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2 (수)

  • 맑음동두천 1.9℃
  • 맑음강릉 4.2℃
  • 맑음서울 5.9℃
  • 맑음대전 3.9℃
  • 맑음대구 3.3℃
  • 구름많음울산 5.1℃
  • 맑음광주 5.4℃
  • 맑음부산 7.3℃
  • 맑음고창 0.9℃
  • 맑음제주 7.9℃
  • 맑음강화 0.5℃
  • 맑음보은 -0.1℃
  • 맑음금산 0.8℃
  • 맑음강진군 1.2℃
  • 맑음경주시 1.2℃
  • 맑음거제 3.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인본주의로의 회귀가 필요할 때

[정운복의 아침시평 146]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소나기 내리는 날 예쁜 여학생이 책을 가슴에 품고

비를 피해 도서관으로 뛰어들었습니다.

이미 몸은 젖었고 마스카라는 번져 몰골이 말이 아니었지요.

그때 초로의 교수가 묻습니다.

"자네 괜찮나?"

"네. 몸이 젖고 화장이 번지긴 했지만 괜찮습니다."

"아니 자네 말고 자네 책 말일세…."

 

공자님의 일화가 있습니다.

어느 날 마구간에서 큰불이 났습니다.

이때 하인이 들어와 말하지요.

"큰일 났습니다. 마구간에 큰불이 났습니다."

그때 공자님은 묻습니다.

"다친 사람은 없는가?"

 

마구간의 불 소식을 듣고

말의 안부가 아니라 사람의 안부를 묻는 공자의 모습을 봅니다.

책의 안부를 묻는 교수와 대조적이지요.

판단의 기준은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그것을 우린 인본주의라고 이야기하지요.

 

옛날 종교가 중요한 잣대로 세상을 지배했을 때를 신본주의라고 한다면

지금 물질 만능을 구가하는 시대를 물본주의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린 인간의 본질로 돌아가야 합니다.

인간에 관한 것을 가장 중히 여기는 인본주의로의 회귀가 필요하다는 것이지요.

 

 

프랑스 인권선언 제1조는 이러합니다.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롭고 또한 평등한 권리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