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하나 오늘 토박이말]토막구름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떠들썩하게 비가 쏟아지고 난 뒤, 혹은 펑펑 눈이 내리기 바로 앞의 하늘을 보신 적 있으신가요? 온 하늘을 덮었던 시커먼 먹구름이 거친 바람에 뜯겨나가, 이리저리 찢긴 채 어지럽게 떠가는 모습. 예쁜 조각이 아니라 어딘가 거칠고 볼품없이 잘려 나간 듯한 구름.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궂은 날씨가 남기고 간 거친 숨결 같은 구름, '토막구름'입니다. '토막구름'은 이름에서부터 뚝뚝 끊어진 느낌이 듭니다. '토막'은 "크게 덩어리진 물건이 잘라졌을 때의 그 짤막한 부분"을 뜻하는 말이지요. 말집(사전)에서는 이 구름을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습니다. 난층운이나 적란운이 조각난 것. 흔히 비나 눈이 내리는 전후에 나타난다. 《표준국어대사전》 풀이에 나오는 어려운 한자말을 우리 토박이말로 풀어보면 그 모습이 더 생생하게 다가옵니다. '난층운(비구름/안개구름)'이나 '적란운(쌘비구름/소나기구름)'은 모두 비나 눈을 잔뜩 머금은 크고 두꺼운 구름들입니다. 그러니까 '토막구름'은 비나 눈을 뿌리는 큰 구름 덩어리가 거친 바람에 찢어지거나, 비를 다 뿌리고 흩어지면서 '토막토막' 끊어져 나간 구름을 가리킵니다. 앞서 만난 '조각구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