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3 (일)

  • 구름조금동두천 29.3℃
  • 구름많음강릉 24.4℃
  • 구름많음서울 29.2℃
  • 구름많음대전 27.1℃
  • 흐림대구 28.8℃
  • 흐림울산 25.9℃
  • 흐림광주 26.7℃
  • 흐림부산 26.0℃
  • 구름많음고창 26.9℃
  • 제주 25.1℃
  • 맑음강화 26.0℃
  • 구름많음보은 26.4℃
  • 구름많음금산 25.3℃
  • 구름조금강진군 27.2℃
  • 흐림경주시 26.4℃
  • 흐림거제 25.3℃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우리문화편지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ㆍ팔상도> 국보 지정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954]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문화재청은 지난 5월 27일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를 국보로 지정했습니다. 200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가 이십여 년 만에 이번에 국보로 지정된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는 송광사 영산전에 봉안하기 위해 한꺼번에 그린 불화로, 영산회상도 1폭과 팔상도 8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팔상도는 석가모니의 생애에서 역사적인 사건을 8개의 주제로 표현한 불화로, 팔상은 불교문화권에서 공통으로 공유되는 개념이지만 이를 구성하는 각 주제와 도상, 표현 방식은 나라마다 차이가 있지요.

 

 

우리나라의 경우 조선 초기에는 《월인석보(月印釋譜)》의 불교경전 내용이나 교리를 알기 쉽게 시각적으로 형상화한 변상도를 빌린 팔상도를 그리다가 후기에 접어들면서 《석씨원류응화사적》에서 제시된 도상으로 새로운 형식의 팔상도가 유행하였는데, 후기 팔상도를 대표하는 작품이 바로 순천 송광사 팔상도입니다.

 

현재 송광사성보박물관에 보관 중인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는 화기(그림의 제작과 관련하여 발원자, 작가 등의 내용을 담은 기록)를 통해 1725년(조선 영조 1)이라는 제작 연대와 의겸(義謙) 등 제작 화승을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한 전각에 영산회상도와 팔상도를 모두 한꺼번에 그려 봉안한 가장 이른 시기의 작품으로 확인되며, 팔상도만이 아니라 영산회상도까지 《석씨원류응화사적》의 도상을 활용해 하나의 개념 속에 제작된 일괄 불화로서 완전함을 갖추고 있지요.