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4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문화 넓게 보기

두더지는 빛을 보면 죽나요? 동물에 대한 오해 풀기

서울대공원 별별리스트 시리즈, 동물에 대한 흔한 오해들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서울대공원(원장 송천헌)은 코로나19로 가라앉은 분위기를 즐겁게 이겨내는데 힘이 되고자 집 안에서 만날 수 있는 재미있는 동물 이야기를 ‘별별 리스트’로 풀어 제공한다,

 

‘별별리스트’는 지속적으로 연재될 예정이며 서울대공원 홈페이지 내 ‘서울대공원 스토리’채널을 통해서 만나볼 수 있고 뉴스레터 구독자라면 메일로 받아볼 수도 있다. 서울대공원 내 동물과 자연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는 사육사, 조경과, 수의사 등 서울대공원의 다양한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아 엮어질 예정이다.

 

 

첫번째 별별리스트는 ‘동물에 대한 흔한 오해들’에 대한 이야기다. 동물원을 방문하는 가족들의 대화를 들어보면 아이에게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는 부모들을 쉽게 볼 수 있는데 아이에게 잘못 전달한 정보는 고정관념이 되어 대물림되기 쉽다. 우리가 알고 있는 사실들은 진실인지 오해인지, 몇몇 동물의 예를 들어본다.

 

곰은 정말 미련한 동물인가요?

 

우리말 중에 미련곰탱이란 말이 있는데 행동이 둔하고 느린 사람을 얕잡아 부르는 표현이다. 하지만 ‘곰탱이’는 겨울잠이 들기 전 곰이 나뭇잎, 나뭇가지 등을 모아 새둥지 형태로 만든 아늑한 보금자리를 말한다. 오히려 곰은 영리한 동물이고 두 발로 서거나 손을 쓰는 것도 자유로운 편이다. 러시아 속담에 “곰은 열 사람의 힘과 열한 사람의 지혜를 갖고 있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기억력이 뛰어나 연어가 오는 시기와 장소를 기억했다가 사냥을 하기도 한다,불곰은 강 위로 올라오는 연어를 쉽게 잡을 수 있는 곳을 잘 알아보며, 연어가 뛰어오를 때 빠른 행동으로 잡기도 한다,

 

 하이에나는 정말 비열한가요?

 

유명한 애니메이션에서 하이에나는 사자의 자리를 뺏는 비열하고 음흉한 캐릭터로 그려진 바 있다. 또한 노래가사에도 ‘짐승의 썩은 고기를 먹는 하이에나’로 등장하기도 한다. 애니메이션을 보고 자란 부모들은 아이들에게 ‘저기봐 비열한 하이에나란다. 짐승의 썩은고기를 먹는 동물이야.’라고 흔히 설명한다. 정말 하이에나는 그런 동물일까? 서울대공원에는 점박이하이에나가 있는데. 실제로 다른 동물의 먹잇감을 가로채는 비겁한 동물로 알려져 있는 점박이 하이에나는 야생에서 무리로 협력해서 목표물을 사냥하지만, 사자처럼 더 강한 동물한테 뺏겨 어쩔 수 없이 가로채거나 먹다 남은 먹이를 먹는 거라고 한다. 청소부동물로 불릴 정도로 씹는 힘이 강해 동물의 뼈까지 씹을 수 있는데 이런 모습만으로 오해는 금물!

 

 악어는 정말 위선적인 눈물을 흘릴까요?

 

악어의 눈물이라는 말은 이집트 나일강에 사는 악어가 사람을 보면 잡아먹고 난 뒤에 눈물을 흘린다는 서양전설에서 유래된 말이다. 이 모습을 거짓눈물에 비유하게 되었고. 약자 앞에서 거짓으로 동정의 눈물을 흘리거나 하는 모습에 그 말이 쓰이곤 한다. 실제로 악어는 먹이를 먹을 때 눈물을 흘리기도 하는데 이것은 감정과 관련없이 눈물샘의 신경과 입을 움직이는 신경이 같아서 먹이를 삼키기 좋게 수분을 보충해주는 것이다.

 

두더지는 빛을 보면 죽는다?

 

두더지는 실제로도 시력이 매우 퇴화된 동물이다. 기초대사율이 매우 높아 10~12시간만 먹지 못하면 죽기도 한다. 땅속에 오래 머물면서 충분히 영양공급을 해야하는데, 먹이가 부족하고 대사율이 떨어진 순간에 지상에 나와 건강하지 못한 모습을 보고, 사람들이 오해한 걸 수도 있다. 빛이나 해를 본다고 해서 죽는 일은 거의 없고 구름이 많거나 흐린 날에는 지상에서 먹이를 찾는 모습을 볼 수 도 있다. 그렇다면 두더지의 시력은 어느정도일까? 눈은 전혀 보지 못하고 플래쉬를 비쳐도 아무 반응이 없다, 굴과 비슷한 굵기의 관을 연결하여주면 굴이라고 생각하고 안심하고 지내기도 한다, 서울대공원엔 ‘벌거숭이두더지쥐’라고도 불리는 네이키드 몰렛을 야행관에서 만날 수 있는데 땅속에서 평생을 보내는 동물로 명암 정도만 구별할 수 있는 동물로 포유류중에 유일하게 암에 걸리지 않는 동물이기도 하다.

 

코브라는 피리소리에 춤 출수 있을까?

 

코브라는 소리를 들을 수 있을까? 뱀에게는 귀가 없다. 하지만 영화나 동화 속에서 코브라가 피리소리에 맞춰 춤을 추는 장면은 어떻게 된 일일까? 바로 피리를 또 다른 뱀으로 오해하고 그에 반응하여 몸을 움직이는 것이 춤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피리부는 사람이 다리를 흔들어 뱀에게 시각적인 자극을 주기도 하는데 그 모습에 몸을 흔들며 경계하는 모습일 뿐, 피리소리에 흥겨워서 춤을 추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기린은 순한 동물일까요?

 

얌전하고 조용한 모습의 기린은 정말 순한 동물일까? 번식기가 되면 우리가 흔히 알던 모습과는 정반대의 모습을 볼 수 있다. 평소 자기보다 작은 동물이 공격해올 때는 앞발 뒷발을 이용해 싸우는데 번식기에 같은 기린끼리 싸울 때는 긴 목을 이용해 휘감아치는 ‘넥킹’을 선보이기도 한다. 실제로도 위력이 어마어마해서 기린의 넥킹으로 기린사의 벽이 일부 패인 적도 있을 정도이다. 모습은 순해보여도 저마다 야생동물들의 야생성은 존재하고 있으니 직접 관람시에는 꼭 적절한 거리에서 관찰하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