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문화재

양산 읍성(邑城) 성벽 기저부 첫 확인

한국문화재재단, 양산 중부동 268번지 유적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의 지원을 받아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최영창)에서 발굴조사하고 있는 “양산 중부동 268번지 소규모 건축 건립 예정지(면적 184㎡)”에서 양산읍성 성벽의 기저부가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이번 발굴조사는 문화재청 문화재보호기금(복권기금)을 활용하여 한국문화재재단에서 진행 중인 「매장문화재 소규모 발굴조사 사업」의 하나로 진행하고 있다.

 

문헌 속에만 온전히 존재했던 양산읍성

 

양산읍성의 축조와 시기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은 《조선왕조실록》 1492년(성종 23년)의 “이달에 경상도 양산읍성을 쌓았는데, 높이가 11척, 둘레가 3천 7백 10척이었다.”라는 내용이다. 이후 《신증동국여지승람》(1530년)과 《양산군읍지》(1878년)의 기록과 조선후기에 간행된 각종 지도* 등을 통해 3대문(동ㆍ서 ㆍ북문)과 성내에 쌍벽류, 객사, 동헌 등 건물이 온전히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1913년 일제가 양산 지적도를 작성할 당시만 하더라도 읍성의 전체 둘레가 뚜렷이 그려져 있는데, 길이가 약 1,500미터 정도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많은 읍성들이 대부분 그러했듯이 일제강점기에 양산읍성도 신작로 개설 또는 매립 공사 등으로 인하여 광복이 될 때까지 대부분 허물어져 버렸다. 현재는 6~7 곳에 부분적인 성터의 흔적만 남아있다고 양산 향토사학자들이 전하고 있다.

* 각종 지도 :경상도지도 중 양산군도(1872년경), 각읍지도 중 양산군도(18세기 중엽),

해동지도중 양산군도(1750년 초반)

 

사라졌을 것으로 예상한 읍성의 기저부 잔존

 

발굴조사 결과, 읍성 체성부*의 지대석**과 채움석 등 성벽의 기저부***만 확인되었다. 서쪽은 모두 유실되었으며, 내벽석쪽의 가장자리와 상부의 벽체도 모두 없어졌다. 확인된 전체 규모는 길이 1,436cm, 너비 235~270cm, 높이 64cm 정도이며, 방향은 북동-남서향이다. 지대석은 부지의 서쪽에서만 일부 확인되는데, 방향은 거의 동-서(東-西)향이며, 남쪽 경계 밖으로 연장된다.

 

지대석은 아래에 10~30cm 정도의 깬돌을 깔아 지반을 견고히 한 뒤, 그 위에 크기 50~120cm 정도의 대형 석재를 사용하여 상면을 평평하고 견고하게 축조하였다. 2열로 길이 580cm, 너비 120cm 규모로 확인되었으며, 읍성 외벽의 지대석으로 추정된다. 동쪽으로는 성벽 내벽 쪽으로 채웠던 50cm 정도 크기의 깬돌들이 2~3단 정도 확인되었다. 출토된 유물은 서쪽 지정석 내부에서 조선시대로 추정되는 10cm 내외의 암키와 편들이 소량 출토되었는데, ‘田’자가 새겨진 글씨도 있다.

* 체성부(體城部) : 성벽의 몸체 부분

** 지대석(地臺石) : 성벽의 기단 하부에 평평하게 놓은 돌

***기저부(基底部) : 성벽의 몸체 부분 아래의 기초시설

 

 

 

 

 

 

향후 양산읍성 보존ㆍ정비ㆍ복원을 위한 자료

 

이번에 확인된 읍성 기저부 자리에서 북동쪽으로 약 120m 정도 떨어진 중부동 181번지에는 읍성 내벽 쪽 성벽(길이 15m, 높이 2m)이 잔존하고 있는데, 가장 잘 남아있는 부분이다. 두 성벽 자리는 일제강점기 지적도상에 표시되어 있는 성(城)의 위치와 모두 일치한다.

 

한국문화재재단 조사연구3팀 박종섭 팀장은 “현재 양산읍성은 대부분 허물어졌지만, 이번 소규모 발굴조사에서 일제강점기 지적도상에 표시된 성(城)과 일치하는 성벽 기저부가 그대로 잔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향후 양산읍성의 남아 있는 부분을 포함하여 전체 위치와 흔적을 찾고, 역사적 사실을 고증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발굴현장 공개는 20일(화) 낮 3시에 현장에서 한다. 코로나19와 관련한 생활 속 거리두기를 준수하기 위하여 발굴현장 공개 참석자들은 발열 확인과 손 소독제 사용,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하여 방역에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