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8 (일)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문화재

부여 백제 관북리유적에서 칠피갑옷 출토

폐기된 다량의 유물과 불 탄 목탄 함께 출토돼
백제 멸망 당시 혼란 상황 추정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소장 임승경)는 부여 관북리유적 백제 사비기 왕궁시설로 추정되는 건물터의 유물 폐기층과 수혈유구에서 칠피갑옷을 발굴하였다.

* 수혈유구: 땅을 파서 만든 구덩이

* 칠피갑옷: 옻칠된 가죽을 연결하여 만든 갑옷

 

 

 

1982년부터 발굴조사가 시작된 부여 관북리유적은 대형 전각건물터와 연못터 등 왕궁과 관련한 중요 유구가 확인된 바 있으며, 지난 21일부터 16차 발굴조사가 진행 중이다. 2023년 조사에서는 백제 사비기의 건물터 세 개의 동이 남북방향으로 길게 확인되었는데, 궁과 절에서 주로 사용하는 중심건물 주변을 둘러싸도록 기다랗게 만든 이른바 장랑식(長廊式) 건물로, 위치와 규모 등을 고려할 때 왕궁 내 조당 공간의 일부로 추정된다.

* 조당(朝堂) : 고대 동아시아 국가에서 율령통치의 중요한 요소인 정무ㆍ의례ㆍ잔치 등 국가적 행사가 열리는 공간으로 조정(朝庭)과 유사함.

 

또한, 이 장랑식 1호 건물터의 유물 폐기층과 30미터 범위 내 6개의 수혈유구에서 칠피갑옷이 출토되었다. 처음에는 매우 얇은 조각 일부만 노출되어 갑옷으로 단정할 수 없었으나, 발굴조사가 진행됨에 따라 유물이 점차 모습을 드러내면서 겹겹이 쌓인 모서리를 둥글게 만든 사각형의 미늘과 각각의 미늘을 연결했던 원형의 구멍을 확인하였다. 이후 출토 조각의 성분을 과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옻을 칠한 갑옷임을 알 수 있었다.

* 미늘 : 일정한 크기의 조각으로 구성된 갑옷의 개별단위

 

 

 

 

출토된 모두 6점의 칠피갑옷 가운데 2호 수혈유구에서 확인된 갑옷이 비교적 잔존상태가 양호하다. 전체 크기는 잔존 폭이 18.2cm, 잔존 너비 49.2cm이고, 개별 미늘의 길이는 7.5~7.8cm, 너비 4.2~4.4cm이며, 미늘을 연결하기 위한 원형의 구멍은 0.2~0.3cm이다.

 

2호 수혈유구 주변의 기와폐기층에서는 말 안장 부속품 가운데 발 받침대인 등자가 출토되었고, 3호 수혈유구에서는 말의 아래턱뼈로 추정되는 동물유체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주변 출토유물 상황과 갑옷의 형태를 고려할 때 2호 수혈유구에서 출토된 갑옷은 말갑옷(馬甲)으로 추정된다.

 

 

 

이렇듯 백제시대 문화층에서 칠피갑옷이 출토된 사례는 공주 공산성(2011년) 이래로 부여 관북리유적이 두 번째이다. 또한, 관북리유적과 공주 공산성 칠피갑옷 모두 발견 당시 주변에 폐기된 다량의 유물과 불에 탄 목탄이 함께 출토되었는데, 이것은 백제 멸망 당시의 혼란스러웠던 사회 상황의 일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