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우리문화편지

세계 처음 만든 측우기와 측우대 국보되다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341]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서울에서는 쇠를 주조(鑄造)하여 기구를 만들어 이름을 측우기(測雨器)라 하니, 길이가 1척(尺) 5촌(寸)이고 직경(直徑)이 7촌입니다. 주척(周尺)을 사용하여 서운관(書雲觀)에 대(臺)를 만들어 측우기를 대 위에 두고 매번 비가 온 뒤에는 서운관의 관원이 직접 주척(周尺)으로 물의 깊고 얕은 것을 측량하여 비가 내린 것과 비오고 갠 때와 물 깊이의 척·촌·분(尺寸分)의 수치를 상세히 써서 뒤따라 즉시 기록해 둘 것이며,”

 

 

이는 《세종실록》 세종 24년(1442년) 5월 8일 자 기록입니다. 578년 전인 1442년(세종 24년) 조선에서 강수량 측정을 위해 세계 처음 측우기와 측우대를 만들었습니다. 서양에서는 영국의 건축가이자 천문학자인 크리스토퍼 렌에 의해 1662년 처음 서양식 우량계가 만들어졌는데 이는 우리나라보다 220년이 늦은 시기입니다. 지난 2월 20일 문화재청은 근대 이전의 강수량 측정 기구로 세계적으로 유일하게 남아 있는 것으로 알려진 ’금영 측우기‘를 국보 제329호로,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를 국보 제330호로,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를 국보 국보 제331호로 지정하였습니다.

 

“영조 6년 여름에 경기도가 크게 가물어서 기우제를 여러 번 올렸으나 영험이 없었다. 그래서 우리 성상께서 자기를 죄책하고 언로(言路)를 터놓으며 몸소 기우단에서 기도를 올리는데 일산(日傘)을 물리치고 예복을 갖추고 저녁이 지나도록 한데서 지내며 제사를 올린 뒤에도 앉아서 아침을 기다리고 (가운데 줄임) 해가 지기도 전에 과연 큰 비가 밤까지 내려서 1치(寸) 2푼(分)이나 내렸으니 이것은 실로 우리 성상께서 지성하심을 하늘이 감동한 것이다.” 보물 제844호 ‘창덕궁 측우대’에 새겨진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