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05 (토)

  •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익숙한 듯 낯선, 낯선 듯 익숙한 고려인의 삶

우즈베키스탄ㆍ카자흐스탄 수교 30돌 기림 《까레이치, 고려사람》 개막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김종대)은 대한민국과 우즈베키스탄 및 카자흐스탄 사이 수교 30돌을 맞이하여, 사진작가 빅토르 안(Виктор Ан)이 기증한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일상 사진 352점을 바탕으로 특별전 《까레이치, 고려사람》을 연다.

 

 

전시는 지난 세기, 거대한 역사적 소용돌이 속에서 중앙아시아의 낯선 땅에 흩뿌려진 한민족 동포들이 정착과 생존을 위해 고군분투해 온 일상의 흔적을 그린다. 전시된 60여 점의 사진에 표현된 고려인의 일상에서는 이국적인 현지의 주류 문화와 고려인 공동체가 유지해 온 오랜 전통, 그리고 멀리 떨어진 조국의 영향들 사이에서 중첩된 정체성을 형성해 온 고려인의 자화상을 발견할 수 있다.

 

■ 고려인의 삶을 포착한 사진작가, 빅토르 안

 

사진작가는 자신만의 언어, 스타일, 주제를 찾아야 합니다.

저는 80년대 중반쯤, 고려인 주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내가 아니면 누가 이 일을 할 것인가 생각이 들었고,

그 필요성을 느꼈기 때문입니다.

                                                              - 빅토르 안

 

 

 

 

빅토르 안은 우즈베키스탄 국적의 고려인 사진작가다. 그는 소련 시절이던 1978년부터 고려인을 위한 민족어 신문 《레닌기치(Ленин киӌи)》에서 사진기자로 일하며 작가로서의 활동을 시작, 마찬가지로 민족어 신문인 《고려일보(Корё ильбо)》를 거치며 중앙아시아를 비롯한 구소련 지역 고려인의 역사와 생활상을 주제로 사진 작업을 해 오고 있다.

 

고려인의 시점으로, 고려인의 삶과 역사를 포착한 그의 작품들은 한민족 디아스포라(집단이주) 연구에 유용한 자료라는 점은 물론, 지금껏 국내 어디에도 기증ㆍ소장된 바 없는 희소한 자료로서 값어치가 있다. 국립민속박물관은 이를 높이 평가하여 <재외한인동포 생활문화조사: 중앙아시아> 사업의 하나로 지난 2022년 5월 빅토르 안으로부터 352점의 사진을 기증받게 되었다.

 

■ 익숙한 듯 낯선 고려인 문화

 

전시는 ‘일생의례’, ‘세시’, ‘음식’, ‘주거’ 등 민속 분야에서 익숙하게 사용되어 온 열쇠말(키워드)로, 9개 부분으로 나누어 고려인의 생활문화를 보여준다.

 

 

 

 

 

 

이 사진들이 전달하는 공통적인 인상은 익숙함과 낯섦이라는 모순적인 감상이 공존한다는 점이다. 이는 고려인의 생활상이 여러 문화에 기원을 둔 다양한 삶의 양식들을 자원으로, 상황과 환경에 맞춰 재구성된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함경도를 비롯한 한반도 동북지역의 전통과 소련 시절의 민족 정책으로 크게 영향을 받은 러시아 문화, 그리고 우즈베크족이나 카자흐족 등 주변 민족들, 그리고 현지의 자연환경 등 다양한 문화적 자원과 요인들의 상호작용이 있었다. 우리가 고려인의 생활상에서 익숙한 듯 낯선 인상을 받는 것은 한국문화를 바탕으로 어떤 공통점을 찾아낼 수 있으면서도, 전체적으로는 대단히 다른 형태를 띠고 있기 때문이다.

 

■ ‘고려사람’이라는 정체성

 

옛날에 고려인들은 자신들의 민족적 정체성을 부끄러워했습니다.

하지만 그 시절 우리는 친구들과

하늘 아래 우리들의 자리와 권리를 주먹으로 쟁취했습니다.

이것은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시기였습니다.

                                                          - 빅토르 안

 

 

 

소련 시절 이래로 중앙아시아에서 널리 통용되는 러시아어에서는 한국인도, 조선인도, 고려인도 모두 ‘까레이치’(Корейцы)다. 영어의 ‘코리안’(Korean)처럼 러시아어에서 이들의 구분은 모호하다. 그에 반해 고려인들은 스스로를 ‘고려사람’(Корё сарам)이라고 말한다. ‘고려사람’이라는 표현을 쓴다는 것은 고려인들이 그들 조상처럼 연해주의 조선인도 아니고, 멀리 떨어진 조국의 한국인과는 구별되는 어떤 다른 범주의 공동체라고 인식한다는 의미이다.

 

이 고려인 공동체를 떠받치는 것은 분명 이역만리 중앙아시아의 낯선 땅에 끌려와 생존과 정착을 위해 세대를 거듭하며 고군분투해 온 기억이다. 그것은 과거의 조선인도, 오늘날의 한국인도 갖지 않은 고려인만의 경험인 것이다. 전시에 공개된 사진에서 발견되는, 한민족의 전통과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여러 민족의 문화가 융합된 생활상은 고단한 이주와 정착의 서사가 만들어 낸 다채로운 증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