예인이기에 더욱 특별한 인물로 꼽힌다. 지역 내 판소리 전승에 힘써 온 그는 현재 한국판소리보존회 경상북도지부장, 한국전통예술진흥회 경주지회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흥보가)’ 보유자로 정순임(鄭順任, 여, 1942년생), 이난초(李蘭草, 여, 1961년생) 씨를 인정 예고하였다. 정순임 씨는 7살부터 어머니이자 판소리 명창인 고(故) 장월중선(1925~1998)에게서 소리를 배워 판소리에 입문하였다. 이후 박록주 전 보유자의 계보를 이은 박송희(1927~2017) 전 보유자에게 흥보가를 이수하였으며, 2007년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판소리(흥보가)’ 보유자로 인정되어 지역 내 판소리 전승 활동에 힘써 왔다. 두루 균형 잡힌 발성과 가창 능력에서 최고의 기량을 구사하고 있으며, 전승 활동 실적과 교수능력도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난초 씨는 호남 예인(藝人) 집안 출생으로 7살부터 고(故) 김상용, 김흥남 명창에게 소리를 배웠으며, 1980년부터 고(故) 강도근(1918~1996) 전 보유자에게 입문하여 흥보가를 이수하였다. 이난초 씨는 강도근 전 보유자로 이어진 동편제 소리를 정통으로 계승하여 안정적으로 창법을 구사하며, 전라북도 남원을 기반으로 많은 제자를 양성하는 등 전승 의지와 기반이 탄탄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 동편제: 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