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박현)은 제주 선흘곶자왈과 청수곶자왈에서 물순환 점검을 진행한 결과, 비가 내리면 평균 42%의 빗물이 곶자왈에 저장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강우량, 수관통과우량*, 수간유하우량**, 차단손실량***, 수액 이동량 등을 5년 동안 조사하여 계산한 결과이다.
*수관통과우량: 나뭇잎과 가지를 통과하여 지면으로 내려오는 비의 양
**수간유하우량: 나무 몸통을 타고 내려오는 비의 양
***차단손실량: 나뭇잎과 가지로 인해 지면으로 내려오지 않고 차단되는 비의 양
또한, 곶자왈과 인접 지역의 수원 함양률을 비교했을 때 곶자왈의 수원함양률이 일반 토지이용지 보다 더 높았으며, 그 차이는 평균 5.3%로 나타났다. 곶자왈은 제주특별자치도 내 경작지나 개발지역보다 원형이 잘 보전되어 있어 제주가 의존하고 있는 지하수의 유입구 역할을 하고 있으며, 곶자왈 지역 대부분이 제주특별자치도 보전지역 관리에 관한 조례에 의해 지하수자원보전지구 2등급지에 속해있다.
곶자왈의 수원함양률을 제주도 연평균 강수량과 지하수자원보전지구 2등급지의 면적에 적용해보면, 1년동안 1,200만 톤을 함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양은 70만 제주도민이 1년 동안 쓰는 급수량의 14.8%를 차지한다.
한편, 곶자왈은 전 세계에서 제주에만 분포하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인 제주고사리삼 등 다양한 희귀 생물이 살고 있으며, 숯가마터 등 역사ㆍ문화 자원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그러나 곶자왈 지대는 1997년 기준 면적이 113.3㎢*였지만, 2003년 106㎢**로 이전보다 7.3㎢ 감소하여 곶자왈을 효과적으로 보존할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제주도 토지이용등급도 지하수보전등급 2등급 및 생태보전등급 3등급
**제주특별자치도 보전지역 관리에 관한 조례 지하수보전지구 2등급지
국립산림과학원 도시숲연구과 이임균 과장은 “곶자왈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현장 중심의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라고 강조하며 “곶자왈에서 생태계서비스와 값어치 확산을 높이는 데 지속해서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