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실학자 이덕무는 서자 출신입니다. 아무리 노력해도 일정한 벼슬 이상은 오를 수 없는 신분이었기에 좌절감 또한 매우 컸을 것으로 짐작합니다. 그래서 자신을 ‘간서치(看書痴)’라고 표현합니다. ‘책만 보는 바보’라는 뜻이지요. 그도 한때 광흥창에서 벼슬을 합니다. 광흥창은 조선시대 녹봉을 주는 창고입니다. 조선시대 관리들은 녹봉을 받았는데 월에 정기적으로 받는 것을 봉(俸)이라고 하였고 부정기적으로 보너스처럼 받는 것을 녹(祿)이라고 하였습니다. 이것을 지급하는 곳이 광흥창이었던 것이지요. 이덕무의 호는 청장관(靑莊館)입니다. 그의 문집이 《청장관 전서》인 이유입니다. 청장은 왜가리과 해오라기의 또 다른 이름입니다. 해오라기는 강이나 호수에 살면서 먹이를 쫓지 아니하고 제 앞을 지나가는 것만 쪼아 먹는다고 합니다. 곧 이덕무 호인 청장관에는 욕심을 부려 남의 것을 탐하지 않는다는 청백함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덕무는 가난하게 살았습니다. 더러는 해가 저물도록 식사를 못 한 적도 있고 더러는 추운 겨울에도 온돌에 불을 지피지 못할 때도 있었습니다. 간혹 다른 사람들이 녹봉이 적지 않느냐고 물으면 그는 이렇게 답하곤 했지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춘추시대 송나라에 사마환이라는 사람이 살았습니다. 그는 아주 훌륭한 구슬을 갖고 있었는데 죄를 지어 송나라를 떠남에 따라 구슬을 갖고 도망쳤지요. 송나라 임금은 이 구슬을 갖고 싶었습니다. 그리하여 사마환을 잡아 구슬을 숨긴 곳을 물었지요. 사마환은 구슬은 도망칠 때 이미 연못에 버렸다고 이야기합니다. 구슬을 얻고 싶었던 임금은 신하들에게 연못을 뒤지게 했습니다. 하지만 구슬을 찾지 못했지요. 열받은 왕은 연못을 모두 퍼내게 했습니다. 결국 연못을 다 펐지만, 구슬은 찾을 수 없었고 애꿎은 연못 속 물고기만 말라 죽게 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것을 앙급지어(殃及池魚)라고 이야기합니다. 또 다른 이야기가 있지요. 성문에 불이 났습니다. 사람들은 옆의 연못에 물을 길어다 성문의 불을 끄려고 노력합니다. 결국 성문의 불 때문에 연못의 물고기가 말라 죽었다는 이야기지요. 성문실화 앙급지어(城門失火 殃及池魚) 자신이 하지 않은 일 때문에 억울한 피해를 당하는 경우를 의미하는 말씀입니다. "모진 놈 옆에 있다가 벼락 맞는다."라는 속담도 있으니까요. 살아가면서 예측할 수 없는 재앙에 맞닥뜨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혀 뜻하지 않게 찾아오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깊어져 가는 가을만큼이나 과수원엔 사과가 익어가고 있습니다. 사과를 오래 보관하면 썩게 마련인데 주목할 것은 사과끼리 붙어있는 곳부터 썩어 들어간다는 것이지요. 옆에 꼭 붙어있다는 것이 쉽지 않다는 이야기입니다. 대학교 3학년 때 교도소에 위문 간 적이 있습니다. 여수감자 대부분은 사기죄로 들어온 사람입니다. 그런데 한편에 옷 색깔이 다른 사람들이 모여있었습니다. 왜 저들은 다른 옷을 입고 있느냐고 물었더니 살인범으로 복역 중인 사람들이라는 것이지요. 여자 살인범들이 가장 많이 죽인 대상은 누구였을까요? 아이러니하게도 남편을 죽인 사람이 가장 많다고 합니다. 그러니 여자와 한 이불 덮고 자기는 쉬운 일은 아니지요. 우린 가까이 있는 사람들에게 가깝다는 이유로, 친하다는 이유로 말을 함부로 하거나 막 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 세월이 장기화하면 고질병이 되기 쉽고 그래서 친족간의 범죄가 더 흉악한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친밀감은 상대를 함부로 대할 수 있는 권리가 아닙니다. 친하면 상대방을 잘 알게 되고 편함을 느끼게 되지만 무례하게 행동해도 된다는 뜻도 아니지요. 그러니 친한 사이일수록 배려와 존중을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