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서울문화유산연구소(소장 김지연)는 9월 25일 국립고궁박물관 본관 강당(서울 종로구)에서 ‘고려의 도시와 사찰’을 주제로 「제2차 중세문화포럼」을 연다. 이번 토론회(포럼)는 고려 사회의 중심지인 수도 개경과 서울ㆍ경기 지역의 주요 도시와 그 안에 있었던 절의 역사적ㆍ문화적 의미를 조명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행사는 5개의 주제발표와 종합토론으로 구성된다. 주제발표는 ▲ 고려 사찰의 최신 조사 성과에 대한 ‘서울ㆍ경기지역의 고려시대 사지 조사 성과와 과제’(문옥현, 국립서울문화유산연구소) 발표를 시작으로, ▲ 고려의 수도 개경과 강도의 절 운영 양상을 문헌으로 살펴본 ‘고려 개경과 강도의 사찰 운영’(강호선, 성신여자대학교), ▲ 고려시대 서울의 역사적 의미와 사찰 운영 모습을 밝힌 ‘고려 남경의 설치와 사찰’(김도연, 대구대학교), ▲ 하남지역의 도시 구조와 도시 내 사찰의 운영 양상을 고고학적으로 검토한 ‘고려의 도시 광주와 사찰’(황보경, 세종대학교박물관), ▲ 안성지역의 도시 경관과 봉업사지의 의미를 살펴본 ‘중세 지방도시 죽산의 운영과 봉업사지’(박한철, 국원문화유산연구원) 순으로 진행된다.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서울문화유산연구소(소장 김지연)는 10월 24일 낮 1시 국립고궁박물관 본관 강당(서울 종로구)에서 제1차 중세문화포럼 「고려 강화도성의 가치 인식과 보존」을 연다. * 강화도성: 몽골의 침략에 맞서 강화도로 천도한 시기(1232∼1270년)에 운영된 고려의 수도 국립서울문화유산연구소는 강화도성을 비롯한 고려시대 문화유산에 관한 조사연구를 지속해서 진행해 왔으며, 그 성과와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중세문화포럼을 새롭게 마련하였다. 이번 포럼에서는 남한 유일의 고려 도읍인 강화도성에 대한 역사적 값어치를 공유하고, 앞으로 체계적인 보존 방향을 찾을 예정이다. 포럼은 2개의 주제로 구성되며, 주제별 2개의 발표와 종합토론의 순서로 진행된다. 먼저, ‘강화도성의 가치인식’을 주제로, 최근 진행된 강화도성 관련 유적조사의 성과와 향후 조사방향을 검토하는 ▲ ‘강화도성의 최근 조사성과와 과제’(문옥현, 국립서울문화유산연구소), 강화도성에 대한 역사적 검토를 통해 그 의미를 되짚어 보는 ▲ ‘강화도성의 의미와 가치’(신안식, 가톨릭대학교)의 2개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이어서, ‘강화도성 유적 보존’을 주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